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카이브 탐색
  • 형태분류
    • 도서/간행물류
    • 문서류 (4)
      • 포스터 및 리플렛
      • 배너
      • 악보
      • 일반문서
    • 사진류
    • 시청각류 (4)
      • 영상
      • 음원
      • 그림
      • 지도
    • 박물류
    • 신문류
    • 구술류
    • 미분류
  • 주제분류
    • 시민기록단 (2)
      • 음식
      • 목공
    • 생태 (3)
      • 산
      • 물
      • 길
    • 생활 (2)
      • 음식
      • 집
    • 지역 (3)
      • 행정구역
      • 마을
      • 장소
    • 인물 (3)
      • 개인
      • 동아리
      • 단체
    • 인문
    • 축제
    • 문화예술 (8)
      • 공연
      • 음악
      • 시각
      • 문학
      • 영상
      • 포럼
      • 행사
      • 기타
    • 사건 (3)
      • 코로나19
      • 시민운동
      • 2002월드컵
    • 미분류
  • 시기분류
    • 2020년대 (5)
      • 2024년
      • 2023년
      • 2022년
      • 2021년
      • 2020년
    • 2010년대 (10)
      • 2019년
      • 2018년
      • 2017년
      • 2016년
      • 2015년
      • 2014년
      • 2013년
      • 2012년
      • 2011년
      • 2010년
    • 2000년대 (9)
      • 2009년
      • 2008년
      • 2007년
      • 2006년
      • 2005년
      • 2004년
      • 2003년
      • 2002년
      • 2001년
    • 1990년대
    • 1980년대
    • 1970년대
    • 1960년대
    • 1950년대
    • 미분류
  • 출처분류
      level = 1 , index = 0 , last = false , child_cnt = 7 , provenance = 미추홀학산문화원 사업
    • 미추홀학산문화원 사업 (7)
        level = 2 , index = 1 , last = false , child_cnt = 3 , provenance = 미추홀지역학
      • 미추홀지역학
      • level = 3 , index = 2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강좌 level = 3 , index = 3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포럼 level = 3 , index = 4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교육프로그램 개발 level = 2 , index = 5 , last = false , child_cnt = 23 , provenance = 미추홀 기록
      • 미추홀 기록
      • level = 3 , index = 6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4 미추홀시민기록단 구술기록 level = 3 , index = 7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3 시민기록단_전세사기 기록 level = 3 , index = 8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3 시민기록단_기계산단 기록 level = 3 , index = 9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2 시민기록단_목공장인 기록 level = 3 , index = 10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1 시민기록단_음식기록 level = 3 , index = 11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0 시민기록단_자체인터뷰 level = 3 , index = 12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2 미담식회 인천음식기록 level = 3 , index = 13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1 미담식회_음식기록 level = 3 , index = 14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1 음식기록 프로젝트 level = 3 , index = 15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4 기록공모_,그때부터 지금까지, 수봉산 level = 3 , index = 16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4 기록공모_사라져 가는 것들 level = 3 , index = 17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3 기록공모_수봉산 level = 3 , index = 18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3 기록공모_집 level = 3 , index = 19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2 기록공모_수봉산 level = 3 , index = 20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2 기록공모_문학산 level = 3 , index = 21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1 기록공모_미추홀의 길 level = 3 , index = 22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1 기록공모_심상공간 level = 3 , index = 23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2 기록공모_학산백일장 level = 3 , index = 24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1 기록공모_학산백일장 level = 3 , index = 25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0 기록공모_학산백일장 level = 3 , index = 26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19 기록프로젝트 '승기천' level = 3 , index = 27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18 기록프로젝트 '신기촌' level = 3 , index = 28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17 미추홀마을영화 level = 2 , index = 29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시민창작활동지원
      • 시민창작활동지원
      • level = 2 , index = 30 , last = false , child_cnt = 8 , provenance = 학산마당극놀래
      • 학산마당극놀래
      • level = 3 , index = 31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4 학산마당극놀래 level = 3 , index = 32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3 학산마당극놀래 level = 3 , index = 33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2 학산마당극놀래 level = 3 , index = 34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1 학산마당극놀래 level = 3 , index = 35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0 학산마당극놀래 level = 3 , index = 36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19 학산마당극놀래 level = 3 , index = 37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18 학산마당극놀래 level = 3 , index = 38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17 학산마당극놀래 level = 2 , index = 39 , last = false , child_cnt = 3 , provenance = 우리고장 국가유산 활용사업
      • 우리고장 국가유산 활용사업
      • level = 3 , index = 40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생생국가유산 level = 3 , index = 41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향교서원 문화유산 활용 level = 3 , index = 42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원도사제 level = 2 , index = 43 , last = false , child_cnt = 2 , provenance = 기관홍보
      • 기관홍보
      • level = 3 , index = 44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연간리플렛 level = 3 , index = 45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기관 제작물 level = 2 , index = 46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콘텐츠
      • 콘텐츠
      • level = 1 , index = 47 , last = false , child_cnt = 3 , provenance = 학산생활문화센터 사업
    • 학산생활문화센터 사업 (3)
        level = 2 , index = 48 , last = false , child_cnt = 5 , provenance = 생활문화
      • 생활문화
      • level = 3 , index = 49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2 동네 살아가다 level = 3 , index = 50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0 동네 살아지다 level = 3 , index = 51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19 동네 살아지다 level = 3 , index = 52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1 학산시민문화마당 level = 3 , index = 53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19 우리도 예술가 level = 2 , index = 54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공연문화
      • 공연문화
      • level = 2 , index = 55 , last = false , child_cnt = 2 , provenance = 공간
      • 공간
      • level = 3 , index = 56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학산소극장 level = 3 , index = 57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생활문화센터 level = 1 , index = 58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지방자치단체
    • 지방자치단체 level = 1 , index = 59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지역기관
    • 지역기관 level = 1 , index = 60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지역단체
    • 지역단체 level = 1 , index = 61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국가기록기관
    • 국가기록기관 level = 1 , index = 62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기업
    • 기업 level = 1 , index = 63 , last = false , child_cnt = 4 , provenance = 시민기증
    • 시민기증 (4)
        level = 2 , index = 64 , last = false , child_cnt = 1 , provenance = 천영기
      • 천영기
      • level = 3 , index = 65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문학산 시리즈 level = 2 , index = 66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이태승
      • 이태승
      • level = 2 , index = 67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김용경
      • 김용경
      • level = 2 , index = 68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류제혁
      • 류제혁
      • level = 1 , index = 69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미분류
    • 미분류 level = 1 , index = 70 , last = true , child_cnt = 0 , provenance = 기타
    • 기타
검색
카드형 갤러리형
총 130개의 기록물
  • 윤소율의 '용현갯골 지킴이'
    엄마와 여동생과 함께 미추홀구의 마지막 바닷길인 용현갯골을 지키기 위해 줍깅을 했던 모습을 그림으로 그렸다. 그때 주워온 쓰레기들로 작품을 표현했다. 이 그림은 제3회 학산백일장 '사람과 자연이 함께하는 생태적 삶을 꿈꾸며'에서 학익유수지(학익용현갯골)을 다녀와 그린 윤소율의 '용현갯골 지킴이' 그림일기이며, 초등부 부문 대상을 수상한 작품이다. • 생산장소 :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 그림개수 : 1점 • 그림크기 : 8절지 • 관련파일(비공개) 1. 응시표
    #용현갯골 #학익유수지 #그림일기 #학산백일장 #백일장 #초등부
    생산일자 2022.08.14
  • 이다연의 '쌍안경으로 바라본 갯골의 새들'
    쌍안경으로 물오리, 중대백로, 청다리도요, 흰뺨검둥오리, 저어새 등을 보았던 모습을 그림으로 그렸다. 이 그림은 제3회 학산백일장 '사람과 자연이 함께하는 생태적 삶을 꿈꾸며'에서 학익유수지(학익용현갯골)을 다녀와 그린 이다연의 '쌍안경으로 바라본 갯골의 새들' 그림일기이며, 초등부 부문 은상을 수상한 작품이다. • 생산장소 :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 그림개수 : 1점 • 그림크기 : 8절지 • 관련파일(비공개) 1. 응시표
    #용현갯골 #학익유수지 #그림일기 #학산백일장 #백일장 #초등부
    생산일자 2022.09.24
  • 최빛찬의 '갯골 놀이터와 나의 새 친구'
    학익유수지에서 만난 다리가 긴 새 '황순이'와 놀았던 모습을 그림으로 그렸다. 이 그림은 제3회 학산백일장 '사람과 자연이 함께하는 생태적 삶을 꿈꾸며'에서 학익유수지(학익용현갯골)을 다녀와 그린 최빛찬의 '갯골 놀이터와 나의 새 친구' 그림일기이며, 초등부 부문 은상을 수상한 작품이다. • 생산장소 :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 그림개수 : 1점 • 그림크기 : 8절지 • 관련파일(비공개) 1. 응시표
    #용현갯골 #학익유수지 #그림일기 #학산백일장 #백일장 #초등부
    생산일자 2022.09.30
  • 정하연의 '용현갯골이 우리에게 주는 것'
    가족과 함께 용현갯골에 수업을 들으러 가서, 다양한 새를 관찰했던 모습을 그림으로 그렸다. 미추홀구에서 유일하게 볼 수 있는 바다인 용현갯골의 환경이 파괴되지 않도록 작은 활동들을 시작해나간다는 다짐이 적혀있다. 이 그림은 제3회 학산백일장 '사람과 자연이 함께하는 생태적 삶을 꿈꾸며'에서 학익유수지(학익용현갯골)을 다녀와 그린 정하연의 '용현갯골이 우리에게 주는 것' 그림일기이며, 초등부 부문 은상을 수상한 작품이다. • 생산장소 :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 그림개수 : 1점 • 그림크기 : 8절지 • 관련파일(비공개) 1. 응시표
    #용현갯골 #학익유수지 #그림일기 #학산백일장 #백일장 #초등부
    생산일자 2022.09.24
  • 황규호의 '지켜줄게, 갯골아'
    지난 4월에 방문했던 용현갯골을 9월에 다시 가니 깨끗하게 달라진 모습을 그림으로 그렸다. 더 이상 오염되지 않도록 갯골을 지키기 위한 작은 노력을 하겠다는 다짐을 적었다. 이 그림은 제3회 학산백일장 '사람과 자연이 함께하는 생태적 삶을 꿈꾸며'에서 학익유수지(학익용현갯골)을 다녀와 그린 황규호의 '지켜줄게, 갯골아' 그림일기이며, 초등부 부문 은상을 수상한 작품이다. • 생산장소 :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 그림개수 : 1점 • 그림크기 : 8절지 • 관련파일(비공개) 1. 응시표
    #용현갯골 #학익유수지 #그림일기 #학산백일장 #백일장 #초등부
    생산일자 2022.09.30
  • 최가온의 '미추홀구 자연'
    용현갯골에 견학을 간 모습을 그림으로 그렸다. 자연을 고스란히 느껴 기분이 좋았던 순간을 글로 표현했다. 이 그림은 제3회 학산백일장 '사람과 자연이 함께하는 생태적 삶을 꿈꾸며'에서 학익유수지(학익용현갯골)을 다녀와 그린 최가온의 '미추홀구 자연' 그림일기이며, 초등부 부문 동상을 수상한 작품이다. • 생산장소 :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 그림개수 : 1점 • 그림크기 : 8절지 • 관련파일(비공개) 1. 응시표
    #용현갯골 #학익유수지 #그림일기 #학산백일장 #백일장 #초등부
    생산일자 2022.08.21
  • 곽다혜의 '용현갯골에서 본 새들'
    용현갯골에 방문해 사진으로만 봤던 철새들을 실제로 본 모습을 그림으로 그렸다. 이 그림은 제3회 학산백일장 '사람과 자연이 함께하는 생태적 삶을 꿈꾸며'에서 학익유수지(학익용현갯골)을 다녀와 그린 곽다혜의 '용현갯골에서 본 새들' 그림일기이며, 초등부 부문 동상을 수상한 작품이다. • 생산장소 :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 그림개수 : 1점 • 그림크기 : 8절지 • 관련파일(비공개) 1. 응시표
    #용현갯골 #학익유수지 #그림일기 #학산백일장 #백일장 #초등부
    생산일자 2022.09.17
  • 백수빈의 '저어새'
    용현갯골에 있는 저어새의 모습을 그림으로 그렸다. 또한, 저어새의 특징과 설명을 글로 적었다. 이 그림은 제3회 학산백일장 '사람과 자연이 함께하는 생태적 삶을 꿈꾸며'에서 학익유수지(학익용현갯골)을 다녀와 그린 백수빈의 '저어새' 그림일기이며, 초등부 부문 동상을 수상한 작품이다. • 생산장소 :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 그림개수 : 1점 • 그림크기 : 8절지 • 관련파일(비공개) 1. 응시표
    #용현갯골 #학익유수지 #그림일기 #학산백일장 #백일장 #초등부
    생산일자 2022.09.17
  • 김민재의 '저어새야 내년에 또 봐
    저어새가 먹이를 먹고, 날고, 자는 모습을 그림으로 그렸다. 이 그림은 제3회 학산백일장 '사람과 자연이 함께하는 생태적 삶을 꿈꾸며'에서 학익유수지(학익용현갯골)을 다녀와 그린 김민재의 '저어새야 내년에 또 봐' 그림일기이며, 초등부 부문 동상을 수상한 작품이다. • 생산장소 :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 그림개수 : 1점 • 그림크기 : 8절지 • 관련파일(비공개) 1. 응시표
    #용현갯골 #학익유수지 #그림일기 #학산백일장 #백일장 #초등부
    생산일자 2022.09.17
  • 박재희의 '용현갯골을 다녀와서'
    용현갯골에서 가마우지와 청다리도요를 본 모습을 그림으로 그렸다. 소중하고 귀한 새들을 위해 자연보호를 해야겠다는 다짐이 적혀있다. 이 그림은 제3회 학산백일장 '사람과 자연이 함께하는 생태적 삶을 꿈꾸며'에서 학익유수지(학익용현갯골)을 다녀와 그린 박재희의 '용현갯골을 다녀와서' 그림일기이며, 초등부 부문 동상을 수상한 작품이다. • 생산장소 :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 그림개수 : 1점 • 그림크기 : 8절지 • 관련파일(비공개) 1. 응시표
    #용현갯골 #학익유수지 #그림일기 #학산백일장 #백일장 #초등부
    생산일자 2022.09.24
    12345

미추홀시민아카이브

powered by 아카이브센터(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