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카이브 탐색
  • 형태분류
    • 도서/간행물류
    • 문서류 (4)
      • 포스터 및 리플렛
      • 배너
      • 악보
      • 일반문서
    • 사진류
    • 시청각류 (4)
      • 영상
      • 음원
      • 그림
      • 지도
    • 박물류
    • 신문류
    • 구술류
    • 미분류
  • 주제분류
    • 시민기록단 (2)
      • 음식
      • 목공
    • 생태 (3)
      • 산
      • 물
      • 길
    • 생활 (2)
      • 음식
      • 집
    • 지역 (3)
      • 행정구역
      • 마을
      • 장소
    • 인물 (3)
      • 개인
      • 동아리
      • 단체
    • 인문
    • 축제
    • 문화예술 (8)
      • 공연
      • 음악
      • 시각
      • 문학
      • 영상
      • 포럼
      • 행사
      • 기타
    • 사건 (3)
      • 코로나19
      • 시민운동
      • 2002월드컵
    • 미분류
  • 시기분류
    • 2020년대 (5)
      • 2024년
      • 2023년
      • 2022년
      • 2021년
      • 2020년
    • 2010년대 (10)
      • 2019년
      • 2018년
      • 2017년
      • 2016년
      • 2015년
      • 2014년
      • 2013년
      • 2012년
      • 2011년
      • 2010년
    • 2000년대 (9)
      • 2009년
      • 2008년
      • 2007년
      • 2006년
      • 2005년
      • 2004년
      • 2003년
      • 2002년
      • 2001년
    • 1990년대
    • 1980년대
    • 1970년대
    • 1960년대
    • 1950년대
    • 미분류
  • 출처분류
      level = 1 , index = 0 , last = false , child_cnt = 7 , provenance = 미추홀학산문화원 사업
    • 미추홀학산문화원 사업 (7)
        level = 2 , index = 1 , last = false , child_cnt = 3 , provenance = 미추홀지역학
      • 미추홀지역학
      • level = 3 , index = 2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강좌 level = 3 , index = 3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포럼 level = 3 , index = 4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교육프로그램 개발 level = 2 , index = 5 , last = false , child_cnt = 23 , provenance = 미추홀 기록
      • 미추홀 기록
      • level = 3 , index = 6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4 미추홀시민기록단 구술기록 level = 3 , index = 7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3 시민기록단_전세사기 기록 level = 3 , index = 8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3 시민기록단_기계산단 기록 level = 3 , index = 9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2 시민기록단_목공장인 기록 level = 3 , index = 10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1 시민기록단_음식기록 level = 3 , index = 11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0 시민기록단_자체인터뷰 level = 3 , index = 12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2 미담식회 인천음식기록 level = 3 , index = 13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1 미담식회_음식기록 level = 3 , index = 14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1 음식기록 프로젝트 level = 3 , index = 15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4 기록공모_,그때부터 지금까지, 수봉산 level = 3 , index = 16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4 기록공모_사라져 가는 것들 level = 3 , index = 17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3 기록공모_수봉산 level = 3 , index = 18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3 기록공모_집 level = 3 , index = 19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2 기록공모_수봉산 level = 3 , index = 20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2 기록공모_문학산 level = 3 , index = 21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1 기록공모_미추홀의 길 level = 3 , index = 22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1 기록공모_심상공간 level = 3 , index = 23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2 기록공모_학산백일장 level = 3 , index = 24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1 기록공모_학산백일장 level = 3 , index = 25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0 기록공모_학산백일장 level = 3 , index = 26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19 기록프로젝트 '승기천' level = 3 , index = 27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18 기록프로젝트 '신기촌' level = 3 , index = 28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17 미추홀마을영화 level = 2 , index = 29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시민창작활동지원
      • 시민창작활동지원
      • level = 2 , index = 30 , last = false , child_cnt = 8 , provenance = 학산마당극놀래
      • 학산마당극놀래
      • level = 3 , index = 31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4 학산마당극놀래 level = 3 , index = 32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3 학산마당극놀래 level = 3 , index = 33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2 학산마당극놀래 level = 3 , index = 34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1 학산마당극놀래 level = 3 , index = 35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0 학산마당극놀래 level = 3 , index = 36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19 학산마당극놀래 level = 3 , index = 37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18 학산마당극놀래 level = 3 , index = 38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17 학산마당극놀래 level = 2 , index = 39 , last = false , child_cnt = 3 , provenance = 우리고장 국가유산 활용사업
      • 우리고장 국가유산 활용사업
      • level = 3 , index = 40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생생국가유산 level = 3 , index = 41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향교서원 문화유산 활용 level = 3 , index = 42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원도사제 level = 2 , index = 43 , last = false , child_cnt = 2 , provenance = 기관홍보
      • 기관홍보
      • level = 3 , index = 44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연간리플렛 level = 3 , index = 45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기관 제작물 level = 2 , index = 46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콘텐츠
      • 콘텐츠
      • level = 1 , index = 47 , last = false , child_cnt = 3 , provenance = 학산생활문화센터 사업
    • 학산생활문화센터 사업 (3)
        level = 2 , index = 48 , last = false , child_cnt = 5 , provenance = 생활문화
      • 생활문화
      • level = 3 , index = 49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2 동네 살아가다 level = 3 , index = 50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0 동네 살아지다 level = 3 , index = 51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19 동네 살아지다 level = 3 , index = 52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1 학산시민문화마당 level = 3 , index = 53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19 우리도 예술가 level = 2 , index = 54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공연문화
      • 공연문화
      • level = 2 , index = 55 , last = false , child_cnt = 2 , provenance = 공간
      • 공간
      • level = 3 , index = 56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학산소극장 level = 3 , index = 57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생활문화센터 level = 1 , index = 58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지방자치단체
    • 지방자치단체 level = 1 , index = 59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지역기관
    • 지역기관 level = 1 , index = 60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지역단체
    • 지역단체 level = 1 , index = 61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국가기록기관
    • 국가기록기관 level = 1 , index = 62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기업
    • 기업 level = 1 , index = 63 , last = false , child_cnt = 4 , provenance = 시민기증
    • 시민기증 (4)
        level = 2 , index = 64 , last = false , child_cnt = 1 , provenance = 천영기
      • 천영기
      • level = 3 , index = 65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문학산 시리즈 level = 2 , index = 66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이태승
      • 이태승
      • level = 2 , index = 67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김용경
      • 김용경
      • level = 2 , index = 68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류제혁
      • 류제혁
      • level = 1 , index = 69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미분류
    • 미분류 level = 1 , index = 70 , last = true , child_cnt = 0 , provenance = 기타
    • 기타
검색
카드형 갤러리형
총 20개의 기록물
  • 2024 미추홀시민기록단 3기 모집 홍보물
    미추홀학산문화원이 2024년 7월25일부터 8월13일까지 미추홀시민기록단 3기를 모집하기 위한 포스터이다.  기록단 모집 취지 및 활동내용 및 교육 안내에 대한 내용이 수록되어 있다.  • 쪽수 : 2쪽 • 크기 : 2.84MB • 관련파일(비공개) 1. 미추홀시민기록단 신청서 양식
    생산일자 2024.07.24
  • 미추홀구사 1권 역사 편
    우리 구의 유구한 역사를 비롯하여, 정치·경제·사회·문화 등 다양한 분야를 체계적으로 종합한 『미추홀구사』가 편찬되었습니다. 이를 통해, 우리 미추홀구는 지역의 역사와 문화를 바르게 이해하고, 함께 영유해야할 소중한 전통과 문화유산을 보존·계승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습니다. 이제 미추홀에 담긴 우리 구의 역사·문화적 정체성은 미추홀구의 역사를 담은 첫 기록인 미추홀구사에 이어져 면면히 전승될 것입니다. 해당 편에서는 미추홀구사 중 미추홀구의 역사에 직접 관련되는 내용을 중심으로 서술하고 있습니다. • 발행지 : 미추홀구사편찬위원회 • ISBN : 9791197257247 • 발간연도 : 2022년 3월 • 출판사 :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문화예술과 • 쪽수 : 647쪽 아래의 PDF 파일 링크를 통해 전문을 확인할 수 있다. https://www.michuhol.go.kr/culture/content.do?sq=1151
    #미추홀구사 #경인고속도로 #경인선 #다소면 #문학산 #수봉산 #수인선 #인주 이씨 #인천대학교 #인천도호부 #인천향교 #인천화교협회 #인하대학교 #제물포역 #주안역 #주안염전 #학산서원
    생산일자 2022.03.00
  • 미추홀구사 2권 삶의 터전과 도시발전 편
    우리 구의 유구한 역사를 비롯하여, 정치·경제·사회·문화 등 다양한 분야를 체계적으로 종합한 『미추홀구사』가 편찬되었습니다. 이를 통해, 우리 미추홀구는 지역의 역사와 문화를 바르게 이해하고, 함께 영유해야할 소중한 전통과 문화유산을 보존·계승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습니다. 이제 미추홀에 담긴 우리 구의 역사·문화적 정체성은 미추홀구의 역사를 담은 첫 기록인 미추홀구사에 이어져 면면히 전승될 것입니다. 해당 편에서는 미추홀구사 중 미추홀구의 삶의 터전과 도시발전에 직접 관련되는 내용을 중심으로 서술하고 있습니다. • 발행지 : 미추홀구사편찬위원회 • ISBN : 9791197257254 • 발간연도 : 2022년 3월 • 출판사 :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문화예술과 • 쪽수 : 495쪽 아래의 PDF 파일 링크를 통해 전문을 확인할 수 있다. https://www.michuhol.go.kr/culture/content.do?sq=1151
    #미추홀구사 #경인고속도로 #경인선 #도시재생 #마을공동체 #마을만들기 #문학동 #문학산 #석바위 #수봉산 #숭의동 #용현동 #인주대로 #인천대학교 #인천도호부 #인하대학교 #제물포역 #주안동 #주안역 #학익동
    생산일자 2022.03.00
  • 미추홀구사 3권 교육과 사회문화 편
    우리 구의 유구한 역사를 비롯하여, 정치·경제·사회·문화 등 다양한 분야를 체계적으로 종합한 『미추홀구사』가 편찬되었습니다. 이를 통해, 우리 미추홀구는 지역의 역사와 문화를 바르게 이해하고, 함께 영유해야할 소중한 전통과 문화유산을 보존·계승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습니다. 이제 미추홀에 담긴 우리 구의 역사·문화적 정체성은 미추홀구의 역사를 담은 첫 기록인 미추홀구사에 이어져 면면히 전승될 것입니다. 해당 편에서는 미추홀구사 중 미추홀구의 교육과 사회문화에 직접 관련되는 내용을 중심으로 서술하고 있습니다. • 발행지 : 미추홀구사편찬위원회 • ISBN : 9791197257261 • 발간연도 : 2022년 3월 • 출판사 :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문화예술과 • 쪽수 : 507쪽 아래의 PDF 파일 링크를 통해 전문을 확인할 수 있다. https://www.michuhol.go.kr/culture/content.do?sq=1151
    #미추홀구사 #경인일보 #극동방송 #기호일보 #북스타트 #수인선 #영화공간주안 #우각로 #인천고등학교 #인천도호부 #인천시민회관 #인천향교 #인하대학교 #주안역 #주안염전 #평생학습관
    생산일자 2022.03.00
  • 미추홀구사 4권 전통과 문화유산 편
    우리 구의 유구한 역사를 비롯하여, 정치·경제·사회·문화 등 다양한 분야를 체계적으로 종합한 『미추홀구사』가 편찬되었습니다. 이를 통해, 우리 미추홀구는 지역의 역사와 문화를 바르게 이해하고, 함께 영유해야할 소중한 전통과 문화유산을 보존·계승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습니다. 이제 미추홀에 담긴 우리 구의 역사·문화적 정체성은 미추홀구의 역사를 담은 첫 기록인 미추홀구사에 이어져 면면히 전승될 것입니다. 해당 편에서는 미추홀구사 중 미추홀구의 전통과 문화유산에 직접 관련되는 내용을 중심으로 서술하고 있습니다. • 발행지 : 미추홀구사편찬위원회 • ISBN : 9791197257278 • 발간연도 : 2022년 3월 • 출판사 :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문화예술과 • 쪽수 : 567쪽 아래의 PDF 파일 링크를 통해 전문을 확인할 수 있다. https://www.michuhol.go.kr/culture/content.do?sq=1151
    #미추홀구사 #고인돌 #문학산 #문학산성 #비류 #선정비 #염전 #이경성 #인천도호부 #인천소년교도소 #인천향교 #인하대학교 #학산서원
    생산일자 2022.03.00
  • 미추홀구사 5권 주민들의 추억과 삶 편
    우리 구의 유구한 역사를 비롯하여, 정치·경제·사회·문화 등 다양한 분야를 체계적으로 종합한 『미추홀구사』가 편찬되었습니다. 이를 통해, 우리 미추홀구는 지역의 역사와 문화를 바르게 이해하고, 함께 영유해야할 소중한 전통과 문화유산을 보존·계승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습니다. 이제 미추홀에 담긴 우리 구의 역사·문화적 정체성은 미추홀구의 역사를 담은 첫 기록인 미추홀구사에 이어져 면면히 전승될 것입니다. 해당 편에서는 미추홀구사 중 미추홀구 주민들의 추억과 삶에 직접 관련되는 내용을 중심으로 서술하고 있습니다. • 발행지 : 미추홀구사편찬위원회 • ISBN : 9791197257285 • 발간연도 : 2022년 3월 • 출판사 :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문화예술과 • 쪽수 : 483쪽 아래의 PDF 파일 링크를 통해 전문을 확인할 수 있다. https://www.michuhol.go.kr/culture/content.do?sq=1151
    #미추홀구사 #경인선 #낙섬 #대성목재 #동양화학 #문학산 #석바위 #수봉공원 #수봉산 #숭의평화시장 #신기시장 #아폴로극장 #여우실 #용현시장 #인천고등학교 #인천기계공업고등학교 #인천문학경기장 #인천상륙작전 #전도관 #제일시장 #중앙극장 #토지금고
    생산일자 2022.03.00
  • 문학산 역사관 도록
    문학산 역사관은 문학산의 역사와 문화를 수집‧전시하여, 그 가치와 의미를 공유하고 있는 전시관이다.  2018년 9월, 미추홀 2,000년의 역사와 문화를 품고 있는 문학산의 가치를 널리 알리고, 문학산 문화유산의 보존과 지역정체성을 발현하기 위해 관할 군부대의 승인을 받아 군사시설을 리모델링하여 개관하였다.  문학산의 역사문화 인프라를 구축하여 우리 구의 역사‧문화 중심지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며, 유휴자원을 활용하여 교육 공간으로써 다양한 체험 및 역사 탐방프로그램을 운영하여 시민들에게 유익하고 건강한 문화행사를 제공하고 있다. 이 도록은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문학산역사관의 전시 및 활동 사항을 수록한 도록이다. • 발행지 :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문학산 역사관 • ISBN : 9791197257209 03910 • 발간연도 : 2020년 11월 30일 • 출판사 :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 쪽수 : 149쪽 아래의 PDF 파일 링크를 통해 전문을 확인할 수 있다. https://www.michuhol.go.kr/culture/museum/view.do?sq=79126&depth1_cat_cd=&theme_cat_cd=003001001001&sq=79126&search=eyJ0aGVtZV9jYXRfY2QiOiIwMDMwMDEwMDEwMDEifQ==
    #문학산역사관 #문학산 #박물관 #문학산성 #비류 #미추홀
    생산일자 2020.11.30
  • 독정이 마을박물관 도록
    미추홀구청과 인천광역시시립박물관은 상호 협업을 통해 역사‧문화자산 기반의 도시재생과 문화적 전통을 공유하기 위한 방편으로 마을박물관을 조성하였다.  독정이 마을박물관은 2017년 11월 제3호 마을박물관으로써 용현 1‧4동 행정복지센터 신청사 2층에서 문을 열었다. 미추홀구 마을박물관은 마을의 역사와 주민들의 삶을 조명하여 마을이 간직한 역사·문화를 수집하고 전시하여 지역 공동체 재생을 도모하고 있으며, 주민들로 구성된 ‘마을큐레이터’가 직접 전시를 기획·운영하는 주민 주도형 마을박물관이다. 이 도록은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독정이마을박물관의 전시 및 활동 사항을 수록한 도록이다. • 발행지 :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독정이마을박물관 • ISBN : 9791197257223 03910 • 발간연도 : 2020년 12월 • 출판사 :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 쪽수 : 95쪽 아래의 PDF 파일 링크를 통해 전문을 확인할 수 있다. https://www.michuhol.go.kr/culture/museum/view.do?sq=79129&depth1_cat_cd=&theme_cat_cd=003001001001&sq=79129&search=eyJ0aGVtZV9jYXRfY2QiOiIwMDMwMDEwMDEwMDEiLCJwYWdlIjoiMSJ9
    #독정이마을박물관 #마을박물관 #마을큐레이터 #독정이 #독쟁이 #용현동 #용일초 #용일시장 #경인고속도로 #인하대
    생산일자 2020.12.00
  • 인천, 그 이름에 얽힌 역사_미추홀은 물골이다
    우리가 살고 있는 인천에는 많은 동네 이름들이 있다. 그런데 막상 그 이름들이 무슨 뜻인지 물어보면 전혀 모르거나 잘못 알고 있는 사람들이 대부분이다. 이처럼 전혀 사실이 아닌 내용이 사실인 것처럼 널리 퍼져 있는 것은 그 이름들의 뜻을 제대로 알려주는 자료나 배울 수 있는 기회가 별로 없기 때문이다. 동네 이름이나 땅 이름처럼 여러 사람이 오랜 세월 동안 불러온 이름에는 그 사람들이 먼 조상 대(代)부터 생각하고 이해해온 집단적인 세계관이 깃들게 된다. 따라서 동네와 땅 이름의 유래를 알아보는 일은 단순한 재미 차원을 넘어 우리 민족이 품고 있는 정신세계를 탐구하는 인문학의 중요한 한 줄기가 된다. 그런 면에서 이 책은 우리 시민들에게 여러 동네 이름들의 뜻과 사연을 제대로 알려주고, 잘못 알려져 있는 내용들을 바로잡기 위해 「(사)인천사랑운동시민협의회」가 기획하고 펴낸 것이다. 「인천 이야기 시리즈(인천, 그 이름에 얽힌 역사)」의 첫 편으로 기획한 이 책은 인천(仁川)과 미추홀(彌鄒忽)·매소홀(買召忽)의 뜻을 비롯해 중구·동구·미추홀구·남동구·연수구 등 5개 구(區) 115개 동네와 지역 이름의 유래 설명을 담고 있다. • 발행지 : (사)인천사랑운동시민협의회 • 출판주기 : 연간 • 발간연도 : 2020년 7월 • 출판사 : (사)인천사랑운동시민협의회, 인천사랑운동센터 • 쪽수 : 374쪽 아래의 E-BOOK 링크를 통해 전문을 확인할 수 있다. http://bypub.kr/ebook/samo/index.html#p=1
    #미추홀 #동네 #지명 #유래 #역사 #인문학
    생산일자 2020.07.00
  • 인천광역시 미추홀구(남구) 역사문화총서_04_도시마을생활사 관교동·문학동 편
    미추홀구, 도시에서 마을의 역사와 공동체의 가치를 찾다. ‘마을’은 사람들이 일정한 공간적 범위 안에 생산과 소비, 문화적 전통을 공유하며 더불어 사는 ‘지역공동체’를 의미한다. 현재 우리가 살아가고 있는 도시에서도 이러한 개념의 마을을 찾을 수 있을까? 도시에는 마을이 없다는 편견을 깨고 ‘마을 공동체’의 현재적 모습을 재발견하려는 노력의 하나로 도시마을생활사 시리즈를 기획했다. 미추홀구 전역을 4개의 생활문화 권역으로 구분하여, ① 숭의동·도화동 ②용현동·학익동 ③ 주안동 ④ 관교동·문학동 편으로 나눠 연차적으로 편찬하였다. 이 책은 미시적인 관점에서 도시마을의 역사와 주민들의 구체적인 삶의 모습을 엿볼 수 있다. 해당 편은 인천광역시 미추홀구(남구) 중 관교동·문학동과 직접 관련되는 내용을 중심으로 서술하고 있다. • 발행지 :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 ISBN : 9791195548200 • 출판주기 : 연간 • 발간연도 : 2019년 2월 11일 • 출판사 : 인천광역시 미추홀구청 문화예술과 • 쪽수 : 439쪽 아래의 PDF 파일 링크를 통해 전문을 확인할 수 있다. https://www.michuhol.go.kr/culture/content.do?sq=938
    #도시마을생활사 #관교동 #문학동 #지역기록 #구술채록 #민속문화
    생산일자 2019.02.11
    12

미추홀시민아카이브

powered by 아카이브센터(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