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카이브 탐색
  • 형태분류
    • 도서/간행물류
    • 문서류 (4)
      • 포스터 및 리플렛
      • 배너
      • 악보
      • 일반문서
    • 사진류
    • 시청각류 (4)
      • 영상
      • 음원
      • 그림
      • 지도
    • 박물류
    • 신문류
    • 구술류
    • 미분류
  • 주제분류
    • 시민기록단 (2)
      • 음식
      • 목공
    • 생태 (3)
      • 산
      • 물
      • 길
    • 생활 (2)
      • 음식
      • 집
    • 지역 (3)
      • 행정구역
      • 마을
      • 장소
    • 인물 (3)
      • 개인
      • 동아리
      • 단체
    • 인문
    • 축제
    • 문화예술 (8)
      • 공연
      • 음악
      • 시각
      • 문학
      • 영상
      • 포럼
      • 행사
      • 기타
    • 사건 (3)
      • 코로나19
      • 시민운동
      • 2002월드컵
    • 미분류
  • 시기분류
    • 2020년대 (5)
      • 2024년
      • 2023년
      • 2022년
      • 2021년
      • 2020년
    • 2010년대 (10)
      • 2019년
      • 2018년
      • 2017년
      • 2016년
      • 2015년
      • 2014년
      • 2013년
      • 2012년
      • 2011년
      • 2010년
    • 2000년대 (9)
      • 2009년
      • 2008년
      • 2007년
      • 2006년
      • 2005년
      • 2004년
      • 2003년
      • 2002년
      • 2001년
    • 1990년대
    • 1980년대
    • 1970년대
    • 1960년대
    • 1950년대
    • 미분류
  • 출처분류
      level = 1 , index = 0 , last = false , child_cnt = 7 , provenance = 미추홀학산문화원 사업
    • 미추홀학산문화원 사업 (7)
        level = 2 , index = 1 , last = false , child_cnt = 3 , provenance = 미추홀지역학
      • 미추홀지역학
      • level = 3 , index = 2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강좌 level = 3 , index = 3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포럼 level = 3 , index = 4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교육프로그램 개발 level = 2 , index = 5 , last = false , child_cnt = 23 , provenance = 미추홀 기록
      • 미추홀 기록
      • level = 3 , index = 6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4 미추홀시민기록단 구술기록 level = 3 , index = 7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3 시민기록단_전세사기 기록 level = 3 , index = 8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3 시민기록단_기계산단 기록 level = 3 , index = 9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2 시민기록단_목공장인 기록 level = 3 , index = 10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1 시민기록단_음식기록 level = 3 , index = 11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0 시민기록단_자체인터뷰 level = 3 , index = 12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2 미담식회 인천음식기록 level = 3 , index = 13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1 미담식회_음식기록 level = 3 , index = 14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1 음식기록 프로젝트 level = 3 , index = 15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4 기록공모_,그때부터 지금까지, 수봉산 level = 3 , index = 16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4 기록공모_사라져 가는 것들 level = 3 , index = 17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3 기록공모_수봉산 level = 3 , index = 18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3 기록공모_집 level = 3 , index = 19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2 기록공모_수봉산 level = 3 , index = 20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2 기록공모_문학산 level = 3 , index = 21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1 기록공모_미추홀의 길 level = 3 , index = 22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1 기록공모_심상공간 level = 3 , index = 23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2 기록공모_학산백일장 level = 3 , index = 24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1 기록공모_학산백일장 level = 3 , index = 25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0 기록공모_학산백일장 level = 3 , index = 26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19 기록프로젝트 '승기천' level = 3 , index = 27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18 기록프로젝트 '신기촌' level = 3 , index = 28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17 미추홀마을영화 level = 2 , index = 29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시민창작활동지원
      • 시민창작활동지원
      • level = 2 , index = 30 , last = false , child_cnt = 8 , provenance = 학산마당극놀래
      • 학산마당극놀래
      • level = 3 , index = 31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4 학산마당극놀래 level = 3 , index = 32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3 학산마당극놀래 level = 3 , index = 33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2 학산마당극놀래 level = 3 , index = 34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1 학산마당극놀래 level = 3 , index = 35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0 학산마당극놀래 level = 3 , index = 36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19 학산마당극놀래 level = 3 , index = 37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18 학산마당극놀래 level = 3 , index = 38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17 학산마당극놀래 level = 2 , index = 39 , last = false , child_cnt = 3 , provenance = 우리고장 국가유산 활용사업
      • 우리고장 국가유산 활용사업
      • level = 3 , index = 40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생생국가유산 level = 3 , index = 41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향교서원 문화유산 활용 level = 3 , index = 42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원도사제 level = 2 , index = 43 , last = false , child_cnt = 2 , provenance = 기관홍보
      • 기관홍보
      • level = 3 , index = 44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연간리플렛 level = 3 , index = 45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기관 제작물 level = 2 , index = 46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콘텐츠
      • 콘텐츠
      • level = 1 , index = 47 , last = false , child_cnt = 3 , provenance = 학산생활문화센터 사업
    • 학산생활문화센터 사업 (3)
        level = 2 , index = 48 , last = false , child_cnt = 5 , provenance = 생활문화
      • 생활문화
      • level = 3 , index = 49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2 동네 살아가다 level = 3 , index = 50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0 동네 살아지다 level = 3 , index = 51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19 동네 살아지다 level = 3 , index = 52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1 학산시민문화마당 level = 3 , index = 53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19 우리도 예술가 level = 2 , index = 54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공연문화
      • 공연문화
      • level = 2 , index = 55 , last = false , child_cnt = 2 , provenance = 공간
      • 공간
      • level = 3 , index = 56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학산소극장 level = 3 , index = 57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생활문화센터 level = 1 , index = 58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지방자치단체
    • 지방자치단체 level = 1 , index = 59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지역기관
    • 지역기관 level = 1 , index = 60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지역단체
    • 지역단체 level = 1 , index = 61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국가기록기관
    • 국가기록기관 level = 1 , index = 62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기업
    • 기업 level = 1 , index = 63 , last = false , child_cnt = 4 , provenance = 시민기증
    • 시민기증 (4)
        level = 2 , index = 64 , last = false , child_cnt = 1 , provenance = 천영기
      • 천영기
      • level = 3 , index = 65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문학산 시리즈 level = 2 , index = 66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이태승
      • 이태승
      • level = 2 , index = 67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김용경
      • 김용경
      • level = 2 , index = 68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류제혁
      • 류제혁
      • level = 1 , index = 69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미분류
    • 미분류 level = 1 , index = 70 , last = true , child_cnt = 0 , provenance = 기타
    • 기타
검색
카드형 갤러리형
총 54개의 기록물
  • 2019 미추홀 살아지다2 '승기천을 기억하다'
    2019년 미추홀 살아지다 시리즈 '승기천을 기억하다' 도서이다. '승기천'은 수봉산에서 발원하여, 미추홀구를 가로질러 남동구, 연수구를 지나 황해로 흘러가는 하천으로 인천 도심을 관통하는 유일한 하천입니다. 그러나 60~80년도에 이르러, 도시가 팽창하는 과정에서 미추홀구 일대의 상류 구간이 토지정리구획사업으로 복개되어, 길과 도로의 아래로 사라지게 되었습니다. 미추홀학산문화원은 주민들의 '승기천'에 대한 기억을 모아 기록으로 남기고자, 마을지 [ 미추홀, 살아지다2 승기천을 기억하다]를 발간하게 되었습니다. 숭의동에서부터, 토박이부터 이주민까지, 삶의 터전 혹은 놀이터였던 승기천에서의 다양한 기억과 추억을 실은 13명의 인생 이야기들을 담았습니다. - [미추홀, 살아지다2 승기천을 기억하다] 발간사 중 - 기획·엮음: 미추홀학산문화원 • 재질: 종이 • 크기: 154x210
    #승기천 #생태 #구술 #기록 #환경 #기억 #미추홀살아지다
    생산일자 2019.12.30
  • 2022 미추홀시민로드 '생태문화이음길' 리플렛
    미추홀학산문화원은 미추홀 생태문화를 종합적으로 둘러볼 수 있는 탐방과정을 운영하고자 한다. 따라서 이에 '생태문화이음길' 홍보이미지를 제작하여 게재하였다. - 일시: 11월 2일(수)~12월 21일(수) 매주 수요일 오후 2시 - 대상: 인천 시민 누구나 • 관리 파일(비공개) 1. 인스타그램 홍보이미지 2부 2. 인쇄용 홍보이미지 1부
    #미추홀학산문화원 #미추홀시민로드 #생태문화이음길 #미추홀 #길 #물 #산 #탐방 #강좌
    생산일자 2022.11.01
  • [카카오같이가치]인천 미추홀구 유일한 생태습지 용현갯골을 지켜주세요!
    용현갯골 안내판 제작을 위하여 카카오같이가치 플랫폼을 통해 진행한 펀딩 프로젝트 프로젝트명 : 인천 미추홀구 유일한 생태습지 용현갯골을 지켜주세요! 모금금액 : 1,600,000원 (달성완료) 모금기간 :2021.11.10 ~ 2021.12.02 사업기간 :2021.12.28 ~ 2022.02.28 참여통계 :  직접기부 (62명) 1,118,300원                참여기부 (3,409명) 481,700원                ㄴ 응원기부 (2,287명) 227,000원                ㄴ 공유기부 (206명) 20,600원                ㄴ 댓글기부 (841명) 84,100원                ㄴ '올해의 모금함' 기부쿠폰 (75명) 150,000원 기부금영수증발급기관 : 아름다운재단  
    #미추홀구 #생태자원 #환경 #천연기념물 #저어새 #철새 #학익유수지 #용현갯골
    생산일자 2021.11.10
  • 고병선 구술인터뷰
    • 주    제 : 승기천에 대한 기억 • 목    적 : 인천 도심을 관통하는 유일한 하천인 '승기천'의 기록을 남겨 지역의 정체성을 찾아가고자 기록 • 구 술 자 : 고병선 • 면 담 자 : 문성예 • 면담일자 : 2019년 10월 24일(목) 오후4시 • 면담장소 : 학산지속발전협의회 • 구술시간 : 43분 19초 • 구술내용 요약 : 유년시절 승기천에 물고기를 잡으며 놀았던 기억. 하수와 쓰레기가 유입되며 오염되고 냄새가 남. 승기천 주변으로는 농사를 짓거나 가축을 키움. 80년대 초부터 일대가 개발되고 승기천이 복개됨. 개발, 매립으로 자연과 함께하는 환경이 줄어드는 것에 대한 안타까움. 승기천을 다시 뜯어내 잘 활용했으면 하는 바람. 개발도 중요하지만 역사적으로 의미가 있는 것도 함께 공존하는 마을이 되었으면 함. • 관리 파일(비공개) 1. 구술활용동의서 2. 개인정보동의서 3. 음성파일 4. 녹취문 원본 및 수정본
    #승기천 #붕어 #미꾸라지 #자연제방 #오염 #복개 #하수 #쓰레기 #다리 #밭농사 #가축 #80년대 #개발 #미추홀구 #고향 #그리움 #매립 #철거 #역사 #공존
    생산일자 2019.10.24
  • 고병선 승기천 구술사진
    승기천에 대한 기억을 소재로 진행한 구술인터뷰시 촬영한 사진이다. • 촬영장소: 학산지속가능발전협의회 • 촬영일자: 2019년 10월 24일(목) • 사진크기: 3150x2310 • 사진장수: 1장 • 주요인물: 고병선
    #승기천 #구술 #사진 #고병선
    생산일자 2019.10.24
  • 김갑성 김연수 승기천 구술사진
    승기천에 대한 기억을 소재로 진행한 구술인터뷰시 촬영한 사진이다. • 촬영일자: 2019년 10월 17일(목) • 사진크기: 549x411 • 사진장수: 1장 • 주요인물: 김갑성, 김연수
    #승기천 #구술 #사진 #김갑성 #김연수
    생산일자 2019.10.17
  • 김갑성, 김연수 구술인터뷰
    • 주     제 : 승기천에 대한 기억 • 목     적 : 인천 도심을 관통하는 유일한 하천인 '승기천'의 기록을 남겨 지역의 정체성을 찾아가고자 기록 • 구 술 자 : 김갑성(1950년생) / 김연수(1946년생) • 면 담 자 : 문성예 • 면담일시 : 2019년 10월 17일(목) 오후 2시 • 면담장소 : 용일자유시장 • 구술시간 : 75분 16초 • 구술내용 요약 : 고등학교 시절의 승기천에 대한 기억, 폭이 넓었던 승기천, 흐르는 개천에서 빨래와 농사를 지었음, 지역의 고도가 높았음, 용의 생김새를 닮아서 용머리라로 부름, 졸업식 날 밀가루 세례를 받고 승기천에서 닦아내는 에피소드, 복개사업 하는 모습을 봄, 승기천이 바다로 물이 다 빠졌음, 물줄기는 혈관의 핏물과 같음 • 관련 파일(비공개) 1. 구술활용동의서 2. 개인정보동의서 3. 음성파일 4. 녹취문 원본 및 수정본
    #인천 #승기천 #개천 #방죽 #우물 #물줄기 #밭 #둑 #용현동 #홍역 #독정이고개 #용머리 #수영 #졸업식 #밀가루 #자장면 #복개사업 #물고기 #물길
    생산일자 2019.10.17
  • 김원균 구술인터뷰
    • 주     제 : 승기천에 대한 기억 • 목     적 : 인천 도심을 관통하는 유일한 하천인 '승기천'의 기록을 남겨 지역의 정체성을 찾아가고자 기록 • 구 술 자 : 김원균(1960년생) • 면 담 자 : 남희현 • 면담일시 : 2019년 10월 29일(화) 오후 3시 • 면담장소 : 엄지식당 • 구술시간 : 40분 50초 • 구술내용 요약 : 대청도에서 태어나 72년도에 인천으로 이사 옴, 까치사거리에 개천이 있었던 기억, 인천에 와서 밤에 전기불이 들어와 놀란 기억, 시골보다도 고향같은 인천 • 관련 파일(비공개) 1. 구술활용동의서 2. 개인정보동의서 3. 음성파일 4. 녹취문 원본 및 수정본
    #대청도 #미추홀구 #물길 #개천 #마굿간 #수도 #전기불 #까치사거리 #인천
    생산일자 2019.10.29
  • 김원균 승기천 구술사진
    승기천에 대한 기억을 소재로 진행한 구술인터뷰시 촬영한 사진이다. • 촬영장소: 엄지식당 • 촬영일자: 2019년 10월 29일(화) • 사진크기: 507x309 • 사진장수: 1장 • 주요인물: 김원균
    #승기천 #구술 #사진 #김원균
    생산일자 2019.10.29
  • 김윤식 구술인터뷰
    • 주     제 : 승기천에 대한 기억 • 목     적 : 인천 도심을 관통하는 유일한 하천인 '승기천'의 기록을 남겨 지역의 정체성을 찾아가고자 기록 • 구 술 자 : 김윤식(1947년생) • 면 담 자 : 남희현 • 면담일시 : 1차 2019년 10월 16일(수) 오후 2시 : 2차 2019년 12월 18일(수) 오후 6시 30분 • 면담장소 : 인천개항장연구소 • 구술시간 : 71분 2초 • 구술내용 요약 : 아버지의 운수업으로 미추홀구에 55년부터 살았음, 68년까지 양조장이 있었음, 숭의초등학교와 정화조를 끼고 물길이 돌았음, 물가 위쪽으론 무덤, 수봉공원 뒤쪽으로 물이 있었음, 항아리 굽는 곳이 있었으니 물이 있었을 것, 승기천이 원도심 안에 실제로 흐르고 있었음, 6.25때 피난가던 기억, 전쟁으로 47년에 태어났지만 60년에 출생 신고가 됨 • 관련 파일(비공개) 1. 구술활용동의서 2. 개인정보동의서 3. 음성파일 4. 녹취문 원본 및 수정본
    #미추홀구 #내동 #운수업 #숭의동 #와룡양조장 #간장공장 #숭의초등학교 #물길 #무덤 #퇴비 #개천 #수봉산 #흙 #항아리 #구릉지역 #승기천 #원도심 #6.25 #피난 #관제대회 #호적 #우산 #비
    생산일자 2019.10.16
    12345

미추홀시민아카이브

powered by 아카이브센터(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