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카이브 탐색
  • 형태분류
    • 도서/간행물류
    • 문서류 (4)
      • 포스터 및 리플렛
      • 배너
      • 악보
      • 일반문서
    • 사진류
    • 시청각류 (4)
      • 영상
      • 음원
      • 그림
      • 지도
    • 박물류
    • 신문류
    • 구술류
    • 미분류
  • 주제분류
    • 시민기록단 (2)
      • 음식
      • 목공
    • 생태 (3)
      • 산
      • 물
      • 길
    • 생활 (2)
      • 음식
      • 집
    • 지역 (3)
      • 행정구역
      • 마을
      • 장소
    • 인물 (3)
      • 개인
      • 동아리
      • 단체
    • 인문
    • 축제
    • 문화예술 (8)
      • 공연
      • 음악
      • 시각
      • 문학
      • 영상
      • 포럼
      • 행사
      • 기타
    • 사건 (3)
      • 코로나19
      • 시민운동
      • 2002월드컵
    • 미분류
  • 시기분류
    • 2020년대 (5)
      • 2024년
      • 2023년
      • 2022년
      • 2021년
      • 2020년
    • 2010년대 (10)
      • 2019년
      • 2018년
      • 2017년
      • 2016년
      • 2015년
      • 2014년
      • 2013년
      • 2012년
      • 2011년
      • 2010년
    • 2000년대 (9)
      • 2009년
      • 2008년
      • 2007년
      • 2006년
      • 2005년
      • 2004년
      • 2003년
      • 2002년
      • 2001년
    • 1990년대
    • 1980년대
    • 1970년대
    • 1960년대
    • 1950년대
    • 미분류
  • 출처분류
      level = 1 , index = 0 , last = false , child_cnt = 7 , provenance = 미추홀학산문화원 사업
    • 미추홀학산문화원 사업 (7)
        level = 2 , index = 1 , last = false , child_cnt = 3 , provenance = 미추홀지역학
      • 미추홀지역학
      • level = 3 , index = 2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강좌 level = 3 , index = 3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포럼 level = 3 , index = 4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교육프로그램 개발 level = 2 , index = 5 , last = false , child_cnt = 23 , provenance = 미추홀 기록
      • 미추홀 기록
      • level = 3 , index = 6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4 미추홀시민기록단 구술기록 level = 3 , index = 7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3 시민기록단_전세사기 기록 level = 3 , index = 8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3 시민기록단_기계산단 기록 level = 3 , index = 9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2 시민기록단_목공장인 기록 level = 3 , index = 10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1 시민기록단_음식기록 level = 3 , index = 11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0 시민기록단_자체인터뷰 level = 3 , index = 12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2 미담식회 인천음식기록 level = 3 , index = 13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1 미담식회_음식기록 level = 3 , index = 14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1 음식기록 프로젝트 level = 3 , index = 15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4 기록공모_,그때부터 지금까지, 수봉산 level = 3 , index = 16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4 기록공모_사라져 가는 것들 level = 3 , index = 17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3 기록공모_수봉산 level = 3 , index = 18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3 기록공모_집 level = 3 , index = 19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2 기록공모_수봉산 level = 3 , index = 20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2 기록공모_문학산 level = 3 , index = 21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1 기록공모_미추홀의 길 level = 3 , index = 22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1 기록공모_심상공간 level = 3 , index = 23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2 기록공모_학산백일장 level = 3 , index = 24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1 기록공모_학산백일장 level = 3 , index = 25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0 기록공모_학산백일장 level = 3 , index = 26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19 기록프로젝트 '승기천' level = 3 , index = 27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18 기록프로젝트 '신기촌' level = 3 , index = 28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17 미추홀마을영화 level = 2 , index = 29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시민창작활동지원
      • 시민창작활동지원
      • level = 2 , index = 30 , last = false , child_cnt = 8 , provenance = 학산마당극놀래
      • 학산마당극놀래
      • level = 3 , index = 31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4 학산마당극놀래 level = 3 , index = 32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3 학산마당극놀래 level = 3 , index = 33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2 학산마당극놀래 level = 3 , index = 34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1 학산마당극놀래 level = 3 , index = 35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0 학산마당극놀래 level = 3 , index = 36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19 학산마당극놀래 level = 3 , index = 37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18 학산마당극놀래 level = 3 , index = 38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17 학산마당극놀래 level = 2 , index = 39 , last = false , child_cnt = 3 , provenance = 우리고장 국가유산 활용사업
      • 우리고장 국가유산 활용사업
      • level = 3 , index = 40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생생국가유산 level = 3 , index = 41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향교서원 문화유산 활용 level = 3 , index = 42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원도사제 level = 2 , index = 43 , last = false , child_cnt = 2 , provenance = 기관홍보
      • 기관홍보
      • level = 3 , index = 44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연간리플렛 level = 3 , index = 45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기관 제작물 level = 2 , index = 46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콘텐츠
      • 콘텐츠
      • level = 1 , index = 47 , last = false , child_cnt = 3 , provenance = 학산생활문화센터 사업
    • 학산생활문화센터 사업 (3)
        level = 2 , index = 48 , last = false , child_cnt = 5 , provenance = 생활문화
      • 생활문화
      • level = 3 , index = 49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2 동네 살아가다 level = 3 , index = 50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0 동네 살아지다 level = 3 , index = 51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19 동네 살아지다 level = 3 , index = 52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21 학산시민문화마당 level = 3 , index = 53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2019 우리도 예술가 level = 2 , index = 54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공연문화
      • 공연문화
      • level = 2 , index = 55 , last = false , child_cnt = 2 , provenance = 공간
      • 공간
      • level = 3 , index = 56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학산소극장 level = 3 , index = 57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생활문화센터 level = 1 , index = 58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지방자치단체
    • 지방자치단체 level = 1 , index = 59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지역기관
    • 지역기관 level = 1 , index = 60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지역단체
    • 지역단체 level = 1 , index = 61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국가기록기관
    • 국가기록기관 level = 1 , index = 62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기업
    • 기업 level = 1 , index = 63 , last = false , child_cnt = 4 , provenance = 시민기증
    • 시민기증 (4)
        level = 2 , index = 64 , last = false , child_cnt = 1 , provenance = 천영기
      • 천영기
      • level = 3 , index = 65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문학산 시리즈 level = 2 , index = 66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이태승
      • 이태승
      • level = 2 , index = 67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김용경
      • 김용경
      • level = 2 , index = 68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류제혁
      • 류제혁
      • level = 1 , index = 69 , last = false , child_cnt = 0 , provenance = 미분류
    • 미분류 level = 1 , index = 70 , last = true , child_cnt = 0 , provenance = 기타
    • 기타
검색
카드형 갤러리형
총 17개의 기록물
  • 고병선, 조영숙 구술인터뷰
    • 주    제 : 신기촌에 대한 기억 • 목    적 : 근현대 3~40년간에 걸쳐 진행된 미추홀 신기촌과 신기시장의 역사를 사람들을 통해 기록 • 구 술 자 : 고병선, 조영숙 • 면 담 자 : 이경희, 이명순 • 면담일자 : 2018년 6월 14일(목) 오후3시30분 • 면담장소 : 학산지속발전협의회 사무실 • 구술내용 요약 : 60년대 중후반~70년대 초, 냇가에서 고기를 잡거나 논에서 공을 차며 놂. 주안의 주요 건물로는 아폴로극장, 시민회관 등이 있었음. 진흥요업의 사이렌 소리가 일대에 다 울렸음. 신기시장과 진흥요업이 서로 붙어 있었고, 신기시장 뒤로는 판자촌이 조성되어 있었음. 생활이 어려운 사람들이 신기촌으로 모여들면서 자연스럽게 신기시장이 형성됨. 진흥요업과 화장터 사이를 넘어가면 나오는 신비마을 위쪽으로 중국인 밭이 많았음. 남동구와 연수구 모두 남구(미추홀구)였음. 주안2동 시민회관 일대로 개발이 이루어짐. 냇가를 수변공원 등으로 조성하지 않고 없애버린 것이 아까움.
    #주안 #말산 #세미산 #신기시장 #인주로 #독정이 #복개 #냇가 #논 #미꾸라지 #아폴로극장 #중앙극장 #제일시장 #5번 버스 #신기촌 #종점 #시민회관 #진흥요업 #화장터 #한국도자기 #사이렌 #판자촌 #서문통닭 #진흥관 #문학산 #배꼽산 #레이더 #성황당 #남동 염전 #신비마을 #여우고개 #쥐불놀이 #자유공원 #수봉공원
    생산일자 2018.06.14
  • 김남순 구술인터뷰
    • 주    제 : 신기촌에 대한 기억 • 목    적 : 근현대 3~40년간에 걸쳐 진행된 미추홀 신기촌과 신기시장의 역사를 사람들을 통해 기록 • 구 술 자 : 김남순 • 면 담 자 : 이경희, 조영숙 • 면담일자 : 2018년 11월 11일 • 면담장소 : 카페 루앤비 구월점 • 구술시간 : 48분 4초 • 구술내용 요약 : 황해도 출신으로 인천에서 목수 일을 배움. 신기촌 일대에서 51년 거주함. 신기촌을 철거민들이 이주한 곳으로 한때 갈등이 잦았음. 97년 재개발 당시 건폐율 90% 이상으로 지어짐. 현재 인구 10%의 70세 이상. 70년대에는 동네에 공동 수도가 2개만 있었음. 초기 정착한 인구는 대부분 떠남. 직업 특성상 아직 동네에 머무르고 있음. 동네 활동은 아쉬운 점이 있지만 현 동장이 오며 좋아짐. • 관리 파일(비공개) 1. 음성파일
    #황해도 #목수 #건축 #신기촌 #철거민 #중국인 #전답 #승기천 #환경개선지구 #건폐율 #주차장 #5번 버스 #화장터 #빌라촌 #통장 #은행나무 #우애 #공동수도 #우물 #연탄보일러 #아궁이 #장로 #신앙생활 #표창장 #동사무소 #탁상행정 #동장 #예산
    생산일자 2018.11.11
  • 이태승 구술인터뷰
    • 주    제 : 신기촌에 대한 기억 • 목    적 : 근현대 3~40년간에 걸쳐 진행된 미추홀 신기촌과 신기시장의 역사를 사람들을 통해 기록 • 구 술 자 : 이태승 • 면 담 자 : 이경희, 조영숙 • 면담일자 : 2018년 11월 11일 오후1시 • 면담장소 : 영광교회 인근 카페 • 구술시간 : 50분 38초 • 구술내용 요약 : 62년생으로 주안동이 고향임. 주안동의 옛 지명이 ‘사미리’임. 다양한 방식으로 지역의 자료를 수집하고 있음. 어머니 세대가 진흥요업에 근무했음. 초창기 사동에서 인구가 유입되었으며 주거 환경이 계속 변화함. 주안2동(몬머리)는 원래 구릉 지대이며 물이 많았음. 신기촌이 형성되며 5번 버스 종점이 신기시장이 됨. 본가는 주안3동으로 잠시 외부에 나갔다가 다시 인천에서 근무함. 개발로 동네가 변화하는 것에 아쉬움을 느낌. 학창시절부터 도서관에 많이 다님. 인천의 원주민으로서 지역에 대한 애정이 남다름. 지역에 애정과 주민의식을 가지고 잘 가꾸어나가야 함.  • 관리 파일(비공개) 1. 음성파일
    #주안동 #부평 이씨 #집성촌 #사미 #사미 축제 #학산학연구회 #사진전 #신기촌 #화장터 #중앙도자기 #진흥요업 #사동 #몬머리 #인주대로 #수봉산 #시민회관 #신기사거리 #5번 버스 #본가 #자원봉사 #강사 #2000년대 #인천지하철 #율목도서관 #연수구 #남동구 #원주민 #주민의식
    생산일자 2018.11.11
  • 최종철 구술인터뷰
    • 주    제 : 신기촌에 대한 기억 • 목    적 : 근현대 3~40년간에 걸쳐 진행된 미추홀 신기촌과 신기시장의 역사를 사람들을 통해 기록 • 구 술 자 : 최종철 • 면 담 자 : 이경희, 이명순, 조영숙 • 면담일자 : 2019년 7월 11일 • 면담장소 : 주안7동 경로당 • 구술내용 요약 : 평택군 출신으로 69년에 신기촌에 이사와 88세까지 살고 있음. 시로부터 10평씩 땅을 불하받음. 남녀 할 것 없이 진흥도자기 공장에 다님. 길이 생기고 난 후 마을버스가 다님. 69년 당시 하인천 파와 신흥동, 옥번동 파가 있었음. 10평의 작은 주택들이 주를 이룸. 동네에 진흥도자기 공장에 다니는 여자들이 많았음. 신기촌 이주 후 3~4년 뒤 신기시장이 형성됨. 신기시장 주변으로 우물과 중국인 밭이 있었음. 집을 팔고 이사 가면서 살고 있는 사람들이 몇 번씩 바뀜.
    #인하대 #갯벌 #하꼬방 #10평 #신기촌 #진흥도자기 #마을버스 #하인천 #신흥동 #옥번동 #논 #신기시장 #우물 #버스정류장 #10m 도로 #우진아파트 #슬레이트 #루핑 #양계장
    생산일자 2019.07.11
  • 한기순 구술인터뷰
    • 주    제 : 신기촌에 대한 기억 • 목    적 : 근현대 3~40년간에 걸쳐 진행된 미추홀 신기촌과 신기시장의 역사를 사람들을 통해 기록 • 구 술 자 : 한기순 • 면 담 자 : 이경희, 이명순, 조영숙 • 면담일자 : 2019년 7월 11일 • 면담장소 : 신기시장 인근 카페 • 구술내용 요약 : 10대 때부터 주안8동에서 살다가 4~5년 전 주안7동으로 이사함. 화장터는 신기촌에 있다가 부평으로 이사 감. 광명아파트와 쌍용아파트 일대는 논, 밭이었음. 중앙도자기가 진흥요업이 되면서 시장이 활기를 띰. 여자, 남자 할 것 없이 중앙도자기에 많이 근무함. 82년에 새마을금고 파출로 시작해서 분소장까지 맡고 명예퇴직함. 시장 사람들과 가족같이 지냄. 사람들에게 정이 들어 신기촌을 떠나지 않고 계속 살게 됨. 5개로 나누어진 신기시장을 통합해야 더욱 발전할 수 있을 것.
    #주안8동 #화장터 #주안7동 #토개공 #신기촌 #중앙도자기 #쌍용아파트 #진흥요업 #5번 버스 #신기시장 #새마을금고 #수금 #퇴직 #수기 #인심 #만석동 #철거민 #크림빵 #미디어축제 #김장 #통두레 #통합
    생산일자 2019.07.11
  • 조옥형 구술인터뷰
    • 주    제 : 신기촌에 대한 기억 • 목    적 : 근현대 3~40년간에 걸쳐 진행된 미추홀 신기촌과 신기시장의 역사를 사람들을 통해 기록 • 구 술 자 : 조옥형 • 면 담 자 : 이경희, 이명순, 조영숙 • 면담일자 : 2019년 7월 11일 • 면담장소 : 주안7동 경로당 • 구술내용 요약 : 고향은 충청도로 74년에 인천에 옴. 주안7동 일대는 천막집, 신기촌은 10평짜리 집들이 있었음. 진흥요업에 빵을 납품하는 일을 함. 3지구 개발 당시 집을 마련함. 구획정리가 되며 화장터 자리로 길이 남. 76년경 통장제도가 생기며 통장직을 맡기도 함. 동네가 살기 좋아 이사 갈 생각이 없음.
    #주안 #충청도 #주안7동 #천막집 #신기촌 #10평 #진흥요업 #중앙도자기 #빵 #납품 #가구점 #문학초 #통장 #체비지 #판잣집 #돼지 #사료
    생산일자 2019.07.11
  • 유용호 구술인터뷰
    • 주    제 : 신기촌에 대한 기억 • 목    적 : 근현대 3~40년간에 걸쳐 진행된 미추홀 신기촌과 신기시장의 역사를 사람들을 통해 기록 • 구 술 자 : 유용호 • 면 담 자 : 조영숙, 이경희 • 면담일자 : 2018년 11월 8일(목) 오후1시30분 • 면담장소 : 영아트 신기시장점 • 구술시간 : 10분 52초 • 구술내용 요약 : 96년부터 영업함. 재래시장 중 유동인구가 많은 것 같아 신기시장으로 옴. 오래 거주하거나 타지로 갔다가 다시 돌아오는 분들이 많음. 개업 초기는 아이들 관련 업종이 많았음. 요즘은 연세 있는 분들을 위한 가게가 주가 됨. 주 고객층은 엄마들로 최근에는 실익을 더 추구함. 3대째 주변에 거주하며 가게를 찾는 손님이 계심. 손님들이 가게를 지금 같이 기억해주기를 바람. 주차문제가 해결되었으면 함. • 관리 파일(비공개) 1. 음성파일
    #재래시장 #상인회 #재개발 #아이들 #인터넷 #엄마 #체인점 #3대 #주차 #마트
    생산일자 2018.11.08
  • 박옥균 구술인터뷰
    • 주    제 : 신기촌에 대한 기억 • 목    적 : 근현대 3~40년간에 걸쳐 진행된 미추홀 신기촌과 신기시장의 역사를 사람들을 통해 기록 • 구 술 자 : 박옥균 • 면 담 자 : 조영숙, 유인숙, 이경희 • 면담일자 : 2018년 8월 14일(화) • 면담장소 : 참피온 체육사 • 구술시간 : 45분 3초 • 구술내용 요약 : 신기촌 일대는 68년도 철거민들의 정착지임. 물건을 조금씩 가져다 팔던 것이 현재는 재래시장 중 손꼽히는 시장이 됨. 과거 화장터 자리에 버스 종점, 진흥요업이 있었음. 당시 송림동보다 집세가 저렴해 신기촌으로 오게 됨. 당시 동네에 체육사가 없어 시작하게 됨. 여유가 생기면 동네 밖으로 떠나 버림. 이웃 간 인정이 많고 단합이 잘 됨. 주거, 주차, 행정 등 해결해야 할 문제들이 있음. • 관리 파일(비공개) 1. 음성파일
    #신기촌 #신기시장 #철거민 #10평 #주거환경개선사업 #화장터 #진흥요업 #송림동 #목재 #체육사 #마을금고 #올림픽 #구의원 #주차
    생산일자 2018.08.14
  • 김종린 구술인터뷰
    • 주    제 : 신기촌에 대한 기억 • 목    적 : 근현대 3~40년간에 걸쳐 진행된 미추홀 신기촌과 신기시장의 역사를 사람들을 통해 기록 • 구 술 자 : 김종린 • 면 담 자 : 박성희, 이의록, 조영숙, 유인숙 • 면담일자 : 1차 2018년 7월 31일(화) : 2차 2018년 8월 14일(화)  • 면담장소 : 신기시장 상인회 사무실 • 구술시간 : 14분 49초, 8분 58초 • 구술내용 요약 : 신기촌 일대는 과거 화장터, 중국인 밭이 있었음. 진흥요업 후문 일대에서 시장이 시작됨. 동인천 일대 재개발로 인한 이주민이 신기촌으로 유입됨. 서부시장, 중앙시장, 남부시장이 합쳐져 신기문화관광시장이 됨. 공식적으로 신기시장이 탄생한 것은 75년도. 진흥요업은 지역에서 가장 큰 회사였음. 진흥요업 후문 앞으로 5번 버스 종점이 있었음. 시장이 형성될 때 들어와 37년째 살고 있음. • 관리 파일(비공개) 1. 음성파일
    #신기촌 #화장터 #중국인밭 #진흥요업 #신기시장 #중앙시장 #서부시장 #남부시장 #상권 #동인천 #재개발 #신기문화관광시장 #진흥도자기 #돌산 #중앙도자기
    생산일자 2018.07.31
  • 김종린 신기촌 구술사진
    신기촌에 대한 기억을 소재로 진행한 구술인터뷰시 촬영한 사진이다.  • 촬영일자: 2018년 • 사진크기: 550x366 • 사진장수: 1장 • 주요인물: 김종린
    #신기촌 #구술 #사진 #구술사진 #김종린
    생산일자 2018
    12

미추홀시민아카이브

powered by 아카이브센터(주)