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카이브 탐색
  • 형태분류
    • 도서/간행물류
    • 문서류 (4)
      • 포스터 및 리플렛
      • 배너
      • 악보
      • 일반문서
    • 사진류
    • 시청각류 (4)
      • 영상
      • 음원
      • 그림
      • 지도
    • 박물류
    • 신문류
    • 구술류
    • 미분류
  • 주제분류
    • 시민기록단 (2)
      • 음식
      • 목공
    • 생태 (3)
      • 산
      • 물
      • 길
    • 생활 (2)
      • 음식
      • 집
    • 지역 (3)
      • 행정구역
      • 마을
      • 장소
    • 인물 (3)
      • 개인
      • 동아리
      • 단체
    • 인문
    • 축제
    • 문화예술 (8)
      • 공연
      • 음악
      • 시각
      • 문학
      • 영상
      • 포럼
      • 행사
      • 기타
    • 사건 (3)
      • 코로나19
      • 시민운동
      • 2002월드컵
    • 미분류
  • 시기분류
    • 2020년대 (5)
      • 2024년
      • 2023년
      • 2022년
      • 2021년
      • 2020년
    • 2010년대 (10)
      • 2019년
      • 2018년
      • 2017년
      • 2016년
      • 2015년
      • 2014년
      • 2013년
      • 2012년
      • 2011년
      • 2010년
    • 2000년대 (9)
      • 2009년
      • 2008년
      • 2007년
      • 2006년
      • 2005년
      • 2004년
      • 2003년
      • 2002년
      • 2001년
    • 1990년대
    • 1980년대
    • 1970년대
    • 1960년대
    • 1950년대
    • 미분류
  • 출처분류
      level = 1 , index = 0 , last = false , child_cnt = 7 , provenance = 미추홀학산문화원 사업
    • 미추홀학산문화원 사업 (7)
        level = 2 , index = 1 , last = false , child_cnt = 3 , provenance = 미추홀지역학
      • 미추홀지역학
      • level = 3 , index = 2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강좌 level = 3 , index = 3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포럼 level = 3 , index = 4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교육프로그램 개발 level = 2 , index = 5 , last = false , child_cnt = 23 , provenance = 미추홀 기록
      • 미추홀 기록
      • level = 3 , index = 6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4 미추홀시민기록단 구술기록 level = 3 , index = 7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3 시민기록단_전세사기 기록 level = 3 , index = 8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3 시민기록단_기계산단 기록 level = 3 , index = 9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2 시민기록단_목공장인 기록 level = 3 , index = 10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1 시민기록단_음식기록 level = 3 , index = 11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0 시민기록단_자체인터뷰 level = 3 , index = 12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2 미담식회 인천음식기록 level = 3 , index = 13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1 미담식회_음식기록 level = 3 , index = 14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1 음식기록 프로젝트 level = 3 , index = 15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4 기록공모_,그때부터 지금까지, 수봉산 level = 3 , index = 16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4 기록공모_사라져 가는 것들 level = 3 , index = 17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3 기록공모_수봉산 level = 3 , index = 18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3 기록공모_집 level = 3 , index = 19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2 기록공모_수봉산 level = 3 , index = 20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2 기록공모_문학산 level = 3 , index = 21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1 기록공모_미추홀의 길 level = 3 , index = 22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1 기록공모_심상공간 level = 3 , index = 23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2 기록공모_학산백일장 level = 3 , index = 24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1 기록공모_학산백일장 level = 3 , index = 25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0 기록공모_학산백일장 level = 3 , index = 26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19 기록프로젝트 '승기천' level = 3 , index = 27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18 기록프로젝트 '신기촌' level = 3 , index = 28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17 미추홀마을영화 level = 2 , index = 29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시민창작활동지원
      • 시민창작활동지원
      • level = 2 , index = 30 , last = false , child_cnt = 8 , provenance = 학산마당극놀래
      • 학산마당극놀래
      • level = 3 , index = 31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4 학산마당극놀래 level = 3 , index = 32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3 학산마당극놀래 level = 3 , index = 33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2 학산마당극놀래 level = 3 , index = 34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1 학산마당극놀래 level = 3 , index = 35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0 학산마당극놀래 level = 3 , index = 36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19 학산마당극놀래 level = 3 , index = 37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18 학산마당극놀래 level = 3 , index = 38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17 학산마당극놀래 level = 2 , index = 39 , last = false , child_cnt = 3 , provenance = 우리고장 국가유산 활용사업
      • 우리고장 국가유산 활용사업
      • level = 3 , index = 40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생생국가유산 level = 3 , index = 41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향교서원 문화유산 활용 level = 3 , index = 42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원도사제 level = 2 , index = 43 , last = false , child_cnt = 2 , provenance = 기관홍보
      • 기관홍보
      • level = 3 , index = 44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연간리플렛 level = 3 , index = 45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기관 제작물 level = 2 , index = 46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콘텐츠
      • 콘텐츠
      • level = 1 , index = 47 , last = false , child_cnt = 3 , provenance = 학산생활문화센터 사업
    • 학산생활문화센터 사업 (3)
        level = 2 , index = 48 , last = false , child_cnt = 5 , provenance = 생활문화
      • 생활문화
      • level = 3 , index = 49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2 동네 살아가다 level = 3 , index = 50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0 동네 살아지다 level = 3 , index = 51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19 동네 살아지다 level = 3 , index = 52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1 학산시민문화마당 level = 3 , index = 53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19 우리도 예술가 level = 2 , index = 54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공연문화
      • 공연문화
      • level = 2 , index = 55 , last = false , child_cnt = 2 , provenance = 공간
      • 공간
      • level = 3 , index = 56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학산소극장 level = 3 , index = 57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생활문화센터 level = 1 , index = 58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지방자치단체
    • 지방자치단체 level = 1 , index = 59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지역기관
    • 지역기관 level = 1 , index = 60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지역단체
    • 지역단체 level = 1 , index = 61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국가기록기관
    • 국가기록기관 level = 1 , index = 62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기업
    • 기업 level = 1 , index = 63 , last = false , child_cnt = 4 , provenance = 시민기증
    • 시민기증 (4)
        level = 2 , index = 64 , last = false , child_cnt = 1 , provenance = 천영기
      • 천영기
      • level = 3 , index = 65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문학산 시리즈 level = 2 , index = 66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이태승
      • 이태승
      • level = 2 , index = 67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김용경
      • 김용경
      • level = 2 , index = 68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류제혁
      • 류제혁
      • level = 1 , index = 69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미분류
    • 미분류 level = 1 , index = 70 , last = true , child_cnt = 0 , provenance = 기타
    • 기타
검색
카드형 갤러리형
총 33개의 기록물
  • 극동방송국과 사택들(1)
    학익동에 위치했던 극동방송국 사옥과 주변 사택 건물을 촬영한 사진이다.  극동 방송국은 인천 최초의 민영 라디오 방송국으로, 1954년 7월 동맹 선교회가 당시 체신부로부터 무선국 설치 허가를 받고 1956년 12월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학익동 588에 설립하였다. 1957년 1월부터 방송을 송출하기 시작하였는데 당시의 명칭은 국제 복음 방송국으로 주로 선교를 목적으로 하는 방송국이었다. 이때 체신부로부터 허가받은 주파수는 1230kHz였고 호출부호는 HLKX이었으며, 우리말과 영어, 중국어 등 3개 국어로 방송을 시작하여 러시아, 몽골, 중국, 북한 등지에 방송을 전파하였다. 다시 말해서 극동 방송국은 우리나라 최초로 해외 방송을 송출한 방송국인 것이다. 극동 방송국 사옥은 현재의 위치에 모두 9개 건물을 사용했고, 방송 송출 안테나는 133m 높이로 바닷가에 세워졌다. 방송국 이름을 극동 방송국으로 바꾼 뒤 1962년 인천광역시 중구 북성동 자유 공원 인근으로 이전했다가 1967년에는 서울특별시 마포구로 옮겨 오늘에 이르고 있다. [출처] 한국학중앙연구원 - 향토문화전자대전 극동 방송국 사옥은 1955년 한국 복음주의 방송이 세운 벽돌 건물로 미국식으로 총 9동 가운데 하나이다. 9동 가운데 1동이 극동 방송국 사옥으로 사용되었고 나머지는 선교사 사택으로 쓰였다. 무선국 사옥과 부속 건물, 사택 등 7동이 온전히 남아 있다. 극동방송국 사옥은 1968년부터 OCI에서 노동조합 사무실로 사용되고 있다가 OCI가 군포공장으로 이전하면서, 인근지역이 인천뮤지엄파크가 들어서는 등의 재개발이 시작되었다. 이런 개발과정 속에 사라질 가능성에 대한 많은 우려가 있었으나 인천시립박물관은 2025년 준공 예정인 인천뮤지엄파크 내에 극동방송 사옥과 선교사 사택의 원형을 보존해 문화공간으로 활용키로 했다고 밝혔다.  본 사진은 2014년 천영기가 촬영하여 기증한 사진이다. • 촬영장소: 극동방송국과 사택 (미추홀구 학익동) • 촬영일자: 2014년 8월 25일(월) • 사진크기: 6016x4016 • 사진장수: 1장
    ##극동방송국 ##천영기 ##문화유산 ##학익동 ##선교사 ##선교사사택 ##건물
    생산일자 2014.08.25
  • 극동방송국과 사택들(2)
    촬영자 : 천영기 촬영일자 : 2014년 8월 25일 촬영장소 : 극동방송국과 사택들   *해당 사진은 천영기 시민기증자가 기증한 사진이다.
    #극동방송국 #천영기 #문화유산 #학익동 #선교사 #선교사사택 #건물
    생산일자 2014.08.25
  • 문학산 갑옷바위
    문학산의 사모지 고개를 넘어 근방에 있는 갑옷바위를 찍은 사진이다. 갑옷바위는 상하 두 부분으로 나눠어져 있으며, 갑옷바위의 둘레에 큰 바위의 둘레에 큰 금이 나 있어 흡사 뚜껑을 닫아놓은 돌함과 같이 되어 있다. 그러나 지금은 그 뚜껑의 아래쪽 부분이 떨어져 달아나 있다. [갑옷바위에 얽힌 전설]  전하는 말에 따르면 옛날에는 장수가 이 바위의 아랫부분에 석함을 파고 자기 갑옷과 투구를 감추어 놓고 그 위에다 뚜껑 바위를 덮어 놓았다고 한다. 그리고 누구든지 이 바위를 건들기만 하면 이상하게도 별안간에 뇌성벽력이 쳐서 그 자리에서 벼락을 맞아 죽었다고 한다. 그러던 어느 날 문학산 꼭대기에 있는 안관당의 당집을 지키던 당지기가 호기심이 많아 만용을 부리다가 하마터면 큰 변을 당할 뻔 했다고 한다. 즉 그 당지기는 이 바위를 깨뜨려서 그 속에 무엇이 들었는지 확인할 작정으로 뚜껑바위 아래쪽을 망치로 쳐서 깨뜨리기 시작했다. 이때 듣던 바대로 별안간 청천벽력이 일어나고 천지가 진동하는 괴변이 일어났다고 한다. 이 괴변에 넋을 잃은 당지기는 겁에 질려 그 일을 중단하지 않을 수가 없었다. 그러므로 지금 뚜껑바위 아래쪽이 떨어져 나간 것은 그때 당지기가 깨뜨렸기 때문이라고 전해진다. [출처] 한국학중앙연구원 - 향토문화전자대전 본 사진은 2019년 천영기가 촬영하여 기증한 사진이다.  • 촬영장소: 문학산 갑옷바위(문학동) • 촬영일자: 2019년 5월 31일(일) • 사진크기: 4032x3024 • 사진장수: 1장
    #바위 #갑옷바위 #문학산
    생산일자 2019.05.31
  • 문학산 갑옷바위 묘역
    문학산의 사모지 고개를 넘어 근방에 있는 갑옷바위 일대를 찍은 사진이다. 갑옷바위의 주변에는 커다란 돌 7~8개가 흩어져 있었으나, 지금은 찾아볼 수 없이 정돈되어 있다.  [갑옷바위에 얽힌 전설]  전하는 말에 따르면 옛날에는 장수가 이 바위의 아랫부분에 석함을 파고 자기 갑옷과 투구를 감추어 놓고 그 위에다 뚜껑 바위를 덮어 놓았다고 한다. 그리고 누구든지 이 바위를 건들기만 하면 이상하게도 별안간에 뇌성벽력이 쳐서 그 자리에서 벼락을 맞아 죽었다고 한다. 그러던 어느 날 문학산 꼭대기에 있는 안광당의 당집을 지키던 당지기가 호기심이 많아 만용을 부리다가 하마터면 큰 변을 당할 뻔 했다고 한다. 즉 그 당지기는 이 바위를 깨뜨려서 그 속에 무엇이 들었는지 확인할 작정으로 뚜껑바위 아래쪽을 망치로 쳐서 깨뜨리기 시작했다. 이때 듣던 바대로 별안간 청천벽력이 일어나고 천지가 진동하는 괴변이 일어났다고 한다. 이 괴변에 넋을 잃은 당지기는 겁에 질려 그 일을 중단하지 않을 수가 없었다. 그러므로 지금 뚜껑바위 아래쪽이 떨어져 나간 것은 그때 당지기가 깨뜨렸기 때문이라고 전해진다. [출처] 한국학중앙연구원 - 향토문화전자대전 본 사진은 2017년 천영기가 촬영하여 기증한 사진이다. • 촬영장소: 문학산 갑옷바위(문학동) • 촬영일자: 2017년 1월 15일(일) • 사진크기: 사진1 5312x2988 / 사진2 1600x1068 • 사진장수: 1장
    #문학산 #갑옷바위 #갑옷바위 묘역 #묘역
    생산일자 2017.01.05
  • 문학산 갑옷바위 묘역
    문학산의 사모지 고개를 넘어 근방에 있는 갑옷바위 일대를 찍은 사진이다. 갑옷바위의 주변에는 커다란 돌 7~8개가 흩어져 있었으나, 지금은 찾아볼 수 없이 정돈되어 있다.  [갑옷바위에 얽힌 전설]  전하는 말에 따르면 옛날에는 장수가 이 바위의 아랫부분에 석함을 파고 자기 갑옷과 투구를 감추어 놓고 그 위에다 뚜껑 바위를 덮어 놓았다고 한다. 그리고 누구든지 이 바위를 건들기만 하면 이상하게도 별안간에 뇌성벽력이 쳐서 그 자리에서 벼락을 맞아 죽었다고 한다. 그러던 어느 날 문학산 꼭대기에 있는 안광당의 당집을 지키던 당지기가 호기심이 많아 만용을 부리다가 하마터면 큰 변을 당할 뻔 했다고 한다. 즉 그 당지기는 이 바위를 깨뜨려서 그 속에 무엇이 들었는지 확인할 작정으로 뚜껑바위 아래쪽을 망치로 쳐서 깨뜨리기 시작했다. 이때 듣던 바대로 별안간 청천벽력이 일어나고 천지가 진동하는 괴변이 일어났다고 한다. 이 괴변에 넋을 잃은 당지기는 겁에 질려 그 일을 중단하지 않을 수가 없었다. 그러므로 지금 뚜껑바위 아래쪽이 떨어져 나간 것은 그때 당지기가 깨뜨렸기 때문이라고 전해진다. [출처] 한국학중앙연구원 - 향토문화전자대전 본 사진은 2019년 천영기가 촬영하여 기증한 사진이다. • 촬영장소: 문학산 갑옷바위(문학동) • 촬영일자: 2019년 5월 31일(일) • 사진크기: 4896x3904 • 사진장수: 1장
    #문학산 #갑옷바위 #묘역 #갑옷바위 묘역
    생산일자 2019.05.31
  • 문학산 갑옷바위 묘역
    문학산의 사모지 고개를 넘어 근방에 있는 갑옷바위 일대를 찍은 사진이다. 갑옷바위의 주변에는 커다란 돌 7~8개가 흩어져 있었으나, 지금은 찾아볼 수 없이 정돈되어 있다.  [갑옷바위에 얽힌 전설]  전하는 말에 따르면 옛날에는 장수가 이 바위의 아랫부분에 석함을 파고 자기 갑옷과 투구를 감추어 놓고 그 위에다 뚜껑 바위를 덮어 놓았다고 한다. 그리고 누구든지 이 바위를 건들기만 하면 이상하게도 별안간에 뇌성벽력이 쳐서 그 자리에서 벼락을 맞아 죽었다고 한다. 그러던 어느 날 문학산 꼭대기에 있는 안광당의 당집을 지키던 당지기가 호기심이 많아 만용을 부리다가 하마터면 큰 변을 당할 뻔 했다고 한다. 즉 그 당지기는 이 바위를 깨뜨려서 그 속에 무엇이 들었는지 확인할 작정으로 뚜껑바위 아래쪽을 망치로 쳐서 깨뜨리기 시작했다. 이때 듣던 바대로 별안간 청천벽력이 일어나고 천지가 진동하는 괴변이 일어났다고 한다. 이 괴변에 넋을 잃은 당지기는 겁에 질려 그 일을 중단하지 않을 수가 없었다. 그러므로 지금 뚜껑바위 아래쪽이 떨어져 나간 것은 그때 당지기가 깨뜨렸기 때문이라고 전해진다. [출처] 한국학중앙연구원 - 향토문화전자대전 본 사진은 2020년 천영기가 촬영하여 기증한 사진이다. • 촬영장소: 문학산 갑옷바위(문학동) • 촬영일자: 2020년 11월 10일(일) • 사진크기: 6016x4016 • 사진장수: 1장
    #문학산 #갑옷바위 #묘역 #갑옷바위 묘역
    생산일자 2020.11.10
  • 문학산 고마리길 고마리꽃 자생지
    문학산의 고마리길을 촬영한 사진이다.  선학역3번출구에서 문학산으로 올라가는 인천둘레길을 따라 고마리길로 접어들어 배바위를 지나 문학산 동쪽 정상으로 오르는 곳 부근에 고마리꽃자생군락지가 있어, 고마리길이라고 흔히 부른다. 고마리길의 고마리꽃은 7~8월경 꽃이 피어 사람들이 많이 찾는다.  고마리꽃은 마디풀과의 한해살이풀. 높이는 70~100cm로,가시가 있으며 흰색 또는 흰색 바탕에 끝에 붉은빛이 도는 꽃이 가지 끝이나 잎겨드랑이에 뭉쳐서 핀다. 열매는 수과(瘦果)를 맺으며 들이나 골짜기에 나는데 한국, 우수리강,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본 사진은 2016년 천영기가 촬영하여 기증한 사진이다. • 촬영장소: 문학산 고마리길(문학동) • 촬영일자: 2016년 9월 24일(토) • 사진크기: 4032x3024 • 사진장수: 1장
    #문학산 #고마리길 #고마리꽃 #자생지
    생산일자 2016.09.24
  • 문학산 고마리길의 고마리꽃
    문학산의 고마리길에 피어있는 고마리꽃을 촬영한 사진이다.  선학역3번출구에서 문학산으로 올라가는 인천둘레길을 따라 길마산 정상으로 가다보면 고마리꽃자생군락지가 있어, 고마리길이라고 흔히 부른다. 고마리길의 고마리꽃은 7~8월경 꽃이 피어 사람들이 많이 찾는다.  고마리꽃은 마디풀과의 한해살이풀. 높이는 70~100cm로,가시가 있으며 흰색 또는 흰색 바탕에 끝에 붉은빛이 도는 꽃이 가지 끝이나 잎겨드랑이에 뭉쳐서 핀다. 열매는 수과(瘦果)를 맺으며 들이나 골짜기에 나는데 한국, 우수리강,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본 사진은 2019년 천영기가 촬영하여 기증한 사진이다. • 촬영장소: 문학산 고마리길(문학동) • 촬영일자: 2016년 9월 24일(토) • 사진크기: 5312x2988 • 사진장수: 4장
    #문학산 #고마리길 #고마리꽃 #꽃
    생산일자 2016.09.24
  • 문학산 배바위
    문학산 북쪽과 수리봉 사이에 중간지점에 있는 배바위를 촬영한 사진이다.  배바위는 모양이 마치 배와 같이 생겼다 하여 '배바위'라 일컬어 오고 있다. 옛날 조물주가 천지장조를 할 때, 후세 사람들에게 여기가 바다와 육지의 경계선이라 이런 모양의 배가 있었다는 사실을 증거물로 남기기 위해 만들어 졌다고 전한다. [배바위 안내 표지판 설명글 인용]  2017년 천영기가 촬영하여 기증한 사진이다. • 촬영장소: 문학산 배바위 (문학동) • 촬영일자: 2017년 10월 28일(금) • 사진크기: 5312x2988 • 사진장수: 1장  
    #문학산 #유적 #배바위 #고마리길
    생산일자 2017.10.28
  • 문학산 배바위
    문학산 북쪽과 수리봉 사이에 중간지점에 있는 배바위를 촬영한 사진이다.  배바위는 모양이 마치 배와 같이 생겼다 하여 '배바위'라 일컬어 오고 있다. 옛날 조물주가 천지장조를 할 때, 후세 사람들에게 여기가 바다와 육지의 경계선이라 이런 모양의 배가 있었다는 사실을 증거물로 남기기 위해 만들어 졌다고 전한다. [배바위 안내 표지판 설명글 인용]  2019년 천영기가 촬영하여 기증한 사진이다. • 촬영장소: 문학산 배바위 (문학동) • 촬영일자: 2019년 9월 19일(목) • 사진크기: 4032x3024 • 사진장수: 1장  
    #문학산 #배바위 #고마리길
    생산일자 2019.09.19
    1234

미추홀시민아카이브

powered by 아카이브센터(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