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카이브 방문
한국 민속악 연구는 민요와 무속음악, 농악 등 구비전승에 의한 음악을 대상으로 진행되기에 현장조사(Field Work)를 통한 연구 자료 마련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현장조사에서 채집한 자료를 토대로 현장의 음악 문화에 대한 전반적인 기록이 되는 음악민족지(Musical Ethnography)를 마련하고, 음악을 채보(악보화하는 작업)하여 이를 분석하고 연구하는 과정은 민속 음악학에 있어서 가장 기본 되는 작업이다.
1) 학술적 기대 효과
본 연구 결과로 우선 국내외 개인 소장의 민속 음악 관련 현장 조사 자료들이 공개되어 한국 민속음악학의 새로운 연구 자료로서 활용될 것이다. 이를 통해 “20세기 후반 민속음악의 연구”라는 새로운 학문적 패러다임을 구축하여 근 현대 문화예술사 연구에 이바지 할 수 있다. 그리고 기존에 구축된 한국 음악 관련 DB와의 연계를 통해 한국음악의 디지털아카이브 완성에도 일조하리라 본다.
음악학계에서는 물론이고, 국문학, 인류학, 사회학 등 인접 학문에서 본 연구의 결과는 “구비 전승 음악” 관련 연구를 비롯한 “민속” 전반과 관련된 연구에도 유용한 자료가 될 것이다.
또한 민속 음악에 대한 연구를 희망하고, 앞으로 현장 조사를 실시하고자 하는 젊은 학자들에게 반세기에 걸친 현장 조사 연구의 축적물이 공개된다면, 민속 음악 현장 조사 연구 방법론의 모범이 마련된다는 점에서도 학술적 활용도가 뛰어나리라 예상된다.
2) 사회 ․ 문화적 기대 효과
본 연구 과제의 수행으로 한국 최초의 민속음악 연구자에 의한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DB가 완성될 것이며 이는 사회적으로 각종 문화예술의 창조와 향유, 유통 등과 관련된 문화 인프라로서의 역할 역시 담당하게 될 것이다.
전통 사회에서 주로 서민들의 일상 생활과 깊은 관련이 있었던 분야인 민속 음악은 구전에 의한 전승에 의존하고 있었기 때문에 상당수 손실된 채 그 모습을 현대 사회에 전달하지 못했다. 이러한 민속 음악을 본 연구에 의해 공개되는 자료들을 통해 복원한다면 일반 서민과 관련된 역사적 콘텐츠가 매우 다양해질 것이다. 이를 활용한다면 단절되었던 전통 문화의 전승이 다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도 의미가 있다.
본 연구는 한국 IT업계 성장 동력을 학문의 발전에 연결하여 한국 민속 음악의 현장 조사 자료에 대한 DB를 구축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는 다른 나라의 음악학계에도 좋은 본보기가 될 것이며 학문적, 문화적 국가 경쟁력을 높여주는 것이리라 본다.
3) 교육적 기대 효과
한국 음악을 전공하는 학생들에게 있어서 민속 음악을 배우는 과정은 필수적인 커리큘럼이다. 그러나 현재 사용되고 있는 민속 음악 관련 강의 자료 중에 실제 현장에서 수집된 민속 음악 자료는 도입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오늘날 교육 현장에서는 음반 녹음을 위해서 편집되고, 공연을 위해서 변모시킨 민속 음악이 주로 음향 자료로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자료들로는 민속 음악의 발생 배경, 전개 양상 등을 이해해 나가기에는 한계가 있다. 이에 본 연구로 발굴된 자료들이 민속 음악에 대한 강의에서 실제 그 음악이 이루어지던 현장이나 전통 사회의 모습을 이해하는 자료로서 매우 유용할 것이다.
한편 일반 초, 중, 고등학교의 교육 현장에서 민속 음악은, 전통 음악을 이해시키기 위한 교육적 콘텐츠로 사용되고 있다. 전통 음악의 교육에 덧붙여서 본 연구를 통해 발굴된 자료들의 교육적 활용으로 청소년들에게 한국 전통 사회의 민속 음악 문화 전반에 대한 이해를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보조연구원으로 활동하게 될 신진연구자들은 선임 공동연구원들 수행 업무의 실무적인 영역을 담당함으로써 차세대 민속악 연구 인력의 양성이라는 교육적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출처 : 한국학중앙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