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 근대교육의 시작
울산교육이야기
작성자 울산교육디지털박물관 게시일 2024.10.30
  • 0
근대학교가 세워지다. 
1905년 을사늑약 이후 일제 통감부는 교과서를 만들고, 각종 학교 법령을 만들어 식민지 동화교육을 실시하려고 했다. 이에 맞서 많은 사람들이 국권을 지키기 위한 민족교육을 실시해야 한다며 전국에 수많은 사립학교를 세우기 시작했다.
 

울산의 근대학교 설립자들은 지식인과 종교인, 지역 유지들이었다. 이들은 근대교육을 통해 인재를 양성하여 국가의 위기를 이겨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자신들의 재산을 내어 모아 학교를 세우고 운영하였다. 1905년 울산 읍내에 최초의 근대학교인 개진학교를 설립한 것을 시작으로 울산군과 언양군 곳곳에 20개 이상의 사립 근대학교가 세워졌다.
 
 
설립 연도 학교 이름 설립 장소 현재 학교 이름
1910년 기준 현재
1905 사립 개진학교 울산면 읍내 중구 교동 울보교 병합(1913)
1905 사립 광남학교 내상면 반구 중구 반구동
1906 사립 영명학교 언양군 상북면 울주군 언양읍 언양초등학교
1906 사립 일신학교 내상면 병영 중구 서동 병영초등학교
1907 사립 개운학교 동면 남목 동구 서부동 남목초등학교
1907 공립 울산보통학교 울산면 읍내 중구 북정동 울산초등학교
1908 사립 서흥학교 내상면 중구
1908 사립 보명학교 내상면 서동 중구 서동
1909 사립 보성학교 동면 일산 동구 일산동
1909 사립 통명학교 온산면 울주군 온산읍
1909 사립 입신학교 범서 구영 울주군 범서읍
1910 사립 언양의숙 언양군 중북면 울주군 언양읍
미상 보성(언양), 진명(범서 굴화), 창명(위치 불명), 일성(두동), 흥륜(강동), 명진(농동=농소), 원성(웅촌), 영신(현남=대현), 개양(온북=온양), 생명(서생), 원창(서생), 융흥(외남=서생)




 

학교, 100년을 가르치다. 
1919년 3‧1운동 이후 전국 곳곳에서 실력양성을 위한 문화운동, 계몽운동 차원의 교육열이 발흥하였다. 이 열기가 울산군 전체를 휩쓸면서 도처에서 사립학교, 강습회, 야학, 사숙 등이 세워졌다. 일제는 1면(面) 1교(校) 정책으로 자신들이 의도하는 식민지 교육을 강화하고, 항일 민족교육의 열기를 막으려고 했다.

그 결과 울산군은 1927년 경상남도의 19개 군 가운데 3번째로 18개의 모든 면에 학교를 설립하게 되었다. 일반 민중의 교육열과 당시 울산군‧면 당국의 적극적인 행정지도가 결합되어 나타난 현상이었다. 1921년 이후 세워진 14개의 학교가 이전에 세워진 4개의 근대학교와 더불어 100년이라는 울산 근대교육의 빛을 발하고 있다.
     
 
<한국인 학교>
 
설립 연도 학교 이름 설립 장소 현재 학교 이름
1929년 기준 현재
1906 사립 영명학교 언양면 동부리 언양읍 동부리 언양초등학교
1906 사립 일신학교 하상면 서리 중구 서동 병영초등학교
1907 사립 개운학교 동면 서부리 동구 서부동 남목초등학교
1907 공립 울산보통학교 울산면 북정동 중구 북정동 울산초등학교
1921 웅촌공립보통학교 웅촌면 곡천리 웅촌면 곡천리 웅촌초등학교
1922 온양공립보통학교 온양면 남창리 온양읍 남창리 온양초등학교
1923 두동공립보통학교 두동면 구미리 두동면 구미리 두동초등학교
1924 서생공립보통학교 서생면 신암리 서생면 신암리 서생초등학교
1925 대현공립보통학교 대현면 고사리 남구 야음동 대현초등학교
1925 중남공립보통학교 중남면 신화리 삼남읍 신화리 중남초등학교
1926 농소공립보통학교 농소면 송정리 북구 호계동 농소초등학교
1926 온산공립보통학교 온산면 대정리 온산읍 덕신리 온산초등학교
1927 청량공립보통학교 청량면 덕하리 청량읍 덕하리 청량초등학교
1927 두서공립보통학교 두서면 인보리 두서면 인보리 두서초등학교
1927 범서공립보통학교 범서면 구영리 범서읍 천상리 범서초등학교
1927 삼동공립보통학교 삼동면 하잠리 삼동면 하잠리 삼동초등학교
1927 강동공립보통학교 강동면 정자리 북구 산하동 강동초등학교
1927 길천공립보통학교 상북면 길천리 상북면 산전리 상북초등학교


 
<일본인 학교>
 
설립 연도 학교 이름 설립 장소 현재 학교 이름
1933년 기준 현재
1907 울산심상소학교 울산면 교동 중구 교동 양사초등학교
1909 울산만소학교 대현면 장생포리 남구 장생포동 장생포초등학교
1910 방어진소학교 동면 방어리 동구 방어동 방어진초등학교
1916 서생심상소학교 서생면 신암리 - 폐교
1919 언양심상소학교 중남면 교동리 - 폐교
1932 목도심상소학교 온산면 방도리 - 폐교




 
< 공립보통학교()와 소학교() >
 

울산 학생들, 항일독립운동에 나서다. 
1919년 3.1만세운동이 일어났을 때 울산의 학생들도 만세 시위에 적극 참여하였다. 4월 4일 일어난 병영만세운동에 일신학교(현 병영초등학교) 학생들이 적극 참여한 것이 그 한 예이다.
 

이후 1926년 순종의 국장일인 6월 10일 울산의 학생들은 망곡식, 동맹휴학 등으로 일제에 맞서는 운동을 전개하였다. 그리고 1929년 민족 차별과 식민 교육 철폐를 주장하며 일어선 광주학생항일운동을 지지하는 격문을 붙이는 등의 조직화된 항일독립운동에 나섰다가 일제의 탄압을 받기도 하였다.
 

1930년대 중반까지 일제에 맞선 울산 학생들의 항일독립운동은 서생과 일산 등지에서 야학, 강습회 등을 통해 그 맥을 이어가며 펼쳐졌다.
 
◉ 1919년 만세운동
- 4월 4일 병영 일신학교(현 병영초등학교) 학생들 만세 시위 참여

◉ 1923년 일본상품 불매운동
- 7월 14일 언양공립보통학교(현 언양초등학교) 학생들 불매동맹

◉ 1926년 6・10 만세운동
- 5월 1일부터 울산공립보통학교(현 울산초등학교) 학생들 1주일 간 동맹휴학
- 5월 2일~4일 학성공립보통학교(현 병영초등학교) 학생들 동맹휴학
- 5월 4일부터 동면공립보통학교(현 남목초) 학생들 1주일 간 동맹휴학
- 6월 10일 울산지역 공립보통학교 학생들 망곡식, 요배식과 휴학

◉ 1927년 울산공립농업보습학교 동맹휴교
- 1월 19일~24일 일본인 교원 문제로 학생들 동맹휴교

◉ 1928년 언양 만세격문사건
- 12월 12일 언양공립보통학교 6학년 김동하, 언양경찰관주재소 게시판 '조선독립만세' 격문 부착

◉ 1930년 제1차 언양격문사건
- 1월 28일 광주학생항일운동 지지, 언양주재소 부근 격문 살포한 언양소년회원 오호근 체포

◉ 1932년 제2차 언양격문사건
- 5월 1일 언양 곳곳 메이데이 격문을 부착한 홍정수(일명 홍인수) 체포

◉ 1934년 서생적화교육사건
- 1933년 8월~1934년 3월 신암리 야학 무산아동 30여 명 적화교육

◉ 1934년 보성학교 메이데이 사건
- 4월 30일 교사 장기준, 천순도 수업 중 메이데이 습자 연습으로 검거

◉ 1935년 방어진 메이데이 격문 사건
- 5월 1일 방어진 전신주 곳곳에 메이데이 표어 전단을 부착한 보성학교 학생 체포




그들에게 '가갸거겨'를 주라!

대한제국기 울산지역에는 국권회복과 근대교육을 위해 20여 개 이상의 사립 근대학교가 설립되어 민족교육을 실시하였다. 하지만 1910년대 일제의 사립 근대학교 탄압정책으로 대부분의 학교는 사라졌었다.

1919년 3‧1운동 이후 고양된 문화운동과 실력양성의 민족‧사회 운동 차원에서 울산지역 곳곳에 사립학교, 강습회(소), 야학, 서당 등이 세워져서 학생들을 가르쳤다.
 
“사람의 졸던 눈을 뜨게 하는 소리가 무엇인가. 그것은 ‘글’이다. 그들에게 글을 주라, 글을 주라! 글을 주지 아니하고는 그들의 눈을 뜨게 할 수는 업는 것이다. 모든 농부나 모든 노동자에게 ‘가갸거겨’를 주라! 그리하면 그 ‘가갸거겨’가 모든 것을 스스로 해결할 것이다.” (사설 – 궁근노동야학 『동아일보』, 1924. 2. 8.)
   

교육 혜택을 받지 못한 대다수의 아동, 농민, 부인들은 근대적인 교육을 받고자 하는 열망을 각지 청년회나 사회단체, 마을 유지 등이 개설한 강습소, 야학 등에서 채울 수밖에 없었다. 그리고 이 교육기관들이 1920년대 활발했던 교육독립운동의 근거지, 인적 저수지 역할을 담당했음을 주목해야 한다.
 

 


 

 <참고문헌>
 『제국신문』,  『황성신문』, 『대한매일신보』, 『경남일보』, 『부산일보』, 
『동아일보』,
 『조선일보』, 『시대일보』,  『중외일보』
  울산군, 『울산군군세일반』, 1929.
  울산군교육회, 『울산군향토지』, 1933.
  경상남도 경찰부, 『고등경찰관계적록』, 1936.
  울산광역시교육청, 『울산교육사』, 2001.
  국사편찬위원회, 『신편한국사 51 : 민족문화의 수호와 발전』, 2002.
  지호원, 「일제하 울산지방의 중등교육」 『울산사학』 제11집, 울산사학회, 2004.
  울산광역시교육청, 『울산교육 독립운동 100년의 빛을 밝히다』, 2020.
  이현호, 『근대 신문으로 본 울산 1896~1912』, 울산역사연구소, 2023. 

 

목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