늦봄 문익환 아카이브

옥중서신·사진첩 기록 소개

국가지정기록물 제15호 '늦봄문익환기념사업회 옥중서신 및 사진첩' 소개

국가지정기록물 제15호로 지정된 늦봄문익환기념사업회 소장 ‘옥중서신 및 사진첩‘은 문익환 목사가 수감시절 아내인 박용길 장로와 주고받은 서신 3,049점(문익환 서신 745점, 박용길 서신 2,304점)과 사진첩 51권입니다. 
 

지정번호

기록물명

수량

소유자(관리자)

지정일

제15호

늦봄문익환기념사업회 옥중서신 및
사진첩

3,100점
(옥중서신 3,049점,
사진첩 51권)

늦봄문익환기념사업회

2023. 1. 6.

 
 

지정사유

아래는 국가기록원에서 고시한 지정사유입니다.
 
• 대한민국의 정치사회를 이해하고 한국 근현대 100년을 성찰하고 기념하는 기록물로, 독립운동·민주화운동·통일운동 기록이자 한국 현대사의 가족사·종교사·생활사 기록

- 대한민국 격동의 역사에서 나타나는 정치, 사회적 내용 뿐만 아니라 생활사를 담은 사진과 서신으로 기록물의 유일성, 희소성과 함께 풍부한 정보적 가치를 담고 있다. 특히, 일제강점기 사진은 간도지역 독립운동사의 재구성에도 희귀한 자료이다.

 - 대한민국의 정치·사회를 이해하고 한국 근현대 100년을 성찰하고 기념하는 기록물로, 독립운동·민주화운동·통일운동 기록이자 한국 현대사의 가족사·종교사·생활사 기록이다.

 - 서신과 사진 모두 신뢰할 수 있는 기록물 원본으로, 장기적으로 보존이 우려되는 상황이고, 많은 연구자와 일반인들이 활용할 수 있도록 국가지정기록물로 지정되어 관리·보존함이 시급하다. 
  
  

컬렉션별 소개 


① 문익환의 옥중서신(옥중편지)
옥중편지는 문익환(1918-1994) 목사가 민주화·통일 운동으로 6차례 수감생활하며 1976년부터 1993년에 걸쳐 쓴 745통의 편지입니다. 감옥에서의 생활과 가족들 안부를 챙기는 사사로운 내용 뿐만 아니라 문인, 재야 인물, 열사 가족 등 여러 인물와의 교류도 담겨 있습니다. 따라서 편지는 한국의 민주화 활동 과정과도 밀접히 관련되어 있으며 사적 편지이지만 또한 공적이며 사회적인 특성을 띱니다.
 
◇ 문익환의 옥중서신 1979. 11. 16
유신헌법의 비민주성을 폭로하여 형집행정지 취소로 재수감(2차 투옥)되었을 때 쓴 편지이다. 검열로 한쪽 부분이 전부 검게 그어지고 뒷면에도 그 자국이 선연하다. 원고지 28장 분량.

 

②  박용길이 감옥으로 보낸 편지('당신께')
'당신께'로 시작하는 편지는 박용길(1919-2011) 장로가 수감 중인 남편 문익환 목사에게 쓴 것으로 총 2,304통이 남아 있습니다. 박용길의 옥바라지와 양심수를 위한 투쟁을 엿볼 수 있는 이 글월은 문익환 목사의 옥중편지와 짝을 이루기 때문에 아주 중요합니다. 또 당시 감옥의 서신 검열 실태를 잘 보여줍니다. 검열로 누락된 편지가 있는지 보려고 편지마다 번호를 붙이고 특정 인물이나 장소는 은어를 사용했습니다. 정갈한 필체에 다양한 방식으로 꾸며진 편지는 보는 즐거움이 있습니다.
 
◇ 박용길 장로가 감옥으로 보낸 편지 1982. 9. 1. 
바깥의 공기를 담은 식물과 사진으로 장식된 편지. 이외도 박용길 장로는 다양한 재료를 활용해 편지를 정성껏 꾸몄다. 이날은 박용길 장로의 생일로 보이지 않는 기도의 선물이 제일 값진 선물이라 적고 있다.   

 
 
③ 사진첩
사진첩은 박용길 장로가 직접 만들고 설명을 곁들인 51권의 주제별 앨범입니다. 이 앨범은 문익환, 박용길의 유년시절부터 시작되며 문익환 목사 별세 이후 박용길 장로의 통일 운동까지 근 100년의 역사를 담고 있습니다.   
 
◇ 박용길 장로가 정리한 ‘민주구국’ 앨범 
민구 구국 사건 당시 보라색 한복을 입고 시위를 하던 구속자 가족들의 활동사진, 공청회 티켓, 신문보도, 전주교도소 수인번호 등이 담겨 있다. 

 
  

아카이브에서 기록 보는 법


① 문익환의 옥중서신(옥중편지) 
상단의 메뉴 '옥중편지'를 선택하여 수신자별, 투옥시기별로 편지 전체를 볼 수 있습니다. 
 
(자세한 사료이용 설명은 메뉴 '사료설명서 > 옥중편지'를 참고해 주세요.) 
 

②  박용길이 감옥으로 보낸 편지('당신께')
서비스 준비중입니다. 
단행본 🔗『사랑의 기록가 박용길』에 실린 주요 편지를 볼 수 있습니다.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의 오픈 아카이브에서 일괄 업로드된 편지를 볼 수 있습니다.
🔗 오픈아카이브에서 보기
  

③ 사진첩
메인 화면에서 🔗'사료 형태로 보기 > 사진류'를 선택하여 앨범에 포함된 개별 사진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