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카이브 탐색
  • 형태분류
    • 도서/간행물류
    • 문서류 (4)
      • 포스터 및 리플렛
      • 배너
      • 악보
      • 일반문서
    • 사진류
    • 시청각류 (4)
      • 영상
      • 음원
      • 그림
      • 지도
    • 박물류
    • 신문류
    • 구술류
    • 미분류
  • 주제분류
    • 시민기록단 (2)
      • 음식
      • 목공
    • 생태 (3)
      • 산
      • 물
      • 길
    • 생활 (2)
      • 음식
      • 집
    • 지역 (3)
      • 행정구역
      • 마을
      • 장소
    • 인물 (3)
      • 개인
      • 동아리
      • 단체
    • 인문
    • 축제
    • 문화예술 (8)
      • 공연
      • 음악
      • 시각
      • 문학
      • 영상
      • 포럼
      • 행사
      • 기타
    • 사건 (3)
      • 코로나19
      • 시민운동
      • 2002월드컵
    • 미분류
  • 시기분류
    • 2020년대 (5)
      • 2024년
      • 2023년
      • 2022년
      • 2021년
      • 2020년
    • 2010년대 (10)
      • 2019년
      • 2018년
      • 2017년
      • 2016년
      • 2015년
      • 2014년
      • 2013년
      • 2012년
      • 2011년
      • 2010년
    • 2000년대 (9)
      • 2009년
      • 2008년
      • 2007년
      • 2006년
      • 2005년
      • 2004년
      • 2003년
      • 2002년
      • 2001년
    • 1990년대
    • 1980년대
    • 1970년대
    • 1960년대
    • 1950년대
    • 미분류
  • 출처분류
      level = 1 , index = 0 , last = false , child_cnt = 7 , provenance = 미추홀학산문화원 사업
    • 미추홀학산문화원 사업 (7)
        level = 2 , index = 1 , last = false , child_cnt = 3 , provenance = 미추홀지역학
      • 미추홀지역학
      • level = 3 , index = 2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강좌 level = 3 , index = 3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포럼 level = 3 , index = 4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교육프로그램 개발 level = 2 , index = 5 , last = false , child_cnt = 23 , provenance = 미추홀 기록
      • 미추홀 기록
      • level = 3 , index = 6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4 미추홀시민기록단 구술기록 level = 3 , index = 7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3 시민기록단_전세사기 기록 level = 3 , index = 8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3 시민기록단_기계산단 기록 level = 3 , index = 9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2 시민기록단_목공장인 기록 level = 3 , index = 10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1 시민기록단_음식기록 level = 3 , index = 11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0 시민기록단_자체인터뷰 level = 3 , index = 12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2 미담식회 인천음식기록 level = 3 , index = 13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1 미담식회_음식기록 level = 3 , index = 14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1 음식기록 프로젝트 level = 3 , index = 15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4 기록공모_,그때부터 지금까지, 수봉산 level = 3 , index = 16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4 기록공모_사라져 가는 것들 level = 3 , index = 17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3 기록공모_수봉산 level = 3 , index = 18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3 기록공모_집 level = 3 , index = 19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2 기록공모_수봉산 level = 3 , index = 20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2 기록공모_문학산 level = 3 , index = 21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1 기록공모_미추홀의 길 level = 3 , index = 22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1 기록공모_심상공간 level = 3 , index = 23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2 기록공모_학산백일장 level = 3 , index = 24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1 기록공모_학산백일장 level = 3 , index = 25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0 기록공모_학산백일장 level = 3 , index = 26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19 기록프로젝트 '승기천' level = 3 , index = 27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18 기록프로젝트 '신기촌' level = 3 , index = 28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17 미추홀마을영화 level = 2 , index = 29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시민창작활동지원
      • 시민창작활동지원
      • level = 2 , index = 30 , last = false , child_cnt = 8 , provenance = 학산마당극놀래
      • 학산마당극놀래
      • level = 3 , index = 31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4 학산마당극놀래 level = 3 , index = 32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3 학산마당극놀래 level = 3 , index = 33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2 학산마당극놀래 level = 3 , index = 34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1 학산마당극놀래 level = 3 , index = 35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0 학산마당극놀래 level = 3 , index = 36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19 학산마당극놀래 level = 3 , index = 37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18 학산마당극놀래 level = 3 , index = 38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17 학산마당극놀래 level = 2 , index = 39 , last = false , child_cnt = 3 , provenance = 우리고장 국가유산 활용사업
      • 우리고장 국가유산 활용사업
      • level = 3 , index = 40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생생국가유산 level = 3 , index = 41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향교서원 문화유산 활용 level = 3 , index = 42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원도사제 level = 2 , index = 43 , last = false , child_cnt = 2 , provenance = 기관홍보
      • 기관홍보
      • level = 3 , index = 44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연간리플렛 level = 3 , index = 45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기관 제작물 level = 2 , index = 46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콘텐츠
      • 콘텐츠
      • level = 1 , index = 47 , last = false , child_cnt = 3 , provenance = 학산생활문화센터 사업
    • 학산생활문화센터 사업 (3)
        level = 2 , index = 48 , last = false , child_cnt = 5 , provenance = 생활문화
      • 생활문화
      • level = 3 , index = 49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2 동네 살아가다 level = 3 , index = 50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0 동네 살아지다 level = 3 , index = 51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19 동네 살아지다 level = 3 , index = 52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1 학산시민문화마당 level = 3 , index = 53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19 우리도 예술가 level = 2 , index = 54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공연문화
      • 공연문화
      • level = 2 , index = 55 , last = false , child_cnt = 2 , provenance = 공간
      • 공간
      • level = 3 , index = 56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학산소극장 level = 3 , index = 57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생활문화센터 level = 1 , index = 58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지방자치단체
    • 지방자치단체 level = 1 , index = 59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지역기관
    • 지역기관 level = 1 , index = 60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지역단체
    • 지역단체 level = 1 , index = 61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국가기록기관
    • 국가기록기관 level = 1 , index = 62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기업
    • 기업 level = 1 , index = 63 , last = false , child_cnt = 4 , provenance = 시민기증
    • 시민기증 (4)
        level = 2 , index = 64 , last = false , child_cnt = 1 , provenance = 천영기
      • 천영기
      • level = 3 , index = 65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문학산 시리즈 level = 2 , index = 66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이태승
      • 이태승
      • level = 2 , index = 67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김용경
      • 김용경
      • level = 2 , index = 68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류제혁
      • 류제혁
      • level = 1 , index = 69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미분류
    • 미분류 level = 1 , index = 70 , last = true , child_cnt = 0 , provenance = 기타
    • 기타
검색
카드형 갤러리형
총 52개의 기록물
  • 세계시민성교육 - 주인수인철길 탐방
    미추홀학산문화원 - 인하대학교 프런티어학부대학 세계시민성교육 미추홀학산문화원과 인하대학교 프런티어학부대학은 협력을 통해 2024년 2학기 '세계시민성교육' 강의 중 '생태문화이음길'을 탐방하고 찍은 브이로그입니다.  8조는 주인수인철길을 탐방하고 브이로그 '주인공원 역사를 어떻게 알릴 수 있을까?'를 찍었습니다.   •주최, 주관 : 인하대학교 프런티어학부대학 •협력 : 미추홀학산문화원 •관리파일(비공개) 1. 영상 기술지 2. 기록물활용동의서
    #미추홀학산문화원 #인하대학교 #프런티어학부대학 #브이로그 #생태문화이음길 #주인수인철길
    생산일자 2024.11.06
  • 제물포 시장의 재발견
    미추홀학산문화원 - 인하대학교 프런티어학부대학 세계시민성교육  인하대학교 프런티어학부대학 세계시민성교육 중 5조가 발표한 자료이다. •제목 : 제물포 시장의 재발견 - 전통을 품은 현대적 공간 •문제상황 요약  1. 낮은 시장 점유율 •문제해결 아이디어  1. 이국적 음식점의 입정과 야장 설치로 다문화 음식 시장으로 리모델링 •기대 효과 :  1. 제물포 시장 및 근처 상권에 긍정적 효과 기대 •문서 쪽수 : 10쪽 •문서 크기 : 1.21MB •관리파일(비공개) 1. 보고서 기술지 2. 기록물활용동의서
    #미추홀학산문화원 #인하대학교 #프런티어학부대학 #인천 #제물포시장
    생산일자 2024.12.04
  • 함께 만드는 수봉비룡길
    미추홀학산문화원 - 인하대학교 프런티어학부대학 세계시민성교육  인하대학교 프런티어학부대학 세계시민성교육 중 1조 '미추홀리몰리'가 발표한 자료이다. •제목 : 함께 만드는 수봉비룡길 - 제물포시장의 부흥과 발전을 위하여  •문제상황 요약 : 제물포 시장의 노후화와 시장 경쟁력 약화 •문제해결 아이디어 : 제물포 시장의 구조적 특징을 활용하여 '테이스팅 라운지(Tasting Lounge)'로 개발  •기대 효과  1. 제물포 시장의 명확한 콘셉트 확립 2. 시장 연령층 확대 3. 상권 활성화로 인한 경제 발전 •문서 쪽수 : 10쪽 •문서 크기 : 1.23MB •관리파일(비공개) 1. 보고서 기술지 2. 기록물활용동의서
    #미추홀학산문화원 #인하대학교 #프런티어학부대학 #인천 #제물포시장
    생산일자 2024.12.04
  • 김은숙 구술인터뷰
    * 주       제 : 미추홀의 사람들 * 목       적 : 미추홀구의 지역사와 구술자의 생애사 * 구  술  자 : 김은숙 * 면  담  자 : 시민기록단 전윤경 * 면담 지원 : 시민기록단 정은주 * 면담 일자 : 2024년 11월 15일 * 면담장소 : 김은숙님 자택 * 구술내용요약 : 김은숙님의 어린 시절, 신기촌의 옛 모습, 김은숙님의 일(진흥요업, 광덕목재, 요양보호사), 종교와 앞으로의 삶을 기록 * 관리파일(비공개) 1. 질문지 2. 구술활용동의서 3. 개인정보동의서 4. 음성파일 5. 녹취문
    #미추홀 #신기시장 #쌍용아파트 #진흥아파트 #진흥요업 #진흥타일 #구술 #시민기록단 #중국인밭 #화장터
    생산일자 2024.11.15
  • 김갑성 구술인터뷰
    *주제 : 미추홀의 사람들 *목적 : 미추홀구의 지역사와 구술자의 생애사 *구술자 : 용일시장 상인회 회장 김갑성 *면담자 : 시민기록단 정은주 *면담지원 : 시민기록단 박수자 *면담일자 : 2024년 11월 06일 *면담장소 : 독쟁이 마을박물관 *구술내용요약 : 구술자인 용일시장 상인회 회장 김갑성님이 용일시장에 오게 된 계기와 시장의 번영을 위해 했던 다양한 과정들을 다루었다. *관리파일(비공개) 1. 질문지 2. 구술황용동의서 3. 개인정보동의서 4. 음성파일 5. 녹취문
    #미추홀시민기록단 #용일시장 #빗물저금통 #상인회 #통두레사업 #학산문화원 #순대국집 #양복점
    생산일자 2024.11.06
  • 김갑성(1950년생)
    2024년 11월 6일 독쟁이 박물관에서 '시민의 시선으로 지역을 기록하다'라는 주제로 구술자 김갑성님을 인터뷰한 모습이다. 김갑성님의 인터뷰에서는 용일시장에 온 과정과 지금까지 용일시장에서 있었던 일들을 주로 다루었다.
    #용일시장 #미추홀시민기록단 #빗물저금통 #상인회 #회장 #순대국집 #양복점 #통두레사업 #개발사업
    생산일자 2024.11.06
  • 김은숙(1950년생)
    2024년 11월 15일 주안 신기시장 근방에서 오래 살아오신 구술자 김은숙님의 생애사와 신기시장 일대의 변천사를 구술채록 인터뷰를 진행한 모습이다.
    #신기시장 #진흥요업 #쌍용아파트 #진흥아파트 #진흥타일 #중국인밭 #미추홀시민기록단 #생애사 #구술채록 #구술 #미추홀학산문화원
    생산일자 2024.11.15
  • 아카이브 홍보 엽서_신기촌 판화
    미추홀시민아카이브 홍보를 위해 제작한 엽서이다. 메인 이미지는 2018년 신기시장과 그 주변에서 살아가고 있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이미지화하여 판에 새긴 판화 작품이다. • 쪽수 : 2쪽 • 크기 : 6,565KB
    #신기촌 #판화 #아카이브 #홍보 #엽서
    생산일자 2023
  • 2018 미추홀 살아지다1 '안녕? 신기촌 사람들'
    2018년 미추홀 살아지다 시리즈 '안녕? 신기촌 사람들' 도서이다. 신기촌은 1960년대 후반 동인천 지역의 재개발로 인해 갈 곳을 잃은 철거민들이 상대적으로 가격이 싼 남구 주안동(현재 주안2,3,4,7,8동)으로 이주해 오면서 신기촌 마을이 형성되어 현재에 이르렀다. 신기촌 인근의 신기시장은 1970년대 중반 도자기를 만드는 진흥요업 정문 앞에서 동네 아낙네들이 푸성귀를 팔면서 시장이 열리기 시작했고, 1987년에 현대시장의 꼴을 갖추면서 지금은 문화관광형 시장으로 미추홀구는 물론 인천광역시에서도 손꼽히는 시장으로 성장했다. 이 과정속에는 이 시기를 오롯이 살아내었던 주민들이 있었습니다. 그들의 이야기를 중심을 신기촌의 이야기를 담았다. - 자료조사 및 기록: 학산지속가능발전협의회 - 기획·엮음: 미추홀학산문화원 • 재질: 종이 • 크기: 154x210
    #신기촌 #신기시장 #마을지 #미추홀살아지다 #안녕신기촌사람들 #향토 #기록 #구술 #책 #도서
    생산일자 2018
  • 신포시장 주변 거리
    신포시장 주변 거리를 촬영한 사진이다. • 촬영장소 : 신포시장(인천 중구) • 촬영일시 : 2022년 9월 19일 • 사진크기 : 2829x3077 • 사진장수 : 2장
    #신포시장 #시장 #거리
    생산일자 2022.09.19
    12345

미추홀시민아카이브

powered by 아카이브센터(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