아카이브 탐색
  • 형태분류
    • 도서/간행물류
    • 문서류 (4)
      • 포스터 및 리플렛
      • 배너
      • 악보
      • 일반문서
    • 사진류
    • 시청각류 (4)
      • 영상
      • 음원
      • 그림
      • 지도
    • 박물류
    • 신문류
    • 구술류
    • 미분류
  • 주제분류
    • 시민기록단 (2)
      • 음식
      • 목공
    • 생태 (3)
      • 산
      • 물
      • 길
    • 생활 (2)
      • 음식
      • 집
    • 지역 (3)
      • 행정구역
      • 마을
      • 장소
    • 인물 (3)
      • 개인
      • 동아리
      • 단체
    • 인문
    • 축제
    • 문화예술 (8)
      • 공연
      • 음악
      • 시각
      • 문학
      • 영상
      • 포럼
      • 행사
      • 기타
    • 사건 (3)
      • 코로나19
      • 시민운동
      • 2002월드컵
    • 미분류
  • 시기분류
    • 2020년대 (5)
      • 2024년
      • 2023년
      • 2022년
      • 2021년
      • 2020년
    • 2010년대 (10)
      • 2019년
      • 2018년
      • 2017년
      • 2016년
      • 2015년
      • 2014년
      • 2013년
      • 2012년
      • 2011년
      • 2010년
    • 2000년대 (9)
      • 2009년
      • 2008년
      • 2007년
      • 2006년
      • 2005년
      • 2004년
      • 2003년
      • 2002년
      • 2001년
    • 1990년대
    • 1980년대
    • 1970년대
    • 1960년대
    • 1950년대
    • 미분류
  • 출처분류
      level = 1 , index = 0 , last = false , child_cnt = 7 , provenance = 미추홀학산문화원 사업
    • 미추홀학산문화원 사업 (7)
        level = 2 , index = 1 , last = false , child_cnt = 3 , provenance = 미추홀지역학
      • 미추홀지역학
      • level = 3 , index = 2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강좌 level = 3 , index = 3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포럼 level = 3 , index = 4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교육프로그램 개발 level = 2 , index = 5 , last = false , child_cnt = 23 , provenance = 미추홀 기록
      • 미추홀 기록
      • level = 3 , index = 6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4 미추홀시민기록단 구술기록 level = 3 , index = 7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3 시민기록단_전세사기 기록 level = 3 , index = 8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3 시민기록단_기계산단 기록 level = 3 , index = 9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2 시민기록단_목공장인 기록 level = 3 , index = 10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1 시민기록단_음식기록 level = 3 , index = 11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0 시민기록단_자체인터뷰 level = 3 , index = 12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2 미담식회 인천음식기록 level = 3 , index = 13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1 미담식회_음식기록 level = 3 , index = 14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1 음식기록 프로젝트 level = 3 , index = 15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4 기록공모_,그때부터 지금까지, 수봉산 level = 3 , index = 16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4 기록공모_사라져 가는 것들 level = 3 , index = 17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3 기록공모_수봉산 level = 3 , index = 18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3 기록공모_집 level = 3 , index = 19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2 기록공모_수봉산 level = 3 , index = 20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2 기록공모_문학산 level = 3 , index = 21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1 기록공모_미추홀의 길 level = 3 , index = 22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1 기록공모_심상공간 level = 3 , index = 23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2 기록공모_학산백일장 level = 3 , index = 24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1 기록공모_학산백일장 level = 3 , index = 25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0 기록공모_학산백일장 level = 3 , index = 26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19 기록프로젝트 '승기천' level = 3 , index = 27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18 기록프로젝트 '신기촌' level = 3 , index = 28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17 미추홀마을영화 level = 2 , index = 29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시민창작활동지원
      • 시민창작활동지원
      • level = 2 , index = 30 , last = false , child_cnt = 8 , provenance = 학산마당극놀래
      • 학산마당극놀래
      • level = 3 , index = 31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4 학산마당극놀래 level = 3 , index = 32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3 학산마당극놀래 level = 3 , index = 33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2 학산마당극놀래 level = 3 , index = 34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1 학산마당극놀래 level = 3 , index = 35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0 학산마당극놀래 level = 3 , index = 36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19 학산마당극놀래 level = 3 , index = 37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18 학산마당극놀래 level = 3 , index = 38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17 학산마당극놀래 level = 2 , index = 39 , last = false , child_cnt = 3 , provenance = 우리고장 국가유산 활용사업
      • 우리고장 국가유산 활용사업
      • level = 3 , index = 40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생생국가유산 level = 3 , index = 41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향교서원 문화유산 활용 level = 3 , index = 42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원도사제 level = 2 , index = 43 , last = false , child_cnt = 2 , provenance = 기관홍보
      • 기관홍보
      • level = 3 , index = 44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연간리플렛 level = 3 , index = 45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기관 제작물 level = 2 , index = 46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콘텐츠
      • 콘텐츠
      • level = 1 , index = 47 , last = false , child_cnt = 3 , provenance = 학산생활문화센터 사업
    • 학산생활문화센터 사업 (3)
        level = 2 , index = 48 , last = false , child_cnt = 5 , provenance = 생활문화
      • 생활문화
      • level = 3 , index = 49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2 동네 살아가다 level = 3 , index = 50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0 동네 살아지다 level = 3 , index = 51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19 동네 살아지다 level = 3 , index = 52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1 학산시민문화마당 level = 3 , index = 53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19 우리도 예술가 level = 2 , index = 54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공연문화
      • 공연문화
      • level = 2 , index = 55 , last = false , child_cnt = 2 , provenance = 공간
      • 공간
      • level = 3 , index = 56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학산소극장 level = 3 , index = 57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생활문화센터 level = 1 , index = 58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지방자치단체
    • 지방자치단체 level = 1 , index = 59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지역기관
    • 지역기관 level = 1 , index = 60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지역단체
    • 지역단체 level = 1 , index = 61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국가기록기관
    • 국가기록기관 level = 1 , index = 62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기업
    • 기업 level = 1 , index = 63 , last = false , child_cnt = 4 , provenance = 시민기증
    • 시민기증 (4)
        level = 2 , index = 64 , last = false , child_cnt = 1 , provenance = 천영기
      • 천영기
      • level = 3 , index = 65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문학산 시리즈 level = 2 , index = 66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이태승
      • 이태승
      • level = 2 , index = 67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김용경
      • 김용경
      • level = 2 , index = 68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류제혁
      • 류제혁
      • level = 1 , index = 69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미분류
    • 미분류 level = 1 , index = 70 , last = true , child_cnt = 0 , provenance = 기타
    • 기타
검색
카드형 갤러리형
총 20개의 기록물
  • 2023 세계시민성교육 프로그램
    미추홀학산문화원이 인하대학교 프런티어 학부과 협약을 통해 2023년 2학기 '세계시민성교육'강좌의 일부 과정을 공동기획, 운영한 프로그램 내용이다. 3번의 강의와 1번의 자율탐방 그리고 학생들의 과제 수행 과정으로 이루어져 있다. • 문서쪽수: 1쪽 • 문서크기: 94KB • 관리파일(비공개) 1) 문서 원본파일 (hwp)
    생산일자 2023.09.05
  • 미추홀학산문화원 - 인하대학교 프런대어학부대학 협약식
    2023년 7월 26일 진행된 미추홀학산문화원과 인하대학교 프런티어 학부대학의 협약식 현장사진이다.  미추홀학산문화원과 인하대학교 프런티어 학부대학은 지역문화 진흥과 지역교육 발전을 위해 업무협약을 체결하였다. 협약내용으로는 프런티어 학부대학은 시민성 함양을 위한 교양교육을 기획하고 미추홀학산문화원 미추홀구 참여와 활동의 다양성 확보와 연대함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 이를 기초로 2023년 2학기 진행되는 세계시민성교육을 협력구조 속에 운영했다.  • 촬영장소: 인하대학교 프런티어학부대학 • 촬영일자: 2023년 7월 26일 • 사진크기: 5670x3867 / 4960x1888 • 사진장수: 6장  
    #인하대학교 #세계시민성 #프런티어학부대학 #협약 #정형서
    생산일자 2023.07.26
  • INCU조 10주차 활동보고서
    인하대학교 프런티어학부대학 세계시민성교육의 일환으로, INCU조에서 10주차에 활동한 내용을 정리한 보고서이다. - 프로젝트 주제: 인천시의 다문화 인식 개선 - SDGS 목표: 11, 16 - 문제상황 요약: 매체에서 부정적으로 비춰지는 차이나타운의 오해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다문화 이미지 제고를 위한 홍보를 활성화 해야한다. - 활동 내용: 줌 회의를 통해서 조사가 필요한 부분들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조사할 내용들의 세부적인 부분까지 의견을 나누었다.  1. 영화나 매체에서 다루어지는 부정적인 인천(차이나타운)의 모습 ->사람들의 여론을 리뷰와 댓글을 통해 확인 => 김채은  2. 인천시 다문화 실태: 다문화 거주자 수, 다문화 관련 센터 => 김세린  3. 다문화 축제 현황: 차이나타운에서 진행했던, 혹은 진행 중인 축제 & 다문화 축제 조사 => 여경민  4. 인천에서 발생하는 다문화 문제 조사 => 김경은 • 문서쪽수: 2쪽 • 문서크기: 426KB • 관리파일(비공개) 1) 보고서 기술지 2) 기록물 활용 동의서
    #인천광역시 #다문화 #인식 #개선 #차이나타운 #인하대학교 #세계시민성교육
    생산일자 2023.11.03
  • INCU조 11주차 활동보고서
    인하대학교 프런티어학부대학 세계시민성교육의 일환으로, INCU조에서 11주차에 활동한 내용을 정리한 보고서이다. - 프로젝트 주제: 인천시의 다문화 인식 개선 - SDGS 목표: 11, 16 - 문제상황 요약: 매체에서 부정적으로 비춰지는 차이나타운의 오해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다문화 이미지 제고를 위한 홍보를 활성화 해야한다. - 문제해결 아이디어 현재의 일회성, 단순 오락성 축제 같은 것만으로는 다문화 인식 문제를 해결하기는 어려우니, 다른 해결책을 모색해야 할 것 (교육, 다문화 일상의 인식변화) - 실행방법 및 전략 매체 차원: 동의를 구하고, 다문화 가정에 방문 후 그들의 일상을 담은 다큐멘터리 제작 축제 (행사) 차원: 다문화 센터에서 진행되는 것들을 학교나 회사로 끌고 오는 것 (다문화 센터와 학교&직장의 체험형 다문화 사업), 부모와 아이들이 관심을 가질만한 프로젝트 개발 교육 차원: 도서관 이용 활성화를 하여, 도서관 내의 프로그램을 활성화 (문화적인 차원: 교육적이면서, 접근하기 쉬운 곳에 다문화 인식 개선 장치 마련) 인천 내의 다문화 가정 많고, 센터 사업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나, 사람들의 인식을 고치기에는 어려움이 있어서 다른 개선 방안이 필요할 것 같다.  매체에서 부정적으로 다루는 것이 문제가 되니, 다문화 가정의 일상생활 모습을 담아서 찾아가는 다문화, 일상생활에서의 다문화로 이끌어오는 것을 목표로 한다.  • 문서쪽수: 2쪽 • 문서크기: 472KB • 관리파일(비공개) 1) 보고서 기술지 2) 기록물 활용 동의서
    #인하대학교 #세계시민성교육 #인천광역시 #다문화 #인식 #개선 #차이나타운
    생산일자 2023.11.10
  • INCU조 11주차 활동사진
    인하대학교 프런티어학부대학 세계시민성교육의 일환으로, INCU조에서 11주차에 활동한 모습을 촬영한 사진이다. 편견 개선에 긍정적인 효과를 보인 팝업스토어 및 전시회를 개최한 사례를 조사하였다. 물의 색이라는 장애 예술인 전시회가 부정적 인식개선에 긍정적인 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게 되어 아이디를 얻고자 알아보았다. • 촬영장소: 구캔 갤러리 (서울특별시 구로구 신도림동 337 101동 306호) • 촬영일자: 2023년 11월 19일 • 사진크기: 1058x1411 / 1375x1375 / 4080x3060  • 사진장수: 6장 • 관리파일(비공개) 1) 사진 기술지 2) 기록물 활용 동의서
    #장애 #예술인 #전시회 #팝업스토어 #물 #인식개선
    생산일자 2023.11.19
  • 갯벌과 철새를 알리기 위한 인천 국립 해양 박물관 전시
    인하대학교 프런티어학부대학 세계시민성교육의 일환으로, 생태계 지킴조에서 성과공유회 시 발표한 자료이다. 제목: 갯벌과 철새를 알리기 위한 국립해양박물관 전시 -갯벌의 중요성  1) 갯벌은 우리나라 수산업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2) 갯벌은 육상에서 배출되는 각종 오염물질을 정화하는 기능을 가진다. -철새에게 갯벌이 필요한이유  1) 철새들은 자신들만의 이동경로가 있으며 같은 습지를 이용하려는 경향이 있다.  2) 우리나라의 갯벌이 철새들의 이동 경로중심에 위치해 있다 -문제상황   인천시민들의 갯벌과 철새에 대한 무지와 무관심   인천에 존재하는 갯벌과 철새의 자료가 찾아보기 어려움 -문제해결 아이디어  Q. 인천사람들이 어떻게 철새와 갯벌에 대한 관심을 갖고 정보를 쉽게 얻을 수 있을까?  1. 2024년 완공예정인 국립인천해양박물관에서 인천의 갯벌과 철새에 관한 전시공간을 확보한다.  2. 전시공간을 통해 사람들이 철새에 대해 정보를 얻고 관심을 갖게 만든다. -실행방법  1. 사람들의 이목을 끌 수 있는 인천의 철새지도 제작  2. 인천갯벌에 사는 철새들의 캐릭터화 • 문서쪽수: 10쪽 • 문서크기: 644KB • 관리파일(비공개) 1) 보고서 기술지 2) 기록물 활용 동의서
    #갯벌 #철새 #국립해양박물관 #전시 #인하대학교 #세계시민성교육
    생산일자 2023.12.10
  • 마계인천을 살리자
    인하대학교 프런티어학부대학 세계시민성교육의 일환으로, 인덕이와 아이들조에서 성과공유회 시 발표한 자료이다. 미추홀구는 무분별한 도시 개발로 인해 낙후된 지역이다. 이러한 미추홀구의 구도심적 이미지가 만들어낸 ‘인천기피현상’을 해결하기 위해 세계시민교육 10주차~11주차 시간을 활용해 곽도현, 아이사 파히라, 정시현, 남하은은 인천의 새로운 마스코트 계획을 수립했다. 1. 인천 : ‘마계 인천’ , 어두운 이미지, 범죄 도시 오늘날 인천은 악마의 소굴인 ‘마계’라는 부정적인 이미지로 표현되고 있다. ‘마계 인천’은 악마의 세계를 뜻하는 마계와 인천의 합성어로 인천시를 조롱하는 단어이다. 이러한 마계인천은 2000년대 초반 인천 sk경기장에서 겪은 기상이변에서 유래하였다. sk경기장에서 야구 결승이 열린 날 극심한 칼바람과 함께 천둥번개를 겪은 시민들이 공포에 휩싸였다. 이 사건을 계기로 인천을 ‘마계’에 빗대어 표현하는 사람들이 많아졌다. 처음에는 이러한 별명을 장난삼아 유머러스하게 사용하곤 했다. 하지만 인천에서 흉악한 범죄가 자주 발생하면서 인천은 정말 ‘마계의 도시’가 되었다. 서울 및 경기도의 사건 이름은 OO구, OO시 군을 내세우는 반면에 인천에서 발생한 사건은 ‘인천OO사건’으로 명명된다. 이러한 점에서 인천은 ‘범죄 도시‘ 및 ‘마계’를 나타내는 대명사처럼 되었다.  그 외에도 인천의 높은 범죄율 및 무분별한 개발에 따른 낙후된 지역과 같이 인천이 ‘마계 도시’임을 증명하는 요인들이 많았다. 인천의 이미지를 악화시키는 복합적인 요소들은 인천을 악마의 도시라고 주장하는 온라인 커뮤니티 사람들에게 주장을 구체화 할 수 있는 충분한 근거로 작용했다.     마계인천의 표현은 2000년대초반 인터넷 커뮤니티 중심으로 유행되어 현재는 미디어나 언론 매체에서 인천에서 일어난 사건사고를 다룰 때 사용되고 있다. 이로서 ‘마계인천‘은 커뮤니티에서 전파되어 현재 인천의 대중적인 별명이 되었고, 그 과정에서 인천시의 미추홀구는 적지 않은 영향을 끼쳤다.  미추홀구는 무분별한 개발로 인해 상대적으로 낙후된 지역이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현재 미추홀구의 이미지는 마계인천의 중심이자 낙후된 지역, 구도심적 이미지가 강하다. 미추홀구의 구도심적 이미지는 어둡고 음산한 인천의 이미지를 더욱 어둡게 만드는 결정적인 요인이다. 그로 인해 mz세대와 같은 젊은 세대의 인천 기피 현상이 증가하고 있다. 인천이 가지고 있는 부정적인 이미지를 탈피하고 인천 기피현상을 해결하는 것을 넘어서 인천을 생기와 활력이 넘치는 도시로 만들어야 한다. 그렇게 하기 위해 곽도현, 아이사, 정시현, 남하은은 세계시민교육 10주차, 11주차 수업시간을 활용하여 인천의 새로운 마스코트 계획을 수립했다.  2. 마스코트 마케팅 마스코트 마케팅은 캐릭터를 활용해 기업이나 기관이 홍보하고자 하는 서비스나 제품, 브랜드의 이미지를 인식시키고 이를 통해 가치관과 문화를 전달하는 것을 말한다. 또한 마스코트 마케팅은 소비자에게 브랜드와 제품의 이미지를 친근하게 전달하는 효과를 볼 수 있다. 마스코트 마케팅의 대표적인 예시로 일본 구마모토현의 ’쿠마몬‘ , 기업의 마스코트 ’펭수‘, 대전의 ’꿈돌이‘가 있다.  쿠마몬은 일본의 작은 시골마을 구마모토현의 대표 캐릭터이다. 구마모토현은 규슈의 대표 도시인 후쿠오카에서 멀리 떨어진 지역이다. 구마모토현의 인지도는 전국 47개 지자체 중 32위에 불과한 그저 작은 동네였다. 하지만 2011년 규슈 고속철도 개통을 앞두고 중간 경유지에 불과했던 구마모토현의 홍보 로고가 쿠마몬으로 채택되었다. 이는 폭발적인 관심을 가져왔고 쿠마몬의 효과로 인해 고속철도 시종착역이 구마모토현으로 변경되었다. 쿠마몬 마케팅 이후 구마모토현의 인지도는 전국 18위까지 상승했으며 관광객의 수는 2012년을 기점으로 2배 이상 폭증했다.  국내의 사례로는 대전의 꿈돌이, 펭수, 평창 올림픽의 수호랑과 반다비 등이 있다. 이 캐릭터들은 마스코트 마케팅을 통해 우리나라에서 성공한 마스코트 캐릭터에 해당한다. 이처럼 마스코트 마케팅은 소비자에게 브랜드나 제품 혹은 지역의 이미지를 친근하게 전달하고 경쟁사 대비 우위를 점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시간이 흘러 소비자에게 유대감을 갖게 한다. 따라서 장기적인 마케팅 비용 절감 효과까지 기대할 수 있다. 대전의 꿈돌이는 소비자 유대감의 대표적인 사례이다. 대전의 꿈놀이동산은 대전 아동들이 즐겁게 놀았던 곳이지만 갑작스러운 폐업으로 인해 이제는 추억으로 남아있는 놀이공원이다. 지금은 구매력을 갖춘 청년들이 어렸을 적 꿈놀이동산에서 놀던 추억을 간직하기 위해 굿즈를 구매하곤 한다.  대전의 꿈돌이, 펭수, 쿠마몬은 마스코트 마케팅의 성공 사례이다. 하지만 미추홀구의 공식 마스코트 ’미추‘는 마스코트 마케팅의 실패 사례에 해당한다.  ’미추‘는 인천광역시 미추홀구의 공식 마스코트이다. 미추홀 왕국의 왕자라는 나름의 스토리를 가지고 있는 캐릭터이다. 그러나 특색이 없으며 정체성이 명확하지 않다는 한계가 존재한다. 또한 공식 마스코트라는 지위에도 불구하고 미추의 활용도가 매우 낮은 편에 속한다. 인하대 학생들에게 가장 가까운 마스코트인 뇽덕이와의 비교를 통해 ’미추‘의 마케팅이 실패했음을 알 수 있다. 뇽덕이(안뇽이, 인덕이)는 인하대학교 학생이라면 누구든지 잘 알고 있는 캐릭터이다. 하지만 미추홀구의 캐릭터 ’미추‘는 미추홀구의 시민들도 잘 알지 못한다. 학교라는 작은 기관에서 만들어낸 뇽덕이의 탄탄한 스토리, 정체성, 뇽덕이의 활용도에 비교하면 미추홀구의 ’미추‘는 미추홀구라는 더 큰 기관에서 제작했지만 비교적 낮은 활용도로 인해 접근성이 떨어지고 사람들이 잘 알지 못한다. 결과적으로 마스코트 마케팅의 실패 사례에 해당한다.  3. 새로운 마스코트의 필요성  마스코트를 제작하는 일은 지역 사회 구성원으로서 실현 가능한 것이라고 생각하여 새로운 마스코트 계획을 수립하고 미추홀구의 새로운 마스코트 ’김수봉‘을 탄생시켰다. 김수봉은 뇽덕이와 여러 지역의 마스코트를 벤치마킹 했고, 탄탄한 정체성과 지역 연계성을 갖추도록 노력했다.  4. 미추홀구의 새로운 마스코트 : 김수봉 (1) 김수봉의 탄생 이야기 수봉이는 수봉산에서 1980년대에 태어난 다람쥐이자 인하대학교 최초의 람쥐 학생이다. 수봉이의 집은 수봉산 내에서도 공원에 가까이 위치하고 있다. 어린 시절 수봉공원에서 인간들의 귀여움과 이쁨을 받으며 인간의 언어를 학습했다. 그렇게 인간과 살아가는 법을 알게된 수봉이는 만학도의 꿈을 안고 21학번으로 미추홀구에 위치한 인하대학교 사회인프라공학과에 입학했다. 현재는 휴학을 하고 미추홀구의 마스코트로 활동 중에 있다. 또한 뇽덕이와 같은 인하대학교 동물 학생으로서 서로 굉장히 친한 사이이다. (2) SDGs 9번 : 사회기반 시설 구축, 지속가능한 산업화 증진  인하대학교 마스코트 뇽덕이와 미추홀구의 새로운 마스코트 김수봉을 긴밀한 관계로 엮게 된 이유는 김수봉의 서사에 뇽덕이를 연결시켜서 미추홀구와 인하대학교 양측의 이익을 도모하자는 목표를 이루기 위함이다. 미추홀구의 새로운 마스코트를 제작하는 프로젝트는 기존 구도심적 이미지를 탈피하고 미추홀구에 새로운 이미지를 부여한다. 미추홀구의 마스코트 활동은 미추홀구를 넘어 인천의 인식을 좋은 방향으로 개선시킬 수 있다. 인천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 개선을 통해 젊은 세대의 유입이 증가하게 된다면 결과적으로 지속가능한 목표 SDGs 9번(사회기반 시설 구축, 지속가능한 산업화 증진)달성에 가까워질 수 있다.  5. 김수봉의 목표 및 홍보 계획 (1) 목표 첫 번째 목표 : 젊은 세대의 관심을 모으는 활동 추진 두 번째 목표 : 인천 미추홀구의 특색을 알리기 위한 활동 최종 목표 : 활동을 통해 인천 미추홀구와 인하대학교를 효과적으로 홍보 (2) 홍보계획 수봉이 공식 인스타그램 개설 김수봉 공식 인스타그램 아이디 : kimsubong2_inha (실제로 활동을 통해 팀원이 개설한 인스타그램)  * 인스타그램 ’숏츠‘ 기능을 활용하여 미추홀구 홍보 콘텐츠 제작  * 인스타그램 숏츠 활용 -> 인스타그램의 숏츠 기능을 활용하여 기존의 챌린지인 그쪽도 홍박사님을 아세요?를 오마주하여 그쪽도 수봉산을 아세요? 챌린지 제작  * 대회 개최 : 인덕이 친구 수봉이를 찾아라 --> 미추홀 곳곳에 숨어있는 수봉이,  사람들에게 수봉이가 숨어있는 장소에 대한 역사적인 힌트를 알려주고 추리를 통해 수봉이의 위치를 찾아내기.  * 학산문화원과 협업을 통한 공모전 개최  * 미추홀구 ’마법의 사계절‘ 사진 공모전  각 계절마다 어울리는 미추홀구의 숨은 명소 찾기   * 미추홀구 뮤지엄파크 활용 방안에 관한 주민 아이디어 공모전   * 인천시와 협력하여 각종 이벤트 주최   * 석촌호수 러버덕을 벤치마킹한 수봉산 김수봉 프로젝트 -> 수봉산에 김수봉 캐릭터 동상 세우기  * 수봉네컷 프레임 제작  * 여러 MD 상품 기획 출처  [마계 인천의 어원] https://blog.naver.com/rara4000/222243673919 • 문서쪽수: 24쪽 • 문서크기: 9,753KB • 관리파일(비공개) 1) 보고서 기술지 2) 기록물 활용 동의서
    #인하대학교 #세계시민성교육 #인덕이 #미추홀구 #개발 #구도심 #마스코트 #인천광역시 #마계 #마케팅 #김수봉
    생산일자 2023.12.13
  • 생태계 지킴조 10주차 활동보고서
    인하대학교 프런티어학부대학 세계시민성교육의 일환으로, 생태계 지킴조에서 10주차에 활동한 내용을 정리한 보고서이다. 10주차 활동 결과 조원들과 프로젝트의 주제를 2023년 11월 10일 금요일에 줌(화상채팅)으로 회의를 진행하여 갯벌과 철새 서식지로서의 중요성이란 주제로 정하게 되었고 관련된 SDGs 목표를 14 수자원 보호, 15 생태계 보호로 설정하였다. 또한, 문제상황을 요약하였는데 문제상황은 다음과 같다. 우리나라의 4대 갯벌을 이동 경로의 중심지로 삼는 철새가 멸종되지 않고 다양한 동식물과 함께 서식지, 산란지로서 갯벌에서 잘 공존하기 위해서는 간척 사업을 지양하고 환경 오염을 줄이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이러한 주제를 선정하게 된 이유는 우리 팀의 큰 주제가 갯벌과 철새들이었고 이들을 연관시켜서 주제를 어떤 것으로 정할지 찾아보다 갯벌이 철새들의 서식지와 밀접한 연관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또한, 갯벌이 우리에게 미치는 영향이 적지 않고 오히려 많은 역할을 해주는 중요한 장소임을 깨닫게 되어 갯벌과 철새의 서식지를 프로젝트의 주제로 선정하게 되었다. • 문서쪽수: 4쪽 • 문서크기: 705KB • 관리파일(비공개) 1) 보고서 기술지 2) 기록물 활용 동의서
    #인천광역시 #마시안갯벌 #갯벌 #철새 #서식지 #생태계 #보호 #인하대학교 #세계시민성교육
    생산일자 2023.12.10
  • 생태계 지킴조 11주차 활동보고서
    인하대학교 프런티어학부대학 세계시민성교육의 일환으로, 생태계 지킴조에서 11주차에 활동한 내용을 정리한 보고서이다. 11주차 활동 결과  팀원들과 갯벌-철색서식지로서의 중요성이라는 주제로 활동 보고서를 제출하기 위해 줌으로 회의를 했다. 회의를 통해 우리 팀의 문제 해결 아이디어를 갯벌을 지키는 캠페인을 개최하기로 결정했다. 캠페인 개최의 실행 방법과 전략을 구체적으로 하기 위해서 많은 자료를 찾아봤다. 먼저 우리 팀은 갯벌의 중요성을 알리고 갯벌이 현재 처한 상황을 알리는 영상을 제작한 후 SNS에 업로드 하기로 했다. 그 영상의 마지막 부분에 후원하는 방법을 기재하여 후원금을 모은다. 모은 후원금을 바탕으로 철새 사진 대회를 개최하고 우승 작품을 선정하여 소정의 상품을 주어 많은 사람들의 참여를 유도한다. 이후 학교 측과 협업하여 선발된 대회 사진들을 바탕으로 주민들을 대상으로 하는 무료 전시회를 열어 많은 사람들이 철새와 갯벌에 대해 알고 관심을 갖도록 한다. 또한 전시회에서도 우리 캠페인의 활동을 알리고 모금함을 설치하여 후원금을 받는다. 전시회 앞에서도 전시된 사진으로 만든 엽서나 포토 카드 등을 판매하여 이후 봉사에 쓰일 돈을 마련한다. 여태까지 모은 후원금과 포토카드나 엽서를 통해 모은 돈을 합쳐서 약 40만원 가량의 봉사용 플로깅 키트를 구매 한 후 사람들을 모집하여 갯벌 현장 실습을 시행하고 자원 봉사자들을 모집하여 갯벌을 청소하는 캠페인을 시행한다. 우리의 이런 계획을 홍보하기 위해 학교 캠퍼스 내에 1.5만원 정도의 비용을 들여서 현수막을 설치하고 SNS에 챌린지 형식으로 홍보를 하기로 했다. 우리 팀이 참고한 SNS 홍보 챌린지는 갯벌 방위대 챌린지이다.    • 문서쪽수: 2쪽 • 문서크기: 486KB • 관리파일(비공개) 1) 보고서 기술지 2) 기록물 활용 동의서
    #인하대학교 #세계시민성교육 #생태계 #갯벌 #철새 #서식지 #보고서 #캠페인 #홍보 #챌린지
    생산일자 2023.12.10
  • 생태문화도시 인천만들기
    인하대학교 프런티어학부대학 세계시민성교육의 일환으로, 문화지식 조금이소조에서 성과공유회 시 발표한 자료이다. 제목: 생태문화도시 인천 만들기 인하대학교 세계시민교육 과목에서 생태문화도시 인천 만들기 라는 주제로 제작한 PPT를 조동휘, 금용호, 이정은 팀원이 아이디어를 수집하여 마계도시 인천에 새로운 이명인 생태도시 인천을 만들어보는 자료를 담고 있는 자료다. 목차 마계도시 인천? - 마계도시 인천이라는 이름이 생긴 이유 수학여행의 중심지 ‘인천’ - 이윤생 강씨정려, 낙섬, 용현갯골 방문 코스 수학여행 마무리 – 인천에 새로운 별명 : 생태도시 • 문서쪽수: 9쪽 • 문서크기: 6,415KB • 관리파일(비공개) 1) 보고서 기술지 2) 기록물 활용 동의서
    #인하대학교 #세계시민성교육 #생태문화도시 #인천광역시 #생태도시 #마계도시 #낙섬 #용현갯골 #이윤생 강씨정려
    생산일자 2023.12.13
    12

미추홀시민아카이브

powered by 아카이브센터(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