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카이브 탐색
  • 형태분류
    • 도서/간행물류
    • 문서류 (4)
      • 포스터 및 리플렛
      • 배너
      • 악보
      • 일반문서
    • 사진류
    • 시청각류 (4)
      • 영상
      • 음원
      • 그림
      • 지도
    • 박물류
    • 신문류
    • 구술류
    • 미분류
  • 주제분류
    • 시민기록단 (2)
      • 음식
      • 목공
    • 생태 (3)
      • 산
      • 물
      • 길
    • 생활 (2)
      • 음식
      • 집
    • 지역 (3)
      • 행정구역
      • 마을
      • 장소
    • 인물 (3)
      • 개인
      • 동아리
      • 단체
    • 인문
    • 축제
    • 문화예술 (8)
      • 공연
      • 음악
      • 시각
      • 문학
      • 영상
      • 포럼
      • 행사
      • 기타
    • 사건 (3)
      • 코로나19
      • 시민운동
      • 2002월드컵
    • 미분류
  • 시기분류
    • 2020년대 (5)
      • 2024년
      • 2023년
      • 2022년
      • 2021년
      • 2020년
    • 2010년대 (10)
      • 2019년
      • 2018년
      • 2017년
      • 2016년
      • 2015년
      • 2014년
      • 2013년
      • 2012년
      • 2011년
      • 2010년
    • 2000년대 (9)
      • 2009년
      • 2008년
      • 2007년
      • 2006년
      • 2005년
      • 2004년
      • 2003년
      • 2002년
      • 2001년
    • 1990년대
    • 1980년대
    • 1970년대
    • 1960년대
    • 1950년대
    • 미분류
  • 출처분류
      level = 1 , index = 0 , last = false , child_cnt = 7 , provenance = 미추홀학산문화원 사업
    • 미추홀학산문화원 사업 (7)
        level = 2 , index = 1 , last = false , child_cnt = 3 , provenance = 미추홀지역학
      • 미추홀지역학
      • level = 3 , index = 2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강좌 level = 3 , index = 3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포럼 level = 3 , index = 4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교육프로그램 개발 level = 2 , index = 5 , last = false , child_cnt = 23 , provenance = 미추홀 기록
      • 미추홀 기록
      • level = 3 , index = 6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4 미추홀시민기록단 구술기록 level = 3 , index = 7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3 시민기록단_전세사기 기록 level = 3 , index = 8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3 시민기록단_기계산단 기록 level = 3 , index = 9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2 시민기록단_목공장인 기록 level = 3 , index = 10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1 시민기록단_음식기록 level = 3 , index = 11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0 시민기록단_자체인터뷰 level = 3 , index = 12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2 미담식회 인천음식기록 level = 3 , index = 13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1 미담식회_음식기록 level = 3 , index = 14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1 음식기록 프로젝트 level = 3 , index = 15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4 기록공모_,그때부터 지금까지, 수봉산 level = 3 , index = 16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4 기록공모_사라져 가는 것들 level = 3 , index = 17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3 기록공모_수봉산 level = 3 , index = 18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3 기록공모_집 level = 3 , index = 19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2 기록공모_수봉산 level = 3 , index = 20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2 기록공모_문학산 level = 3 , index = 21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1 기록공모_미추홀의 길 level = 3 , index = 22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1 기록공모_심상공간 level = 3 , index = 23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2 기록공모_학산백일장 level = 3 , index = 24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1 기록공모_학산백일장 level = 3 , index = 25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0 기록공모_학산백일장 level = 3 , index = 26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19 기록프로젝트 '승기천' level = 3 , index = 27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18 기록프로젝트 '신기촌' level = 3 , index = 28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17 미추홀마을영화 level = 2 , index = 29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시민창작활동지원
      • 시민창작활동지원
      • level = 2 , index = 30 , last = false , child_cnt = 8 , provenance = 학산마당극놀래
      • 학산마당극놀래
      • level = 3 , index = 31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4 학산마당극놀래 level = 3 , index = 32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3 학산마당극놀래 level = 3 , index = 33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2 학산마당극놀래 level = 3 , index = 34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1 학산마당극놀래 level = 3 , index = 35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0 학산마당극놀래 level = 3 , index = 36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19 학산마당극놀래 level = 3 , index = 37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18 학산마당극놀래 level = 3 , index = 38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17 학산마당극놀래 level = 2 , index = 39 , last = false , child_cnt = 3 , provenance = 우리고장 국가유산 활용사업
      • 우리고장 국가유산 활용사업
      • level = 3 , index = 40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생생국가유산 level = 3 , index = 41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향교서원 문화유산 활용 level = 3 , index = 42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원도사제 level = 2 , index = 43 , last = false , child_cnt = 2 , provenance = 기관홍보
      • 기관홍보
      • level = 3 , index = 44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연간리플렛 level = 3 , index = 45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기관 제작물 level = 2 , index = 46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콘텐츠
      • 콘텐츠
      • level = 1 , index = 47 , last = false , child_cnt = 3 , provenance = 학산생활문화센터 사업
    • 학산생활문화센터 사업 (3)
        level = 2 , index = 48 , last = false , child_cnt = 5 , provenance = 생활문화
      • 생활문화
      • level = 3 , index = 49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2 동네 살아가다 level = 3 , index = 50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0 동네 살아지다 level = 3 , index = 51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19 동네 살아지다 level = 3 , index = 52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1 학산시민문화마당 level = 3 , index = 53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19 우리도 예술가 level = 2 , index = 54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공연문화
      • 공연문화
      • level = 2 , index = 55 , last = false , child_cnt = 2 , provenance = 공간
      • 공간
      • level = 3 , index = 56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학산소극장 level = 3 , index = 57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생활문화센터 level = 1 , index = 58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지방자치단체
    • 지방자치단체 level = 1 , index = 59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지역기관
    • 지역기관 level = 1 , index = 60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지역단체
    • 지역단체 level = 1 , index = 61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국가기록기관
    • 국가기록기관 level = 1 , index = 62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기업
    • 기업 level = 1 , index = 63 , last = false , child_cnt = 4 , provenance = 시민기증
    • 시민기증 (4)
        level = 2 , index = 64 , last = false , child_cnt = 1 , provenance = 천영기
      • 천영기
      • level = 3 , index = 65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문학산 시리즈 level = 2 , index = 66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이태승
      • 이태승
      • level = 2 , index = 67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김용경
      • 김용경
      • level = 2 , index = 68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류제혁
      • 류제혁
      • level = 1 , index = 69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미분류
    • 미분류 level = 1 , index = 70 , last = true , child_cnt = 0 , provenance = 기타
    • 기타
검색
카드형 갤러리형
총 91개의 기록물
  • 김은숙 구술인터뷰
    * 주       제 : 미추홀의 사람들 * 목       적 : 미추홀구의 지역사와 구술자의 생애사 * 구  술  자 : 김은숙 * 면  담  자 : 시민기록단 전윤경 * 면담 지원 : 시민기록단 정은주 * 면담 일자 : 2024년 11월 15일 * 면담장소 : 김은숙님 자택 * 구술내용요약 : 김은숙님의 어린 시절, 신기촌의 옛 모습, 김은숙님의 일(진흥요업, 광덕목재, 요양보호사), 종교와 앞으로의 삶을 기록 * 관리파일(비공개) 1. 질문지 2. 구술활용동의서 3. 개인정보동의서 4. 음성파일 5. 녹취문
    #미추홀 #신기시장 #쌍용아파트 #진흥아파트 #진흥요업 #진흥타일 #구술 #시민기록단 #중국인밭 #화장터
    생산일자 2024.11.15
  • 김은숙(1950년생)
    2024년 11월 15일 주안 신기시장 근방에서 오래 살아오신 구술자 김은숙님의 생애사와 신기시장 일대의 변천사를 구술채록 인터뷰를 진행한 모습이다.
    #신기시장 #진흥요업 #쌍용아파트 #진흥아파트 #진흥타일 #중국인밭 #미추홀시민기록단 #생애사 #구술채록 #구술 #미추홀학산문화원
    생산일자 2024.11.15
  • 인천명승 시리즈 - 인천 주안염전
    1920년대 중후반 다이쇼 하토 마크에서 발행한 인천명승 시리즈 사진그림엽서 중 인천 주안염전 일원의 모습을 담은 기록이다. 대한민국 최초의 천일염전인 주안염전은 일제에 의해 1912년 대대적인 조성작업이 진행되었으며, 1919년에 본 기록 속 모습과 유사한 형태의 대규모 염전지역이 완성되었다.
    #주안염전 #염전 #천일염 #사진그림엽서 #엽서 #다이쇼하토마크 #주안
    생산일자 미상
  • 주안 3동 구역 재개발 – 사라져 가는 것들을 기록하다(4)
    주안 3동 자이 아파트 자리 원도심의 주택 모습입니다. 촬영장소: 주안 3동 일대 촬영일자: 2017년부터 현재까지 사진장수: 8장 #. 해당 사진은 2024 특성화사업 기록물 수진 공모전 <사라져 가는 것들>을 통해 수집된 사진입니다. 
    #공모전 #기록물수집공모전 #주안동
    생산일자 미상
  • 주안 3동 구역 재개발 – 사라져 가는 것들을 기록하다(3)
    주안 3동 자이 아파트 자리 원도심의 주택 모습입니다. 촬영장소: 주안 3동 일대 촬영일자: 2017년부터 현재까지 사진장수: 7장 #. 해당 사진은 2024 특성화사업 기록물 수진 공모전 <사라져 가는 것들>을 통해 수집된 사진입니다. 
    #공모전 #기록물수집공모전 #주안동
    생산일자 미상
  • 내가 운영했던 웨딩 스튜디오
    2000년도에는 웨딩 카페 스튜디오가 한참 유행 하던 시기였다. 그 당시 저렴 한 금액으로 드레스 입고 친구들이랑 사진 촬영 하는게  유행하던 시기 주안에서 운영했던 스튜디오이다. 촬영장소: 인천 미추홀구 미추홀대로719번길 9 촬영일자: 2007년 사진장수: 1장 #. 해당 사진은 2024 특성화사업 기록물 수진 공모전 <사라져 가는 것들>을 통해 수집된 사진입니다. 
    #공모전 #기록물수집공모전 #주안동
    생산일자 2007
  • 지금은 사라진 나의 옛 동네, 주안3동(1)
    어린시절 뛰놀던 나의 옛동네. 지금은 아파트가 되어버렸지만 처음 옆집 친구도 사귀고... 사춘기때는 집이 싫다고 뛰쳐나가기도 하고... 어른이 되어서는 첫사랑에 차이고 동네 슈퍼에서 막걸리 사다 동네 공원에서 울기도 하고... 그땐 그렇게 싫던 이 동네가 갈수 없으니 더 애틋하다... 촬영장소: 현 주안파크자이 촬영일자: 2018년 11월 10일 사진장수: 2장 #. 해당 사진은 2024 특성화사업 기록물 수진 공모전 <사라져 가는 것들>을 통해 수집된 사진입니다.   
    #공모전 #기록물수집공모전 #주안동
    생산일자 2018.11.10
  • 지금은 사라진 나의 옛 동네, 주안3동(2)
    어린시절 뛰놀던 나의 옛동네. 지금은 아파트가 되어버렸지만 처음 옆집 친구도 사귀고... 사춘기때는 집이 싫다고 뛰쳐나가기도 하고... 어른이 되어서는 첫사랑에 차이고 동네 슈퍼에서 막걸리 사다 동네 공원에서 울기도 하고... 그땐 그렇게 싫던 이 동네가 갈수 없으니 더 애틋하다... 촬영장소: 현 주안파크자이 촬영일자: 2019년 5월 4일 사진장수: 6장 #. 해당 사진은 2024 특성화사업 기록물 수진 공모전 <사라져 가는 것들>을 통해 수집된 사진입니다. 
    #공모전 #기록물수집공모전 #주안동
    생산일자 2019.05.04
  • 수봉산 돌산 약수터 자리 흔적이 남아있는 기억
    약수터는 유치원 시절 주전자에다 물기른 기억 촬영장소: 주안 4동 지금은 사라진 수봉산 돌산 약수터 촬영일자: 2024년 8월 30일 사진장수: 2장 #. 해당 사진은 2024 특성화사업 기록물 수집 공모전 <사라져 가는 것들>을 통해 수집된 사진입니다.  
    #공모전 #기록물수진공모전 #주안동
    생산일자 2024.08.30
  • 호박이 넝쿨째 굴러들어온 집
    나는 발에 착 감기는 착용감이 좋아서 구멍난 조깅화를 버릴 수 없었다. 이곳저곳 나와 함께 다니다 보니 바늘 구멍만 하던 것이 동전 크기의 구멍 2개가 되었다. 아쉽고 섭섭했지만  조깅화는 휴지통 속으로 사라졌다.  우리가 사는 집도 낡은 조깅화 같은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든다. 재개발이 진행 중인 구시가를 걷다보,면 나지막한 담장, 시멘트가 드러나는 벽체, 색이 바랜 낡은 집들을 보게 된다. 주거 생활의 편리함을 생각하면 부수고 새로 짓는 게 맞겠지만 낡은 집들이 사라진다는 것이 아쉽고 섭섭한 마음이 드는 것도 사실이다. 보기엔 낡았지만 주인의 살뜰한 관심 속에 세월을 견뎌낸 집이라는 걸 느낄 수 있다. 대문 한쪽에 서 있는 키 큰 나무는 주인이 입주를 기념하며 심었던 게 아닐까? 푸릇푸릇 풍성한 잎과 통통하게 살찐 나무 둥치, 허름한 담벽은 그 자체만으로 집 주인과 함께 살아온 집의 내력을 말하는 듯 하다. 낡은 집들 주변에는 신축된 건물도 있고 더 멀리에는 인기리에 분양되었다던 신축 아파트도 있다.  모든 새 것은 세월이 가면 헌 것이 된다. 낡은 집들도 예전에는 반짝이는 새집이었을 것이다. 구시가 골목을 걷다가 담장을 넘고 뻗은 호박 덩굴을 보니 날 보며 웃는 것 같아 반갑다. 재개발로 낡은 집이 허물어진다면 이 집을 그리워할 어떤 가족의 모습이 연상된다.  나도 담장 위의 푸른 호박잎을 그리워할 것이다. 무럭무럭 자라는 동그만 호박을 더 이상 보지 못하는 것을 아쉬워할 것이다. 내가 소유한 집도 아닌데 섭섭한 마음이 든다.     촬영장소: 미추홀구 주안동 촬영일자: 2024년 8월 27일 사진장수: 1장  #. 해당 사진은 2024 특성화사업 기록물 수집 공모전 <사라져 가는 것들>을 통해 수집된 사진입니다.  
    #공모전 #기록물수집공모전 #주안동
    생산일자 2024.08.27
    12345

미추홀시민아카이브

powered by 아카이브센터(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