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카이브 탐색
  • 주제분류
    • 민간아카이브 (6)
      • 시민단체
      • 지역공동체
      • 개인
      • 기업
      • 종교단체
      • 교육기관
    • 공공아카이브 (4)
      • 공기업
      • 지방자치단체 산하
      • 정부부처 산하
      • 국·공립대학 산하
    • 인권·복지 (5)
      • 노인복지
      • 동물복지
      • 페미니즘
      • 인종차별 반대
      • 아동·청소년
    • 사회 (8)
      • 공동체
      • 교육
      • 주거
      • 지역
      • 재난
      • 언론
      • 전쟁
      • 퍼블릭 데이터
    • 예술 (10)
      • 건축
      • 미술
      • 문학
      • 연극·뮤지컬
      • 무용
      • 음악
      • 사진
      • 국악
      • 디자인
      • 영화·애니메이션
    • 문화 (3)
      • 언어
      • 종교
      • 스포츠
    • 생활 (2)
      • 가족
      • 여행
    • 환경
    • 학술
    • 역사
    • 인물
    • 기업
    • 과학
    • 메타버스
    • 미분류
  • 시기분류
    • 1990년대
    • 2000년대
    • 2010년대
    • 2020년대
  • 출처분류
      level = 1 , index = 0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남아메리카
    • 남아메리카 level = 1 , index = 1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아프리카
    • 아프리카 level = 1 , index = 2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오세아니아
    • 오세아니아 level = 1 , index = 3 , last = false , child_cnt = 6 , provenance = 유럽
    • 유럽 (6)
        level = 2 , index = 4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이탈리아
      • 이탈리아
      • level = 2 , index = 5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영국
      • 영국
      • level = 2 , index = 6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러시아
      • 러시아
      • level = 2 , index = 7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아일랜드
      • 아일랜드
      • level = 2 , index = 8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독일
      • 독일
      • level = 2 , index = 9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프랑스
      • 프랑스
      • level = 1 , index = 10 , last = false , child_cnt = 4 , provenance = 아시아
    • 아시아 (4)
        level = 2 , index = 11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중국
      • 중국
      • level = 2 , index = 12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대한민국
      • 대한민국
      • level = 2 , index = 13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일본
      • 일본
      • level = 2 , index = 14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필리핀
      • 필리핀
      • level = 1 , index = 15 , last = false , child_cnt = 2 , provenance = 북아메리카
    • 북아메리카 (2)
        level = 2 , index = 16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미국
      • 미국
      • level = 2 , index = 17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캐나다
      • 캐나다
      • level = 1 , index = 18 , last = true , child_cnt = 0 , provenance = 미분류
    • 미분류
검색
카드형 갤러리형
총 29개의 기록물
  • 5·18기념재단 아카이브
    아카이브 방문하기 5·18민주화운동 당시 생산된 기록과 구술, 사진, 영상, 기념사업 산출물 등 약 4만건의 기록을 온라인으로 공개하며, 시민, 연구자, 교육 종사자 등 누구나 쉽고 편리하게 기록에 접근할 수 있도록 설계된 웹 기반 아카이브이다. 아카이브는 ▲아카이브 소개 ▲사진 아카이브 ▲컬렉션 ▲콘텐츠 ▲구술채록 ▲기록물 검색 ▲이용·신청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기존의 나경택·이창성 사진 컬렉션은 물론, ‘열흘간의 항쟁’ ‘5·18민주화운동 왜곡 대응과 진상규명’ 등 주요 콘텐츠도 함께 제공된다.  
    생산일자 2025.05.15
  • Syrian Archive
    아카이브 방문하기 Syrian Archive는 시리아 내 모든 분쟁 관련 당사자가 저지른 인권 침해 및 기타 범죄를 기록하고 보존하며 이를 증진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디지털 아카이브입니다. 이 프로젝트는 인권 옹호, 정의, 책임 추구를 위한 자료를 제공하며, 수집된 데이터를 검증하고 분석하여 사건을 재구성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생산일자 2014
  • RIMA - Russian Independent Media Archive 러시아 독립 미디어 아카이브
    아카이브 방문하기   RIMA (Russian Independent Media Archive)는 아시아 독립 언론의 디지털 자료를 체계적으로 보존하는 아카이브입니다. 이 사이트는 2000년부터 현재까지의 독립 언론 자료를 수집하며, 현재 131개의 미디어 기관에서 제공된 740만 건 이상의 문서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RIMA는 언론의 자유와 독립성을 지원하며, 연구자와 대중이 러시아 언론의 역사적 맥락을 이해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이 아카이브는 러시아 독립 언론의 기사, 동영상, 사진 등 다양한 형식의 자료를 포함하며, 디지털 시대의 중요한 미디어 자료를 장기적으로 보존하기 위해 설립되었습니다. RIMA는 연구자와 시민 사회의 중요한 리소스로 활용되며, 러시아의 현대 언론사를 조명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생산일자 2021
  • De appel Amsterdam
    아카이브 방문하기   De Appel은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에 위치한 현대 미술 기관으로, 예술 아카이브와 전시,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예술과 문화를 다각적으로 탐구합니다. 1975년에 설립된 de Appel은 실험적인 전시와 프로그램으로 널리 알려져 있으며, 특히 신진 예술가와 큐레이터에게 중요한 플랫폼을 제공합니다. 이곳의 디지털 아카이브는 수십 년간 축적된 예술 작품, 전시 자료, 비평 문서 등을 보관하고 있어 연구자와 예술 애호가들이 예술의 역사적 맥락과 현대 미술의 발전을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de Appel은 전시뿐만 아니라 아티스트 레지던시, 큐레이터 프로그램을 통해 예술계의 발전을 지원하며, 지속적으로 아카이브를 확장해 예술적 유산을 보존하고 접근성을 높이고자 노력합니다.
    생산일자 미상
  • 한국문인협회 문학아카이브 월간문학
    아카이브 방문하기 사단법인 한국문인협회에서 만든 월간문학 아카이브는 대한민국 문단의 오랜 역사와 문학적 가치를 보존하고 전파하는 디지털 아카이브입니다. 1955년 창간된 월간문학 잡지의 모든 호를 디지털화하여 제공하며, 현대 한국 문학사의 중요한 기록들을 한 곳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다양한 장르의 시, 소설, 평론, 에세이 등 문학 작품을 감상할 수 있으며, 문인들의 창작 활동을 연구하는 데 필요한 귀중한 자료를 제공합니다.  
    생산일자 2024.09.00
  • 퀴어락(Korea Queer Archive)
    아카이브 방문 한국성적소수자문화인권센터는 한국성적소수자의 역사적, 문화적, 사회적 기록들을 수집 정리하여 오프라인과 온라인상으로 공유, 검색, 열람이 가능하게 하고 이를 기반으로 역동적인 인적, 지적교류와 증진을 이루기 위해 <퀴어락>을 상상하고 기획하였습니다. 퀴어락은 한국 퀴어 아카이브 (Korea Queer Archive)의 애칭입니다. 이는 Queer + Archive를 조합한 ‘Queerarch’를 발음대로 읽은 것이기도 하지만, 한자의 ‘즐거운 樂’ 의미를 담아 퀴어의 즐거움이 되는 아카이브가 되자는 의지를 담고 있기도 합니다. 퀴어락은 2009년 현재 약 2000여 편의 국내외 성소수자 관련 도서, 문서, 영상 등의 자료를 보유하고 있으며, 누구나 열람이 가능한 공공 아카이브입니다. 아름다운 재단의 변화의시나리오 기금사업에 선정되어 진행되고 있으며, 기금 외에 여러분의 후원금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2009년에는 먼저 도서, 문서 및 영상물에 대한 목록화, 아카이브 홈페이지제작, 온/오프라인 아카이브 시범 오픈을 목표로 하였습니다. 2010년에는 사진 및 박물류 등으로 기록물의 범위를 확장시키고 수집에 더욱 주력할 것입니다. 이후 기록물의 디지타이징을 비롯하여 아카이브구축백서 발간 등을 통해 아카이브의 구축과정부터 활용까지 모든 것이 공유될 수 있도록 할 것입니다. 퀴어락은 단순한 보관소가 아니라 우리 사회에 숨쉬는 공기를 공급하는 풀무질이 되고자 합니다. 해외에서는 이미 활성화되는 소수자 공공 아카이브를 한국 현실에 잘 맞게 세우고자 노력하겠습니다. 애정어린 지지와 참여를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생산일자 2009.10.00
  • 노무현사료관
    아카이브 방문   노무현 대통령이 퇴임 후 국가기록원 나라기록관 개관을 축하하며 직접 쓴 문구입니다. 노무현 대통령은 역대 어느 대통령보다 기록을 소중하게 여긴 대통령이었습니다.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우리에겐 역사를 제대로 기록하고 평가하는 전통이 자리 잡지 못했습니다. 군부독재 시절과 권위주의 정권에서는 치부를 감추느라 많은 기록을 없앴습니다. 국민의 정부 들어 기록에 대한 인식을 바꾸고 기록관리의 기틀을 마련했습니다. 그리고 참여정부에서 비로소 국가기록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가 이루어졌습니다. 노무현재단은 “모든 기록은 역사에 남겨야 한다”는 노무현 대통령의 뜻을 이어받아 우리나라 최초의 인터넷 대통령기록관 <노무현사료관>을 열었습니다. <노무현사료관>은 문서와 사진・영상, 육성 및 구술, 친필을 비롯한 유품과 박물, 추모기록에 이르기까지 노무현 대통령 생애 전반에 걸친 방대한 기록을 관리하고 공개하고 있습니다. 꾸준히 새로운 소식으로 찾아뵙겠습니다. 사료연구본부는 노무현재단 산하 기구로 사료연구와 사료를 활용한 편찬사업을 전담하고 있습니다. 노무현재단은 노무현 대통령에 관한 기록물을 체계적으로 수집・정리・보존・관리를 위해 2010년 사료편찬특별위원회(위원장 정연주)를 출범했고, 2014년 사료연구센터(센터장 윤태영)로 개편해 서울에 본부를 두고 온라인 <노무현사료관>과 경남 진영에 <임시기록관>을 운영했습니다. 이후 <임시기록관>은 2017년부터 봉하마을 <대통령의 집>으로, 서울 본부는 2023년 <사료연구본부>로 새롭게 개편했습니다. 사료연구본부는 이곳 <노무현사료관>을 통해 노무현 대통령의 삶과 정신을 가깝게 접할 수 있는 사료를 소개하고, 사료 해제, 사료 콘텐츠 등 다양한 방법으로 시민들과 소통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노무현 대통령의 삶과 자취를 꼼꼼히 기록해 참여민주주의와 시민의 가치를 키워나가는 토대가 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찾아주셔서 감사합니다.
    생산일자 2016
  • 개성 만월대 남북공동발굴 디지털기록관
    아카이브 방문   2007년부터 남과 북은 개성에 위치한 고려의 궁궐터 ‘만월대’를 공동으로 발굴하는 사업을 꾸준히 진행해왔다. 남북관계가 우여곡절을 겪으면서 교류협력사업의 맥이 단절될 위기에 처하기도 했으나, 개성 만월대 남북공동 발굴조사 사업은 지속되었다. 남북공동 발굴조사는 남측의 남북역사학자협의회와 북측의 민족화해협의회 사이의 민간교류협력사업으로, 2007년부터 2018년까지 총 8차례에 걸쳐 총 538일간 진행되었다. 390,000㎡에 이르는 넓은 지역을 단계적으로 발굴하여 2015년까지 건물지 40여 동을 확인하면서 약 17,900여 점의 유물을 수습하였다. 그 중에는 2015년 제7차 발굴조사에서 출토된 ‘(추정) 전일할 전(嫥)’자 금속활자를 비롯한 수많은 성과가 있었다. 2013년에는 만월대를 포함한 개성의 12개 문화유산이 ‘개성역사유적지구(Historic Monuments and Sites in Kaesong)’라는 이름으로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되어, 그 가치를 세계적으로 인정받기도 했다. ‘개성 만월대’는 쉽게 방문할 수 있는 곳이 아니며, 출토된 유물은 북측이 관리하고 있다. 따라서 남측 조사단은 발굴조사 과정에서 유구와 유물을 사진과 동영상으로 촬영하고 3D 스캐닝을 하는 등의 다양한 디지털 아카이빙 방법으로 많은 자료를 확보하기 위해 노력했다. 그 결과 발굴조사가 시작된 2007년부터 무척이나 많은 디지털 파일이 쌓였다. 그러나 정리·분석이 쉽지 않았다. 매번의 발굴조사기간에는 발굴 그 자체에 집중할 수밖에 없었다. 이에 통일부는 발굴자료의 정리·가공·구축과 학술연구 목적의 활용 그리고 대국민 서비스 제공 등을 위하여, 2017년 ‘개성 만월대 유물자료 정리사업’과 2018~2020년 ‘개성 만월대 남북공동발굴 디지털아카이브 구축사업’에 남북협력기금을 지원함으로써, 2020년에 ‘개성 만월대 남북공동발굴 디지털 기록관(만월대 디지털 기록관)’을 개관할 수 있게 되었다.
    생산일자 2020.12.22
  • 새마을운동아카이브
    아카이브 방문   새마을운동아카이브는 새마을운동의 과거와 현재, 미래가 공존하는 '새마을역사관' 소장자료와 각종 새마을운동 관련 이야기를 바탕으로 조직한 아카이브입니다.
    생산일자 미상
  • ARCHIPOP
    아카이브 방문 2003년에 시작된 Archipop 프로젝트는 Picardy 지역(Aisne, Oise, Somme) 전역에서 영화, 시청각 및 사운드 아카이브를 수집, 저장, 보존, 문서화 및 홍보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2015년부터 이 지역에서 협회와의 파트너십에 의존하고 우리를 보완하는 조치를 수행함으로써 노르파드칼레 지역으로 점진적으로 확장했습니다. 풍부한 경험과 자격을 갖춘 직원, 적합한 기술 및 디지털 장비를 갖춘 Archipop은 오늘날 801개 이상의 컬렉션, 즉 7,540개 이상의 저장된 릴에서 1,761시간 이상의 영화를 제공합니다. 출처: https://archipop.org/archipop-l-association/
    생산일자 2023
    123

DADA

powered by 아카이브센터(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