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카이브 탐색
  • 형태분류
    • 도서/간행물류
    • 문서류
    • 사진류
    • 박물류
    • 신문류
    • 미분류
  • 주제분류
    • 전경
    • 기관 및 시설
    • 민속·풍속
    • 체제선전(Propaganda)
    • 지역 (9)
      • 기전
      • 호서
      • 호남
      • 영남
      • 제주
      • 관동
      • 관서
      • 관북
      • 해서
    • 未分類
  • 시기분류
    • 朝日修好條規以前
    • ~甲申政變(1884年)
    • ~光武改革(1897年)
    • ~庚戌國恥(1910年 08月 29日)
    • 武斷統治(1910年代)
    • 文化統治(1920年代)
    • 大恐慌·民族抹殺統治(1930年代)
    • 第二次世界大戰·太平洋戰爭
    • 光復以後
    • 分類 外
  • 출처분류
      level = 1 , index = 0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관제(官製)
    • 관제(官製) level = 1 , index = 1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사제(私製)
    • 사제(私製) level = 1 , index = 2 , last = true , child_cnt = 0 , provenance = 未分類
    • 未分類
검색
카드형 갤러리형
총 68개의 기록물
  • 충남의 상도 강경명소 사진그림엽서 세트 봉투
    1910년대 강경실업협회에서 발행하고 하본상점(河本商店)에서 판매, OSAKA에서 인쇄한 '충남의 상도 강경명소' 사진그림엽서 세트의 포장 봉투이다. 봉투 전면에는 금강하구에 위치한 강경 특성을 살린 삽화가 세겨져있고, 후면에는 발행처인 강경실업협회와 판매처인 하본상점 문구가 인쇄되어있다.
    #강경실업협회 #강경 #商都 #강경명소 #금강 #하구 #공출 #강경항 #하본상점 #河本商店 #OSAKA
    생산일자 미상
  • 충남의 상도 강경명소 - 옥녀봉 위 강경신사
    1910년대 강경실업협회에서 발행하고 하본상점(河本商店)에서 판매, OSAKA에서 인쇄한 '충남의 상도 강경명소' 사진그림엽서 시리즈 중 강경신사 전경을 수록한 자료이다. 강경신사는 1908년 금강 하구를 조망할 수 있는 옥녀봉 정상에 설치되었다. 일제는 경술국치 이전부터 강경 일대에 진출하여 대대적인 식민통치 작업을 준비했다. 강경신사는 일제의 식민침탈 과정의 증거이다. 1908년 설립된 강경신사는 1917년 조선총독부에 의해 공식 창립을 승인받았다. 강경신사와 연관된 중요한 사건 중 하나는 1924년 10월 11일부터 진행된 우리 역사 최초의 신사참배 거부 운동이다.
    #OSAKA #옥녀봉 #금강 #강경 #강경신사 #신사 #신도 #도리이 #상도 #商都 #강경명소 #강경실업협회 #河本商店 #하본상점
    생산일자 미상
  • 충남의 상도 강경명소 - 서정통(西町通)
    1910년대 강경실업협회에서 발행하고 하본상점(河本商店)에서 판매, OSAKA에서 인쇄한 '충남의 명소 강경명소' 사진그림엽서 시리즈 중 강경 서정통(西町通) 모습이 담긴 자료이다. 서정통 내 길거리 모습과 함께 상점가의 간판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일부 간판은 육안으로 판독할 수 있는데 문구점과 자동차 차부, 양복점과 인쇄소 등의 모습을 엿볼 수 있다. 강경은 충청남도 논산 등지에서 산출된 쌀을 일본 본토로 수탈하기 위해 개항한 곳으로 일제의 주요 수탈 전진기지이던 곳이다.
    #OSAKA #강경 #강경항 #서정통 #서정거리 #西町通 #문구점 #문방구 #자동차 #양복점 #약방 #약국 #河本商店 #하본상점
    생산일자 미상
  • 조선철도연선풍경회엽서 시리즈 - 부산어시장과 부산항
    1910년대 조선총독부 철도국에서 발행한 조선철도연선풍경회엽서(朝鮮鐵道沿線風景繪はがき) 12매 시리즈 중 부산어시장과 부산항 전경 사진이 수록된 자료이다. 어선에서 잡아온 삼치, 가자미, 장어 등의 생선을 나열한 모습을 확인할 수 있으며, 한쪽에서 생선을 손질하는 장면도 담겨있다. 엽서 후면에는 대정4년 인장이 날인된 점에 비춰볼 때, 1915년에 발행된 자료로 추정할 수 있다.
    #朝鮮總督府 鐵道局 #조선총독부 #철도국 #朝鮮鐵道沿線風景繪はがき #철도연선 #부산항 #부산 #부산어시장 #어시장 #어물전 #삼치 #경매장 #東京印刷株式会社 #동경
    생산일자 1915
  • 1911년 공주시가도
    1911년 충청남도 도청에서 발행한 관제 사진그림엽서 중 공주시가도 모습이 수록된 사진그림엽서이다. 1910년 경술국치 이전에 측량한 기록을 토대로 제작한 사진그림엽서로 추정되며, 독특하게 시가지 지도를 수록한 것이 특징이다.
    #충청남도 #충남 #공주시가도 #공주시 #금강 #제민천 #앵산공원 #공산성 #산성공원 #미나리깡 #공주우편국 #우편국 #공주신사 #신사 #약도 #시가도
    생산일자 1911
  • 공주공립고등보통학교 개교기념 - 전교생 체조시간
    1924년 06월 14일, 공주공립고등보통학교 개교를 기념하여 발행된 사진그림엽서 중 전교생이 운동장에서 체조를 수행하는 모습이 수록된 자료이다. 본래 공주고보는 1922년에 개교하였으나, 오늘날 공주중동초등학교와 교사를 함께 사용하였다. 이후 2년여에 걸친 교사 신축작업을 진행하여 오늘날의 공주고등학교 부지에 교사와 운동장 등을 갖추며 공동교사 운영시기를 마친다. 
    #공주공립고등보통학교 #공주고 #공주고보 #공주고등학교 #체조시간 #체조 #체력단련 #운동장 #사진그림엽서
    생산일자 1924.06.14
  • 공주공립고등보통학교 개교기념 - 교사 전경
    1924.06.14. 공주공립고등보통학교(現, 공주고등학교) 개교를 기념하여 발행한 신축 교사 전경 사진그림엽서이다. 공주고등보통학교는 공주보통학교(現 공주중동초등학교)와의 공동 교사 기간을 종료하고 마침내 본 자료 속 모습과 같은 형태의 학교를 신축하여 이전했다. 강의가 이뤄지는 본 교사부터 우측 하단의 기숙사까지 모두 갖춘 공주고보는 충청남도의 대표적인 중등교육기관으로 군림했다. 기숙사의 경우 개교 1년 앞선 1923년에 먼저 신축되어 학생들의 입실이 이뤄진 상태였다.
    #공주공립고등보통학교 #공주고등보통학교 #공주고등학교 #공주고 #공주고보 #기숙사 #교사 #운동장 #공산성 #쌍수정 #시가지 #공주 #초가집
    생산일자 1924.06.14
  • 이왕직장판 창덕궁 비원 회엽서(李王職藏版昌德宮秘苑繪葉書) - 창덕궁 후원 내 태극정
    1920년대 조선총독부 직속 기관인 이왕직(李王職)에서 발행한 '이왕직장판 창덕궁 비원 회엽서' 3매 중 태극정(太極亭) 모습이 수록된 자료이다. 태극정은 후원 내 옥류천 권역에 위치한 정자로 1층 형태와 기단을 갖춘 건물이다. 본래는 벽이 가설된 형태의 건물 구조였으나, 후대에 벽이 허물어지고 들어열개문 구조가 가설된 뚤린 구조로 변경되었다.
    #이왕직(李王職) #이왕직장판 #창덕궁 #회엽서 #사진그림엽서 #조선총독부 #후원 #비원 #태극정 #정자 #누정
    생산일자 미상
  • 이왕직장판 창덕궁 비원 회엽서(李王職藏版昌德宮秘苑繪葉書) - 창덕궁 후원 내 존덕정
    1920년대 조선총독부 직속 기관인 이왕직(李王職)에서 발행한 '이왕직장판 창덕궁 비원 회엽서' 3매 중 존덕정(尊德亭) 모습이 담긴 기록이다. 존덕정은 본래 육면정(六面亭)이란 이름으로 지어진 누정이었으나, 후대에 존덕정으로 개칭되었다. 존덕정은 반월 모양의 연못 반월지(半月池)에 인접하여 건축된 것이 특징이며, 존덕정 동편으로 시내가 지나도록 설계했다. 육각형 구조의 존덕정은 난간과 교창을 설치한 것이 특징이며, 보개천장에 용 조각까지 설계한 화려한 누정이다.
    #이왕직(李王職) #이왕직장판 #조선총독부 #회엽서 #사진그림엽서 #창덕궁 #후원 #비원 #존덕정 #정자
    생산일자 미상
  • 이왕직장판 창덕궁 비원 회엽서(李王職藏版昌德宮秘苑繪葉書) - 창덕궁 후원 내 주합루
    1920년대 조선총독부 직속 기관인 이왕직(李王職)에서 발행한 이왕직장판 창덕궁 비원 회엽서 3매 중 주합루(宙合樓)의 모습을 담은 기록이다. 주합루는 창덕궁 후원 내 위치한 2층의 누각으로 남쪽에는 부용지와 부용정을 마주하고 있다. 1776년 정조가 규장각 건물로 처음 건축한 후 학문 연구와 다양한 강연을 펼치던 곳이다. 책을 보관하고 사무실로 사용하던 1층은 어제각(御製閣)이었으나, 규장각(奎章閣)으로 개칭했다. 정책을 논하고 독서하는 2층을 주합루로 칭하며, 일반적으로 1층과 2층을 모두 주합루로 통칭하는 경향이 짙다.
    #이왕직(李王職) #이왕직장판 #이왕직 #사진그림엽서 #회엽서 #창덕궁 #비원 #후원 #주합루 #규장각 #정조
    생산일자 미상
    12345

사진그림엽서 아카이브(PPA)

powered by 아카이브센터(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