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추홀생태문화이음길의 하루
세계시민성교육
작성자 미추홀학산문화원 게시일 2025.01.18
  • 0

지역 학생의 눈으로 바라본 미추홀생태문화길의 하루 

미추홀학산문화원은 인하대학교 프런티어학부대학과 연계하여 세계시민성교육을 진행했습니다. 2024년 2학기 세계시민성교육 강좌를 함께한 인하대학교 프런티어학부대학 학생 35명이, 직접 '미추홀생태문화이음길'을 걷고 브이로그를 찍었습니다.

미추홀생태문화이음길이란?
미추홀생태문화이음길 지도

미추홀생태문화이음길은 미추홀의 도시의 지형을 이어내는 길입니다. 사람들의 편의에 의해 구분된 행정단위를 넘어서, 도시의 구조를 이해하기 위해 산, 물, 길을 중심으로 확장하고 이어내어 보다 큰 시선으로 지역을 바라본 길이랍니다!

이러한 지역자원을 중심으로 변화를 살펴보고 원형을 들여다보는 과정은 도시의 과거와 현재의 시간을 이해하는 과정이 됩니다. 또한, 현재의 도시 구조를 직시하는 과정은 도시를 보다 좋은 지역으로 만들어나가는 첫 걸음이 됩니다. 

 

지역의 학생들이 바라본 미추홀생태문화길의 하루는 어땠을까요?

1조 '미추홀리몰리'는 수봉비룡길을 탐방하고 브이로그 '함께 만드는 수봉비룡길'을 찍었습니다.

인하대 내의 수준원점에서 시작해서 비룡쉼터, 수봉공원, 비룡문화회관에서 제물포 시장까지 이어진 길을 탐방한 브이로그입니다. 

세계시민성교육 - 수봉비룡길 탐방

2조 '미추픽추'는 바다이음길을 탐방하고 브이로그 '폐석회 매립부지 재활용 보고서'를 찍었습니다.

동양제철화학공업 폐석회 매립지를 탐방하고, 주거지와 거리가 멀고 도보 접근성이 좋지 않음을 발견, 화물차 주차장 건립을 제안했습니다. 

세계시민성교육 - 바다이음길 탐방
3조 '빠조'는 문학산길을 탐방하고 브이로그 '문학산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찍었습니다

직접 문학산길을 탐방하고 문학산으로 가는 길이 어렵다는 걸 느껴, 문학산 역을 새로 만들거나 기존의 역의 이름에 문학산을 넣는 것을 제안했습니다. 

세계시민성교육 - 문학산길
4조는 문학산길을 탐방하고 브이로그 '문학산 개선을 위한 로드맵'을 찍었습니다.

4조 역시 문학산길을 탐방하고 브이로그를 찍었습니다. 문학산을 탐방하며 문학산 대표 명소를 더 효과적으로 소개할 수 있는 방법으로, 문학경기장 방면 출입구를 정비하거나 문학산 체육시설을 건설하길 제안했습니다. 

세계시민성교육 - 문학산길
5조가 주인수인철길을 탐방하고 브이로그 '제물포 시장의 재발견 전통을 품은 현대적 공간'을 찍었습니다.

주인수인철길을 탐방하고 제물포시장과 주인공원의 현재를 담았습니다.

세계시민성교육 - 주인수인철길 탐방
6조 '킹가리조'는 바다이음길을 탐방하고 브이로그 '석회매립지 활용 방안'을 찍었습니다.

미추홀구 폐석회매립지에 방문하고 지역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프로젝트 브이로그를 찍었습니다.

세계시민성교육 - 바다이음길 탐방
7조 '미추홀 브릿지'가 수봉비룡길을 탐방하고 브이로그 '수주원점 활용방안'을 찍었습니다.

수준원점을 시작으로 브이로그를 찍으며 수준원점이 가진 의미에 비해 지역 주민들에게조차 홍보가 안 된 것이 아쉬워,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는 탐방을 진행했습니다.

세계시민성교육 - 수봉비룡길 탐방
8조는 주인수인철길을 탐방하고 브이로그 '주인공원 역사를 어떻게 알릴 수 있을까?'를 찍었습니다.

제물포역을 시작으로, 주인공원의 철길 역사를 알아보는 탐방 브이로그를 찍었습니다. 

세계시민성교육 - 주인수인철길 탐방
9조 '미추홀 구조대'는 학산서원길을 탐방하고 브이로그 '잊혀진 학문의 길, 학산서원길을 다시 걷다'를 찍었습니다.

두 차례에 걸쳐 학산서원길을 탐방하고, 브이로그를 찍었습니다. 

세계시민성교육 - 학산서원길 탐방
  
미추홀학산문화원과 함께한 인하대학교 프런티어학부대학 학생들의 '미추홀생태문화이음길' 탐방 브이로그를 보며,
지역의 생태와 문화의 의미를 다시 새기고, 지역의 더 나은 내일을 향한 시선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목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