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카이브 탐색
  • 형태분류
    • 도서/간행물류
    • 문서류 (4)
      • 포스터 및 리플렛
      • 배너
      • 악보
      • 일반문서
    • 사진류
    • 시청각류 (4)
      • 영상
      • 음원
      • 그림
      • 지도
    • 박물류
    • 신문류
    • 구술류
    • 미분류
  • 주제분류
    • 시민기록단 (2)
      • 음식
      • 목공
    • 생태 (3)
      • 산
      • 물
      • 길
    • 생활 (2)
      • 음식
      • 집
    • 지역 (3)
      • 행정구역
      • 마을
      • 장소
    • 인물 (3)
      • 개인
      • 동아리
      • 단체
    • 인문
    • 축제
    • 문화예술 (8)
      • 공연
      • 음악
      • 시각
      • 문학
      • 영상
      • 포럼
      • 행사
      • 기타
    • 사건 (3)
      • 코로나19
      • 시민운동
      • 2002월드컵
    • 미분류
  • 시기분류
    • 2020년대 (5)
      • 2024년
      • 2023년
      • 2022년
      • 2021년
      • 2020년
    • 2010년대 (10)
      • 2019년
      • 2018년
      • 2017년
      • 2016년
      • 2015년
      • 2014년
      • 2013년
      • 2012년
      • 2011년
      • 2010년
    • 2000년대 (9)
      • 2009년
      • 2008년
      • 2007년
      • 2006년
      • 2005년
      • 2004년
      • 2003년
      • 2002년
      • 2001년
    • 1990년대
    • 1980년대
    • 1970년대
    • 1960년대
    • 1950년대
    • 미분류
  • 출처분류
      level = 1 , index = 0 , last = false , child_cnt = 7 , provenance = 미추홀학산문화원 사업
    • 미추홀학산문화원 사업 (7)
        level = 2 , index = 1 , last = false , child_cnt = 3 , provenance = 미추홀지역학
      • 미추홀지역학
      • level = 3 , index = 2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강좌 level = 3 , index = 3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포럼 level = 3 , index = 4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교육프로그램 개발 level = 2 , index = 5 , last = false , child_cnt = 23 , provenance = 미추홀 기록
      • 미추홀 기록
      • level = 3 , index = 6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4 미추홀시민기록단 구술기록 level = 3 , index = 7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3 시민기록단_전세사기 기록 level = 3 , index = 8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3 시민기록단_기계산단 기록 level = 3 , index = 9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2 시민기록단_목공장인 기록 level = 3 , index = 10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1 시민기록단_음식기록 level = 3 , index = 11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0 시민기록단_자체인터뷰 level = 3 , index = 12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2 미담식회 인천음식기록 level = 3 , index = 13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1 미담식회_음식기록 level = 3 , index = 14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1 음식기록 프로젝트 level = 3 , index = 15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4 기록공모_,그때부터 지금까지, 수봉산 level = 3 , index = 16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4 기록공모_사라져 가는 것들 level = 3 , index = 17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3 기록공모_수봉산 level = 3 , index = 18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3 기록공모_집 level = 3 , index = 19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2 기록공모_수봉산 level = 3 , index = 20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2 기록공모_문학산 level = 3 , index = 21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1 기록공모_미추홀의 길 level = 3 , index = 22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1 기록공모_심상공간 level = 3 , index = 23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2 기록공모_학산백일장 level = 3 , index = 24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1 기록공모_학산백일장 level = 3 , index = 25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0 기록공모_학산백일장 level = 3 , index = 26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19 기록프로젝트 '승기천' level = 3 , index = 27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18 기록프로젝트 '신기촌' level = 3 , index = 28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17 미추홀마을영화 level = 2 , index = 29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시민창작활동지원
      • 시민창작활동지원
      • level = 2 , index = 30 , last = false , child_cnt = 8 , provenance = 학산마당극놀래
      • 학산마당극놀래
      • level = 3 , index = 31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4 학산마당극놀래 level = 3 , index = 32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3 학산마당극놀래 level = 3 , index = 33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2 학산마당극놀래 level = 3 , index = 34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1 학산마당극놀래 level = 3 , index = 35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0 학산마당극놀래 level = 3 , index = 36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19 학산마당극놀래 level = 3 , index = 37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18 학산마당극놀래 level = 3 , index = 38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17 학산마당극놀래 level = 2 , index = 39 , last = false , child_cnt = 3 , provenance = 우리고장 국가유산 활용사업
      • 우리고장 국가유산 활용사업
      • level = 3 , index = 40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생생국가유산 level = 3 , index = 41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향교서원 문화유산 활용 level = 3 , index = 42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원도사제 level = 2 , index = 43 , last = false , child_cnt = 2 , provenance = 기관홍보
      • 기관홍보
      • level = 3 , index = 44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연간리플렛 level = 3 , index = 45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기관 제작물 level = 2 , index = 46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콘텐츠
      • 콘텐츠
      • level = 1 , index = 47 , last = false , child_cnt = 3 , provenance = 학산생활문화센터 사업
    • 학산생활문화센터 사업 (3)
        level = 2 , index = 48 , last = false , child_cnt = 5 , provenance = 생활문화
      • 생활문화
      • level = 3 , index = 49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2 동네 살아가다 level = 3 , index = 50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0 동네 살아지다 level = 3 , index = 51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19 동네 살아지다 level = 3 , index = 52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1 학산시민문화마당 level = 3 , index = 53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19 우리도 예술가 level = 2 , index = 54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공연문화
      • 공연문화
      • level = 2 , index = 55 , last = false , child_cnt = 2 , provenance = 공간
      • 공간
      • level = 3 , index = 56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학산소극장 level = 3 , index = 57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생활문화센터 level = 1 , index = 58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지방자치단체
    • 지방자치단체 level = 1 , index = 59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지역기관
    • 지역기관 level = 1 , index = 60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지역단체
    • 지역단체 level = 1 , index = 61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국가기록기관
    • 국가기록기관 level = 1 , index = 62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기업
    • 기업 level = 1 , index = 63 , last = false , child_cnt = 4 , provenance = 시민기증
    • 시민기증 (4)
        level = 2 , index = 64 , last = false , child_cnt = 1 , provenance = 천영기
      • 천영기
      • level = 3 , index = 65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문학산 시리즈 level = 2 , index = 66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이태승
      • 이태승
      • level = 2 , index = 67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김용경
      • 김용경
      • level = 2 , index = 68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류제혁
      • 류제혁
      • level = 1 , index = 69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미분류
    • 미분류 level = 1 , index = 70 , last = true , child_cnt = 0 , provenance = 기타
    • 기타
검색
카드형 갤러리형
총 2036개의 기록물
  • 현충탑
    수봉산에 위치한 현충탑 
    생산일자 2020
  • 문학산 갑옷바위 묘역
    문학산의 사모지 고개를 넘어 근방에 있는 갑옷바위 일대를 찍은 사진이다. 갑옷바위의 주변에는 커다란 돌 7~8개가 흩어져 있었으나, 지금은 찾아볼 수 없이 정돈되어 있다.  [갑옷바위에 얽힌 전설]  전하는 말에 따르면 옛날에는 장수가 이 바위의 아랫부분에 석함을 파고 자기 갑옷과 투구를 감추어 놓고 그 위에다 뚜껑 바위를 덮어 놓았다고 한다. 그리고 누구든지 이 바위를 건들기만 하면 이상하게도 별안간에 뇌성벽력이 쳐서 그 자리에서 벼락을 맞아 죽었다고 한다. 그러던 어느 날 문학산 꼭대기에 있는 안광당의 당집을 지키던 당지기가 호기심이 많아 만용을 부리다가 하마터면 큰 변을 당할 뻔 했다고 한다. 즉 그 당지기는 이 바위를 깨뜨려서 그 속에 무엇이 들었는지 확인할 작정으로 뚜껑바위 아래쪽을 망치로 쳐서 깨뜨리기 시작했다. 이때 듣던 바대로 별안간 청천벽력이 일어나고 천지가 진동하는 괴변이 일어났다고 한다. 이 괴변에 넋을 잃은 당지기는 겁에 질려 그 일을 중단하지 않을 수가 없었다. 그러므로 지금 뚜껑바위 아래쪽이 떨어져 나간 것은 그때 당지기가 깨뜨렸기 때문이라고 전해진다. [출처] 한국학중앙연구원 - 향토문화전자대전 본 사진은 2020년 천영기가 촬영하여 기증한 사진이다. • 촬영장소: 문학산 갑옷바위(문학동) • 촬영일자: 2020년 11월 10일(일) • 사진크기: 6016x4016 • 사진장수: 1장
    #문학산 #갑옷바위 #묘역 #갑옷바위 묘역
    생산일자 2020.11.10
  • 문학산 삼신할매나무
    문학산의 돌 먹는 나무(삼신할매나무)를 촬영한 사진이다. 나무 뿌리가 돌을 품고 있는 모습이라 '돌 먹는 나무'라는 이름이 붙었다. 또한 마치 돌을 출산하고 있는 모습에서 아이를 점지어준다는 삼신할매나무라는 이름도 붙었다. SBS '있다!, 없다?"에 관련 사연이 방영된 바 있다.  본 사진은 2020년 천영기가 촬영하여 기증한 사진이다. • 촬영장소: 문학산 돌 먹는 나무 • 촬영일자: 2020년 4월 5일(일) • 사진크기: 6016x4016 • 사진장수: 1장
    #문학산 #돌 #나무 #돌 먹는 나무 #삼신할매나무
    생산일자 2020.04.05
  • 문학산 제사유적
    문학산의 제사유적을 촬영한 사진이다.  문학산 정상에서 서문 쪽 나무계단으로 내려가면 사모지고개로 내려가는 등산로가 나오고 여기서 300m정도 더 내려간 위치에 있다.  한국고고인류연구소가 2016년 5월부터 7월까지 유적발굴조사를 진행하여 제단시설 터가 발견되었고, 청동기 시대 간 돌 화살촉(마제석촉) 3점과 통일신라 기와편 50점, 토기 20점, 고려 시대 명문기와 청자 각 2점 등 유물 총 100여점이 함께 출토됐다.  2019년 천영기가 촬영하여 기증한 사진이다. • 촬영장소: 문학산 제사유적  • 촬영일자: 2020년 4월 5일(일) • 사진크기: 4032x3024 • 사진장수: 1장 
    #문학산 #제사유적 #유적 #청동기 #토기 #기와편
    생산일자 2020.04.05
  • 문학산 제사유적
    문학산의 제사유적을 촬영한 사진이다.  문학산 정상에서 서문 쪽 나무계단으로 내려가면 사모지고개로 내려가는 등산로가 나오고 여기서 300m정도 더 내려간 위치에 있다.  한국고고인류연구소가 2016년 5월부터 7월까지 유적발굴조사를 진행하여 제단시설 터가 발견되었고, 청동기 시대 간 돌 화살촉(마제석촉) 3점과 통일신라 기와편 50점, 토기 20점, 고려 시대 명문기와 청자 각 2점 등 유물 총 100여점이 함께 출토됐다.  2020년 천영기가 촬영하여 기증한 사진이다. • 촬영장소: 문학산 제사유적  • 촬영일자: 2020년 11월 10일(화) • 사진크기: 6016x4016 • 사진장수: 1장
    #문학산 #제사유적 #유적
    생산일자 2020.11.10
  • 문학산 제사유적
    문학산의 제사유적을 밑에서 바라보며 촬영한 사진이다.  문학산 정상에서 서문 쪽 나무계단으로 내려가면 사모지고개로 내려가는 등산로가 나오고 여기서 300m정도 더 내려간 위치에 있다.  한국고고인류연구소가 2016년 5월부터 7월까지 유적발굴조사를 진행하여 제단시설 터가 발견되었고, 청동기 시대 간 돌 화살촉(마제석촉) 3점과 통일신라 기와편 50점, 토기 20점, 고려 시대 명문기와 청자 각 2점 등 유물 총 100여점이 함께 출토됐다.  2020년 천영기가 촬영하여 기증한 사진이다. • 촬영장소: 문학산 제사유적  • 촬영일자: 2020년 4월 5일(일) • 사진크기: 4032x3024 • 사진장수: 1장
    #문학산 #제사유적 #제사 #유적
    생산일자 2020.04.05
  • 문학산 제사유적에서 바라본 한나루 전경
    문학산의 제사유적에서 한나루(대진나루) 전경을 바라보며 촬영한 사진이다.  제사유적은 문학산 정상에서 서문 쪽 나무계단으로 내려가면 사모지고개로 내려가는 등산로가 나오고 여기서 300m정도 더 내려간 위치에 있다.  한국고고인류연구소가 2016년 5월부터 7월까지 유적발굴조사를 진행하여 제단시설 터가 발견되었고, 청동기 시대 간 돌 화살촉(마제석촉) 3점과 통일신라 기와편 50점, 토기 20점, 고려 시대 명문기와 청자 각 2점 등 유물 총 100여점이 함께 출토됐다.  한나루(大津)는 옛날 사신들이 중국으로 해로를 통해 가기위해, 서울에서 부평 별리현을 거쳐 이 고개를 넘어 한나루(大津)에서 배를 타고 떠났다고  전해지는 곳이다.  2020년 천영기가 촬영하여 기증한 사진이다. • 촬영장소: 문학산 제사유적  • 촬영일자: 2020년 4월 5일(일) • 사진크기: 4032x3024 • 사진장수: 1장
    #문학산 #제사유적 #제사 #유적 #한나루 #대진나루
    생산일자 2020.04.05
  • 문학산 배바위
    문학산 북쪽과 수리봉 사이에 중간지점에 있는 배바위를 촬영한 사진이다.  배바위는 모양이 마치 배와 같이 생겼다 하여 '배바위'라 일컬어 오고 있다. 옛날 조물주가 천지장조를 할 때, 후세 사람들에게 여기가 바다와 육지의 경계선이라 이런 모양의 배가 있었다는 사실을 증거물로 남기기 위해 만들어 졌다고 전한다. [배바위 안내 표지판 설명글 인용]  2020년 천영기가 촬영하여 기증한 사진이다. • 촬영장소: 문학산 배바위 (문학동) • 촬영일자: 2020년 4월 5일(일) • 사진크기: 6016x4016 • 사진장수: 1장
    #문학산 #배바위 #고마리길
    생산일자 2020.04.05
  • 문학산 술바위(중바위)
    문학산의 술바위(중바위)를 촬영한 사진이다. 술바위는 문학산 사모지 고개를 넘어 청학동쪽으로 15m 가량 내려가면 있는 왼쪽 벼랑의 큰 바위를 말한다. 이 바위에는 움푹파인 두 무릎 자국과 두 손자국 외에 머리가 들어갈 만한 구멍이 있어 전설들이 전해진다. 고개를 넘어 수도하는 스님이 있었는데 꿈에 산신령이 나타나 사모지고개 마루턱에 술이 고여있는 바위가 있으니 고개를 넘을 때 마다 그 술을 석 잔씩만 마시면 하늘의 이치를 깨우쳐 대사가 될 것이라 했다. 다음 날 스님은 실제로 술이 고여있는 바위를 보고 매일 석 잔씩 마시며 수도에 힘썼다. 어느 날, 술 석잔을 마셔도 갈증이 풀리지 않자 술을 계속 마셔 술이 떨어지고 말았다. 스님은 술에 취해 바위를 두드렸더니 청천벽력과 함께 용마 한 필이 나와 하늘로 올라가고 스님을 벼락을 맞고 죽었다고 한다. 청학동의 어느 스님이 시주를 하러 학익동으로 매일 고개를 넘어 다녔는데, 어느 날 목이 말라 물을 찾게 되었다. 그런게 갑자기 예쁜 색시가 술 잔을 하나 받쳐 들고 나타나 스님에게 술 석잔을 바치고 사라져 버렸다. 매일 그 장소에 가면 색시가 술 석잔을 주는 일이 반복되었다. 그러던 어느 무더운 여름 날 스님은 색시에게 술 석잔을 받아 들고도 성에 차지가 않아서, 술은 더 달라고 색시에게 말하니, 색시는 바위 뒤로 사라져 다시는 술을 가져오지 않았다고 한다. 스님은 색시가 사라진 바위에 무릎을 꿇고 바위를 머리로 받으며 그 자리에서 죽었다고 한다. 바위의 머리로 받은 자리에 구멍이 생기고 무릎 자국과 손자국이 뚜렷이 생겨졌다고 한다.  그 밖에도 청학동에 사는 가난한 효자 이야기 등의 이야기가 전해진다. 이러한 전설들로 술바위는 중바위, 삼해주바위, 사모주바위, 효자바위 등으로 불린다.  본 사진은 2020년 천영기가 촬영하여 기증한 사진이다. • 촬영장소: 문학산 술바위(중바위) • 촬영일자: 2020년 11월 10일(화) • 사진크기: 6016x4016 • 사진장수: 1장
    #문학산 #유적 #술바위 #중바위 #효자자위 #삼해주바위 #사모주바위
    생산일자 2020.11.10
  • 황운조 청백선정비
    문학산의 황운조 청백선정비를 촬영한 사진이다.  황운조는 조선 정조 21년(1797) 및 23년(1799) 각각 두 차례에 걸쳐 2년여 간 인천부사를 지냈다. 청백선정비는 선정을 배푼 관원의 덕을 기념하기 위해 세운 비석으로 이 선정비가 새겨진 암반은 높이 150cm, 폭 150cm, 두께 100cm로 정면에는 ‘부사황공운조청잭선정비(府使慌恐運祚淸잭善政碑)’라하고, 그 우측에 ‘숭정기원후삼기미오월 일립(崇禎紀元後三己未五月 日立)’이라 새겼다.  당시 명필로 알려졌던 황운조는 강도삼절(강도삼절)로 일컬어졌다. 정조 21년(1979) 왕이 수원현통원으로 행차하는 도중, 인천(仁川) 경내를 지나갈 때 1편의 시를 지어 인천부사 황운조로 하여금 쓰게 하고 인천 관아(官衙)에 걸도록 했던 일화가 있다.  이 비는 본래 정조 23년(1799)현대 위치에서 500m 밑에 떨어진 곳에 있었으나, 1998년 문학산 터널공사를 하면서 청학사 입구로 옮겨졌다. 그의 선정비는 현재 인천향교 앞에도 2기가 남아 있다. (안내판 문구 참조) 본 사진은 2020년 천영기가 촬영하여 기증한 사진이다. • 촬영장소: 황운조 청백선정비 (연수구 비류대로 331번길 178번길, 청학사로 오르는 길) • 촬영일자: 2020년 11월 10일(화) • 사진크기: 6016x4016 • 사진장수: 1장
    #문학산 #유적 #황운조 #청백선정비
    생산일자 2020.11.10
    12345

미추홀시민아카이브

powered by 아카이브센터(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